본문

병원조직인사관리 (제4판)
병원조직인사관리 (제4판)
저자 : 안상윤
출판사 : 보문각
출판년 : 2017
ISBN : 9788962203196

책소개

▶ 이 책은 병원조직인사관리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병원조직인사관리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병원의 경영 실패는 경영자들이나 구성원들이 조직을 유기체로 인식하고 대응하지 못하는데서 오는 경우가 많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병원은 비영리조직으로 인식되고 있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기업에 비해 구성원들의 개방적 사고가 미약하다. 그것은 환경 변화에 대한 능동적이고 전략적인 대응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러나 오늘날 모든 병원 조직은 치열한 경쟁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려 있고, 따라서 살아남을 수 있는 전략의 수립과 실행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었다. 모든 조직의 기본적 생존전략은 경영자들이 조직을 살아 움직이는 유기체로 보고 구조를 설계하고 운영해나가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조직 전반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이해가 필요하다. 이 책의 제1부 병원 조직 및 조직행동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조직이 생존을 보장받기 위한 가장 중요한 일 중에 하나는 조직의 특성에 부합하는 동시에 경쟁력을 갖춘 인력을 확보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해나가는 것이다. 이 문제는 제2부 병원인사관리, 제3부 병원노사관계관리를 통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제1부 조직 및 조직행동이론은 효과적인 인사관리를 위한 기반이론이다.
최근 병원의 숫자가 증가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경쟁력 약화의 중요한 원인 중에 일부는 대다수 병원 경영자들의 조직 및 인사노사관계 관리에 대한 무관심 내지는 무지 때문이며, 또 한편으로는 조직 관리에 통달한 전문경영자나 관리자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아직까지도 많은 병원에서 조직 관리나 인사 및 노사관계관리가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관행이나 자의적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이 강하다. 이것은 조직과 구조와 사람과 일과의 최적관계를 구축하지 못하기 때문에 구성원들의 불만을 불러 일으키고 성과에도 제약을 가하게 된다. 경쟁에서 앞서가는 유수의 조직들이 미래에 생존을 보장받기 위해 조직 관리, 인사 및 노사관계 관리 기능을 생산적으로 만들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할 때다. 수준 높은 진료서비스의 생산 및 제공은 병원 발전에 핵심적 요소이지만,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전략적인 조직 관리, 인사 및 노사관계 관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우리나라 병원 조직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조직 관리, 인사 및 노사관계 관리 대한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잘 이루어지지 못했다. 매우 가끔씩 관련 연구서나 교과서가 발간되기도 하지만, 저자들이 조직이나 인사 및 노사관계에 대하여 정통한 분들이 아니다 보니 그 책들은 주로 다른 이론의 모방과 지엽적인 현상의 설명에 그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책은 병원경영 현장에서 일어나는 조직 관리 및 인사 및 노사관계 관리상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함으로써 병원운영의 성과를 높이고 경쟁력을 갖추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하는 마음에서 저술되었다.
총 3부 15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이 책은 제1부에서는 병원조직 및 조직행동, 제2부는 병원인사관리 전반, 그리고 제3부에서는 병원노사관계관리에 대하여 서술되었다. 제1부는 병원조직에 대한 이해, 조직의 일반이론, 조직 내 개인행동, 조직 내 집단행동 등 4개의 장(章)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부는 병원인사관리의 기초, 직무분석과 직무설계, 채용관리, 교육훈련 및 경력개발, 인사이동 및 이직관리, 인사고과, 임금관리 및 후생복지, 인간관계관리 등 모두 8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지막으로 제3부에서는 노동조합 의 의의 및 역할, 단체교섭 및 쟁의행위, 병원노사관계의 이해 및 발전방향 등 3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학과의 정책이나 학습목표, 그리고 학생들 수준에 따라서 종합적 또는 개별적 활용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이 책이 조직이론, 조직행동론, 인사관리 및 노사관계론을 종합적으로 망라하고 학술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의미 있는 도서가 되기 위하여 기존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병원조직, 인사관리, 노사관계관리 관련 책들을 세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었다. 병원이 시장 원리에 따라 가장 충실하게 운영되고 있는 미국의 사례들을 검토하는데도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따라서 이미 시중에 나와 있는 교재나 연구서들을 저술한 다수의 저자들로부터 많은 혜택을 입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현상을 타개하고 병원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는 최적의 지침서가 되도록 해야 한다는 저자의 의지에도 불구하고 부족하고 미흡한 점들은 모두 저자의 책임이다. 독자들의 지적과 질책을 받아 병원 경영에 더욱 효과적인 교재로 거듭나도록 보완하고 개정해 나가겠다. 끝으로 출판계의 어려운 사정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이 책의 출판에 응해주신 보문각 이호동 사장님을 비롯한 관계자 여러분께 심심한 감사를 드린다.

저자 안 상 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 1부 병원조직 및 조직행동

제1장 병원조직에 대한 이해 _ 4
제1절 병원 조직관리의 제 문제 _ 4
제2절 의료서비스 조직의 개념 _ 7
제3절 병원 조직구조에 대한 이해 _ 17
제4절 병원 조직의 운영상 특징 _ 23

제2장 조직의 일반이론 _ 33
제1절 조직의 개념 _ 33
제2절 조직의 성과지표 _ 36
제3절 조직구조에 대한 이해 _ 38
제4절 조직구조에 대한 영향요인 _ 47
제5절 조직변화와 조직개발 _ 57
제6절 조직의 형태 _ 62

제3장 조직 내 개인행동 _ 70
제1절 조직행동의 의의 _ 70
제2절 성격, 가치관 및 태도 _ 73
제3절 지각과 귀인 _ 87
제4절 동기유발 _ 96
제5절 학습과 행동변화 _ 110
제6절 능력 _ 116
제7절 직무 스트레스 _ 123

제4장 조직 내 집단행동 _ 131
제1절 집단의 본질 및 구조 _ 131
제2절 집단과정과 성과 _ 136
제3절 팀조직의 활동 _ 139
제4절 의사소통 _ 144
제5절 의사결정 _ 160
제6절 갈등관리 _ 173
제7절 리더십 _ 184

제 2부 병원인사관리

제5장 병원인사관리의 기초 _ 200
제1절 병원인사관리의 제 문제 _ 200
제2절 병원인사관리의 의의 및 기능 _ 203
제3절 인사관리의 역사적 발전 _ 207
제4절 병원인사관리 환경의 변화 _ 223
제5절 병원인사관리의 활성화 배경 _ 230
제6절 병원 인사담당자의 역할 및 자질 _ 234

제6장 직무분석과 직무설계 _ 244
제1절 직무관리와 인사관리 _ 244
제2절 직무분석 _ 247
제3절 정원관리 _ 267
제4절 직무설계 _ 272

제7장 채용관리 _ 282
제1절 채용관리의 중요성 _ 282
제2절 지원자의 직무탐색 _ 284
제3절 모집관리 _ 287
제4절 선발관리 _ 293
제5절 채용형태의 변화 _ 307
제6절 모집과 선발관리의 유의점 _ 316
제7절 오리엔테이션 및 배치 _ 317

제8장 교육훈련 및 경력개발 _ 321
제1절 교육훈련의 의의 및 관리체계 _ 321
제2절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설계 _ 329
제3절 전공의 교육수련제도 _ 347
제4절 교육훈련의 평가 _ 352
제5절 경력개발 _ 357

제9장 인사이동 및 이직관리 _ 367
제1절 인사이동관리의 의의 _ 367
제2절 승진관리 _ 371
제3절 이직의 의의 및 관리 _ 381
제4절 해고관리 _ 387
제5절 퇴직관리 _ 394

제10장 인사고과 _ 403
제1절 인사고과의 기초 _ 403
제2절 인사고과의 분류 _ 411
제3절 인사고과의 실제 _ 428
제4절 고과제도의 개선방향 _ 436

제11장 임금 및 복지후생관리 _ 451
제1절 임금관리의 의의와 내용 _ 451
제2절 임금수준의 관리 _ 456
제3절 임금체계의 관리 _ 461
제4절 연봉제 _ 476
제5절 임금형태의 관리 _ 483
제6절 우리나라 병원 임금관리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_ 494
제7절 복지후생의 의의 및 특징 _ 501
제8절 복지후생의 유형 _ 505
제9절 효과적인 복지후생의 설계와 관리 _ 509

제12장 인간관계 관리 _ 513
제1절 인간관계의 개념 _ 513
제2절 인간관계론의 발전과정 _ 516
제3절 인간관계 관리의 기본원리 _ 518
제4절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_ 521
제5절 주요 인간관계관리 기법 _ 524

제 3부 병원노사관계관리

제13장 노동조합의 의의 및 역할 _ 532
제1절 노동의 의미와 노동운동 _ 532
제2절 노동조합의 의의와 기능 _ 535
제3절 노동조합의 조직형태 _ 537
제4절 노동조합의 역할 _ 541
제5절 노동조합의 가입과 탈퇴 _ 544
제6절 노동조합과 인사관리와의 관계 _ 546

제14장 단체교섭 및 쟁의행위 _ 548
제1절 단체교섭의 의의 _ 548
제2절 단체교섭이론 _ 550
제3절 성공적 단체교섭의 조건 _ 553
제4절 단체교섭의 시기 및 절차 _ 560
제5절 쟁의조정의 의의와 절차 _ 562

제15장 병원노사관계의 발전방향 _ 565
제1절 노사관계관리의 의의 _ 565
제2절 병원노사관계의 특징과 문제점 _ 567
제3절 병원노사관계의 발전방향 _ 578

부록 병원행정사 자격시험 대비 문제 100선 _ 581

찾아보기 _ 616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