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보건의료정보관리학
보건의료정보관리학
저자 : 박종선^이환규^오영인^김성수^이정욱
출판사 : 보문각
출판년 : 2022
ISBN : 9788962204384

책소개

본서의 학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단원별 기본적인 내용을 충분히 습득하고, 단원별 주 객관식 연습문제는 본 교재를 중심으로 스스로 해결한다면 일차적인 이해를 갖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단원별 종합적이고 깊이 있는 지식은 관련 참고서적을 통해 보완한다면 의료정보학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지식을 갖추는데 그 기틀이 마련될 것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본서를 감히 출판하는데 있어서 대학에서 다년간 강의 경험과 다양한 참고자료를 비롯하여 국내 외의 선배 저자들의 고귀한 서적을 참고하여 집필에 심혈을 기울였으나, 그래도 부족한 점이 많으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앞으로 미흡한 부분은 더욱 연구하여 수정 보완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아무쪼록 본서가 독자 여러분들이 의료정보학을 이해하는데 좋은 길라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컴퓨터 및 정보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매일 수없이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의료계에서도 광범위한 컴퓨터 보급과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의료정보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의료정보란 국가적인 차원의 보건의료정책을 위한 자료 제공에서부터 각종 보건의료사업 종사자들 및 각 분야에서 실무종사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제공의 역할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오늘날 의료기관에서도 의료시장 개방에 따른 무한경쟁에 대비하고 진료의 질적인 서비스 향상을 위한 최신 통합의료정보시스템 도입이 확산되어 가고 있으며, 나아가 국가적으로는 보건의료정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하기 위한 의료정보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현재 의료정보학은 이론과 응용에 있어서 지난 10여년 동안 급속도로 확대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전문 인력이 부족한 실정에 있으며, 최근 대학에서도 필요한 전문 인력 양성에 많은 관심을 갖고 속속 관련학과 개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의료정보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요즈음 ‘의료정보’는 보건의료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들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서의 학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단원별 기본적인 내용을 충분히 습득하고, 단원별 주 객관식 연습문제는 본 교재를 중심으로 스스로 해결한다면 일차적인 이해를 갖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단원별 종합적이고 깊이 있는 지식은 관련 참고서적을 통해 보완한다면 의료정보학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지식을 갖추는데 그 기틀이 마련될 것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본서를 감히 출판하는데 있어서 대학에서 다년간 강의 경험과 다양한 참고자료를 비롯하여 국내 외의 선배 저자들의 고귀한 서적을 참고하여 집필에 심혈을 기울였으나, 그래도 부족한 점이 많으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앞으로 미흡한 부분은 더욱 연구하여 수정 보완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아무쪼록 본서가 독자 여러분들이 의료정보학을 이해하는데 좋은 길라잡이가 되기를 바라며, 출간되기까지 성원해 주신 동료 교수님들과 이 길을 굳게 걸을 수 있도록 힘이 되어준 관련분야 교수님들에게 감사드리며, 어려운 여건에서도 출판을 맡아 수고해 주신 보문각 사장님을 비롯한 관계자 여러분들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저자 일동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주요용어 해설 .................................... A9

​제1장 의료정보학의 개요 ...................... 11
1-1 의료정보의 이해 ...................... 11
1-2 의료정보학의 이해 ...................... 19
1-3 인터넷의 의료정보 ...................... 30
1-4 e-Health와 u-Health ...................... 67
1-5 의료정보의 현황과 전망 ...................... 85
 
제2장 의료정보와 정보이론 ...................... 101
2-1 의료정보의 진화과정 ...................... 101
2-2 의사결정의 분석과정 ...................... 107
2-3 의료분야의 컴퓨터 활용 ...................... 118
2-4 정보이론과 가치이론 ...................... 119

제3장 의학용어와 질병분류 ...................... 131
3-1 용어 및 분류의 개요 ...................... 131
3-2 분류법 및 코드화 ...................... 133
3-3 어휘록 및 명명법 ...................... 139
3-4 질병분류의 발전 ...................... 141
3-5 질병분류 및 의료행위 분류체계 ...................... 143
3-6 질병분류의 표준화 ...................... 146

제4장 진료의 의사결정 ...................... 157
4-1 진료의 의사결정 개요 ...................... 157
4-2 진료의 의학적의사결정 ...................... 159
4-3 임상의료와 의료정보 판단 ...................... 168
4-4 의학적의사결정지원시스템 ...................... 179
4-5 지식습득의 방법 ...................... 188
4-6 지식관리시스템 ...................... 198

제5장 의료정보 표준화 및 보안 ...................... 213
5-1 정보통신의 표준화 ...................... 213
5-2 의료정보의 표준화 ...................... 216
5-3 의료정보보호와 보안 ...................... 232
5-4 의료정보보안과 보호 수단 ...................... 249

제6장 병원경영정보시스템 ...................... 279
6-1 경영정보시스템 ...................... 279
6-2 병원정보시스템 ...................... 291
6-3 처방전달시스템 ...................... 306
6-4 의료지원시스템 ......................329

제7장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 343
7-1 의료영상처리 개요 ...................... 343
7-2 의료영상 계측 및 기기 ...................... 349
7-3 의료영상시스템 ...................... 353
7-4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 367
7-5 원격의료시스템 ...................... 398

제8장 전자의무기록시스템 ...................... 439
8-1 전자의무기록의 개요 ...................... 439
8-2 전자의무기록의 구조화 ......................450
8-3 전자의무기록의 발전과정 ......................459
8-4 전자의무기록의 프로세스 ...................... 465
8-5 전자의무기록의 발전방향 ...................... 472

제9장 의료데이터베이스 ...................... 485
9-1 의료데이터베이스 개요 ...................... 485
9-2 데이터베이스 모델 ...................... 491
9-3 데이터베이스시스템 구성 ...................... 496
9-4 데이터 모델링 ...................... 501
9-5 데이터베이스 설계 ...................... 505

제10장 데이터웨어하우스 ...................... 519
10-1 데이터웨어하우스 개요 ...................... 519
10-2 데이터웨어하우스 특징 ...................... 527
10-3 데이터웨어하우스 구조 ...................... 532
10-4 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 ...................... 539
10-5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응용 ...................... 543

제11장 데이터마이닝 ...................... 557
11-1 데이터마이닝의 개요 ...................... 557
11-2 데이터마이닝의 단계 ...................... 565
11-3 데이터마이닝의 규칙 ...................... 568
11-4 데이터마이닝의 구축 ...................... 574
11-5 데이터마이닝의 활용 ...................... 578

참고문헌 ...................... 589
찾아보기 ...................... 593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