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충동조절장애 (행동중독의 이해와 치료를 위한 임상 가이드)
충동조절장애 (행동중독의 이해와 치료를 위한 임상 가이드)
저자 : JON E. GRANT
출판사 : 학지사
출판년 : 2009
ISBN : 9788963302126

책소개

이 책에서는 미국정신의학회 『정신장의 진단 및 통계 편람(DSM-IV-TR)』(2000)의 충동조절장애 범주에 포함되어 있는 병적 도박, 병적 도벽, 발모광, 병적 방화, 간헐성 폭발장애 등을 비롯하여 강박적 인터넷 사용, 강박적 구매, 병적 피부 뜯기, 비도착적 강박적 성 행동, 폭식, 자해 행동 등 다양한 충동조절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런 충동조절장애들은 모두 행동중독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 책은 충동조절장애를 일차적으로 정신의학적인 관점에서 조망하고 있지만, 심리사회적이고 법적인 측면을 소홀히 하고 있지는 않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장 충동조절장애의 임상적 특성
병적 도박
병적 도벽
발모광
병적 방화
간헐적 폭발장애
병적 피부 뜯기
강박적 구매
강박적 성 행동
인터넷 중독
자해 행동
폭식장애
결론

2장 충동조절장애 이해를 위한 모형
강박 스펙트럼 모형
행동중독 모형
기분장애 모형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모형
충동조절장애의 이질성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적절한 개념화의 필요성
결론

3장 강박 스펙트럼: 충동조절장애의 강박적 측면
병적 도박
발모광
병적 도벽
기타 충동조절장애
충동조절장애의 이질성
강박장애의 이질성
결론

4장 충동조절장애와 알코올 및 약물 중독의 관계
행동중독과 약물중독의 핵심 요인
치료에 대한 반응
치료 시 유의할 점
결론

5장 간헐적 폭발장애: 충동조절장애와의 관계
충동조절장애와의 현상학적인 연결
치료적 반응
반사회적 성격장애
충동조절장애 간의 이질성
결론

6장 충동조절장애의 원인론
충동조절장애의 신경생물학
충동조절장애의 심리학
신경생물학과 심리학 이론의 결합
결론4

7장 충동조절장애의 평가
진단의 실패
오진단
초기 평가
진행 중인 증상 관찰
충동조절장애 평가에서의 문제
평가의 기간
결론

8장 충동조절장애를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병적 도박
발모광
강박적 구매
병적 피부 뜯기
병적 도벽
강박적 성 행동
간헐적 폭발장애
치료 결과 연구에 기초한 제안
치료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

9장 가족의 역할
충동조절장애에 관한 신화
충동조절장애가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가족 구성원에 대한 개입
가족 구성원을 위한 충고

10장 충동조절장애와 관련된 법적 문제
병적 도벽
병적 방화
병적 도박
충동조절장애의 법적 문제
결론

부록 | 미네소타 충동장애 면접지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