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개신교신학 입문
개신교신학 입문
저자 : 칼 바르트
출판사 : 복있는사람
출판년 : 2014
ISBN : 9788963601397

책소개

이 책은 20세기 최고의 신학자 칼 바르트가 1961-1962년 겨울 바젤 대학교에서 마지막으로 강의한 내용이다. 그는 40년간의 교수 생활을 마무리하는 이 강의에서, ‘개신교신학’이라는 영역에서 자신이 추구하고 배웠고 주장했던 것들을 간결하게 정리해 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칼 바르트의 마지막 명강의를 만나다!
-새로운 번역과 장정으로 소개되는 원문에 충실한 완역본
-유해무, 정미현, 김진혁 교수 추천

이 책은 칼 바르트 신학의 정수가 담긴 단 한 권의 입문서다!


20세기 최고의 신학자 칼 바르트가 1961-1962년 겨울 바젤 대학교에서 마지막으로 강의한 내용이다. 그는 40년간의 교수 생활을 마무리하는 이 강의에서, ‘개신교신학’이라는 영역에서 자신이 추구하고 배웠고 주장했던 것들을 간결하게 정리해 준다. 이 책은 위대한 노(老)신학자의 최후의 작품이자, 바르트의 방대한 『교회교의학』은 물론 그의 드넓은 신학을 탐구하는 핵심 열쇠다. 바르트에 따르면 하나님을 믿는 신앙인 가운데 “신학자가 아닌 사람은 없”으므로, 결국 이 책에서 바르트가 보여주는 ‘참된 신학‘의 모본은 모든 그리스도인이 배우고 따라가야 할 길이다. 칼 바르트의 신학을 탐구하는 이들, 신학을 배우고 가르치는 목회자·신학생들뿐 아니라 모든 성도들에게 이 책은 신학의 진수를 맛보게 해줄 훌륭한 입문서가 될 것이다.

20세기 위대한 신학 교부 칼 바르트의 마지막 강연!

『개신교신학 입문』은 칼 바르트 자신이 표현하는 것과 같이 그의 최후의 작품이다. 바르트는 인생의 황혼기에 신학과 교의학에 몰두했던 지난날을 되돌아보며, 자신이 추구했고 배웠고 주장하려고 했던 방대한 신학의 중심과 윤곽을 이 책에서 제시해 준다. 그래서 이 책은 연대기적으로는 바르트 생애 마지막 강연이지만, 그의 신학을 통해 하나님 말씀의 깊이를 탐구해 보려는 사람에게는 처음 시작하기에 아주 적절한 “입문서”가 되었다.

『개신교신학 입문』은 근본주의, 복음주의, 정통주의, 자유주의 등을 모두 포괄하는 개신교신학 전체의 전망을 열어 준다. 이 책은 역사 안에서 자신을 계시하시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한 신학자의 일생에 걸친 진지한 응답이자, 더 나아가 “기도”다. “개신교신학”이 어떠해야 하며, 우리가 어떤 자세로 신학의 길에 들어서야 하는지에 관한 길잡이가 되어 주는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신학의 위기로 초래된 한국교회의 위기를 올바로 진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한 번 읽고 뒤로 넘길 수 있는 책이 아니며, 바르트의 『교회교의학』은 물론이고 개신교신학 전반을 탐구할 때, 우리의 삶 전체를 동반해야 할 책이다.

칼 바르트 주요 저서(근간 예정)
『Der R?merbrief로마서 강해』
『Dogmatik im Grundriß교의학 개관』

특징
- 20세기 최고의 신학자 칼 바르트의 신학이 집대성된 입문서.
-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은 물론 그의 신학을 이해하는 데 핵심 키워드가 되는 중요한 책.
- 원문에 충실한 번역과 새로운 장정으로 만나는 칼 바르트 신학의 정수.

독자 대상
- 칼 바르트의 신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거나, 칼 바르트를 연구하는 이들.
- 신학을 배우고 가르치는 신학생, 목회자, 신학자들.
- 하나님을 올바로 알고 믿으려는 열망을 가진 모든 그리스도인들.

추천사
역시 대가다운 필치다. 바르트는 믿음의 지성을 강조하면서 신학함의 기쁨을 말한다. 말씀에 기초해 성령의 인도로 세상을 향하는 공동체 신학이, 부활하신 예수님을 믿음으로 온갖 위기를 극복하고 세상의 소망이 되어야 함을 쉬운 언어로 술술 말한다. 이 책을 읽다 보면, 독자들은 처음에는 긴장하다가도 어느새 놀랍게도 그의 삶과 신학이 편하게 다가옴을 느낄 것이다. 그의 신학을 따르든 그렇지 않든, 이 책 『개신교신학 입문』은 신학함을 체득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좋은 입문서다. 번역도 물 흐르듯 매끄럽다.
_ 유해무 | 고려신학대학원 교의학 교수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는 준비가 이루어지는 이 시점에서, 바르트 신학의 진수를 일목요연하게 이해할 수 있는 이 책 『개신교신학 입문』이 새로 번역되어 발간된 것은 무척 의미 있는 일이다. 바르트의 신학이 16세기 종교개혁의 신학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데 가장 뛰어난 이정표를 제시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진실과 거짓이 구분되지 않는 혼란한 시대 안에서, 이 책은 바르트 신학의 입문적 이해를 넘어, 편협한 이념에 구속되지 않고 한국 개신교신학이 마땅히 서야 할 자리와 자세를 가르쳐 줄 것이다.
_ 정미현 | 연세대학교 교목·연합신학대학원 교수

『개신교신학 입문』에서 우리는 한 신학자의 사상이 깊이가 더해 가고, 영적 통찰이 확장되며, 말씀에 대한 헌신이 아름다움으로 승화되는 것을 보게 된다. 한 시대를 풍미했던 사상가였던 만큼 바르트의 글은 어렵기로 유명하지만, 옮긴이를 통해 원서의 난해한 독일어가 특유의 품위를 잃지 않으면서도 따스한 목회적 감성을 지닌 한국어로 탈바꿈했다. 신학과 목회, 이론과 영성, 성과 속 사이의 긴장 속에서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이라면 바르트의 지혜에 대한 사랑이 응축된 이 책을 통해 큰 배움과 성숙의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_ 김진혁 |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01 ‘개신교신학‘이란 무엇인가?

I 신학의 자리
02 말씀
03 증인들
04 공동체
05 성령

II 신학적 실존
06 놀람
07 당황
08 의무
09 믿음

III 신학의 위기
10 고독
11 의심
12 시험
13 희망

IV 신학적 작업
14 기도
15 연구
16 봉사
17 사랑


옮긴이의 글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