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교육복지의 이론과 실제 (차별과 한계 없는 교육의 실현을 위하여)
교육복지의 이론과 실제 (차별과 한계 없는 교육의 실현을 위하여)
저자 : 김정원^김경애^김민^김영삼^김효진
출판사 : 학이시습
출판년 : 2010
ISBN : 9788964069127

책소개

교육복지와 관련한 일련의 실천 과정에 필요한 조건들로 구성된 이 책에는 교육복지의 개념적 틀과 지향점, 그동안의 각종 활동의 구성, 실행 과정, 성과 등이 담겨 있다.



2003년 시작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은 이러한 교육복지의 현재에 이르기까지 교육복지의 이론적, 실천적 활동 무대를 제공해 주었고, 이 책은 2009년에 출판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관계자 연수자료집'과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중앙연구지원센터의 각종 연구 활동 결과물을 토대로 마련되었다.



따라서 이 책은 모든 아이들이 가정이나 지역적 한계 없이, 지적·인격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활동을 만들어내는 ‘교육복지’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교사와 지역교육전문가, 학부모, 시도교육청의 관계자 등에게 충실한 이론적·실천적 길잡이가 될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교육복지와 관련한 일련의 실천 과정에 필요한 조건들로 구성된 이 책에는 교육복지의 개념적 틀과 지향점, 그동안의 각종 활동의 구성, 실행 과정, 성과 등이 담겨 있다. 2003년 시작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은 이러한 교육복지의 현재에 이르기까지 교육복지의 이론적, 실천적 활동 무대를 제공해 주었고, 이 책은 2009년에 출판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관계자 연수자료집」과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중앙연구지원센터의 각종 연구 활동 결과물을 토대로 마련되었다. 따라서 이 책은 모든 아이들이 가정이나 지역적 한계 없이, 지적·인격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활동을 만들어내는 ‘교육복지’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교사와 지역교육전문가, 학부모, 시도교육청의 관계자 등에게 충실한 이론적·실천적 길잡이가 될 것이다.

모든 이들을 위한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우리가 일상에서 예민한 감각으로 포착해서 대응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모든 아이들이 태어난 가정이나 지역적 한계와 관계없이
지적, 인격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 혹은 이를 위한 활동,
그것이 ‘교육복지’다.

교육복지의 이론적, 실천적 활동 무대를 제공해 준 것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사업은 교육복지가 그리는 그림을 직접 실천할 수 있는 장을 제공해 주었으며 공적 기관으로서 학교 역할의 확대 가능성, 인간 삶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영역의 학문적, 실천적 통섭 가능성을 보여 준 중요한 활동 공간으로 기능했다.
2003년 시작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은 2006년부터 전국 16개 시·도로 사업이 확대되고, 2008년 말 전국 100개 지역, 879개 유·초·중·고등학교로 사업이 확대되면서 현재와 같이 전국적 규모의 지역단위사업으로 발전했다.
여기에 참여한 이들은, ‘모든’ 아이들을 위한 교육을 위해 학교가 가정, 지역과 어떻게 함께할 수 있는지, 이를 통해 아이들이 경험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이 얼마나 어떻게 넓어질 수 있는지, 참여한 이들 모두가 어떻게 함께 성장하게 되는지를 수많은 시행착오 과정을 통해 조금씩 확인해 왔다.
그러므로 이 책은 지난 여러 해 동안 ‘교육복지’를 실천하고자 함께한 사람들의 땀의 결실이며 동시에 그 성과를 공교육 전반에 확산시키기 위한 작업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교육복지’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땀의 결실이자 새로운 출발점
이 책은 2009년에 출판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관계자 연수자료집」과 한국교육개발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중앙연구지원센터의 각종 연구활동 결과물을 토대로 마련되었다. 교육복지와 관련한 일련의 실천 과정에 필요한 조건들로 구성된 이 책에는 교육복지의 개념적 틀과 지향점, 그동안의 각종 활동의 구성, 실행 과정, 성과 등이 담겨 있다.
빈곤층을 비롯해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질 높은 교육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를 실현하기 위해 시작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에는 수많은 현장 전문가와 학교 교사나 교육연구자들이 참여했고, 이 책 또한 교육학, 청소년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등 여러 영역의 전문가들이 함께 집필했다.
따라서 이 책은 모든 아이들이 가정이나 지역적 한계 없이, 지적·인격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활동을 만들어내는 ‘교육복지’에 관심을 갖고 있는 교사와 지역교육전문가, 학부모, 시도교육청의 관계자 등에게 충실한 이론적·실천적 길잡이가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1 교육복지 논의의 토대

01 한국 사회와 교육복지

1. 교육복지정책 확대의 사회적 배경

2. 교육복지의 개념, 정책 대상, 실천 원칙

02 교육복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국가 정책 :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1. 교육복지정책, 교육복지사업,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2.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개요

3.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성과

03 취약계층 아동 ·청소년의 이해

1. 취약계층 아동의 이해

2. 취약계층 청소년의 이해



2 교육복지 활동의 실제

04 교육복지 구현을 위한 학교와 지역교육청

1. 학교 조직 구성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

2. 지역교육청과 프로젝트 조정자의 역할

3. 지역교육청 및 프로젝트 조정자 직무수행의 흐름

05 지역사회와 네트워킹

1. 왜 지역 네트워크인가?

2. 교육복지 네트워크 구축 사례

3. 교육복지 네트워크 구축 방법

06 취약계층 학생에 대한 지원

1. 집중관리 학생을 위한 사례관리 접근

2. 집중지원 학생의 발굴과 선정

3. 집중관리 학생 지원

07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1. 프로그램 개발의 원리

2.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3. 프로그램 운영 사례

08 프로그램 평가와 모니터링

1.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이해

2. 영역별 프로그램 평가의 실제 사례

3. 모니터링에 대한 이해와 활동의 실제



3 교육복지의 전망과 과제

09 교육복지의 전망과 과제

1.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발전 과제

2. 한국 사회 교육복지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저자 소개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