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생활경제
생활경제
저자 : 김용민
출판사 : 두남
출판년 : 2023
ISBN : 9788964149607

책소개

이 책은 경제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을 위해 이해하기 쉬운 개념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우리 주변에는 경제학에 대한 서적도 많고, 인터넷에서도 쉽게 경제관련 뉴스를 접할 수 있다. 그러나 경제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은 개념의 이해가 쉽지 않다. 그래서 이해하기 쉬운 내용의 설명서가 필요하다. 경제는 일상생활의 토대를 이루고 할 수 있다. 일상생활 자체가 경제라는 것이다. 특히 ICT의 발달은 우리 사회가 대전환을 맞이하면서 경제의 제도뿐만 아니라 사회에 대한 인식변화도 불러왔다. 생활 속 경제는 이러한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한다. 그리고 글로벌화와 지역화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경제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학문은 실제 사회와 무관하지 않고 현실의 현상으로부터 과제를 발견하고 이론을 환원하는 형태로 상호작용하면서 발전해 왔다. 학문은 시대와 더불어 사회변화에 적합하도록 진화해야 한다. 지식은 물론 다양한 체험이나 사람과의 교류 속에서 배양되는 커뮤니케이션, 조직적인 판단력, 꾸준히 학습하는 역량을 함양해야 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지금 세계는 대전환기에 접어들었다.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찾아오는 혼돈을 인류는 지혜를 모아 극복해 왔다. 이를 위해 정세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분석하여 이상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려는 자세와 지성을 갖추어야 한다. 경제학이 어렵다고 기피하는 경향이 있지만, 혼돈의 시대를 극복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제학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경제학은 금융과 관계가 깊다. 생산, 소비 활동이 금융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생각해보면 알 수 있다. 사람들의 활동 모두가 가치와 연결되어 있기에 언뜻 보면 금융과 관계없을 것 같은 것(예, 환경 문제 등)도 연동되어 있다. 경제학의 기본이 되는 것이 거시와 미시의 시점이다. 간단히 말하면 거시경제학은 큰 지표ㆍ시점에서, 미시경제학은 작은 지표ㆍ시점에서 바라보고 있다. 거시경제학은 전체 소비, 투자, GDP, 물가 등의 집계개념으로 자료를 참고로 분석하고, 미시경제학은 생산자, 소비자의 개인(기업)이 어떠한 행동을 하는지를 분석한다. 이 두 가지는 경제학의 양륜이며 어느 쪽이 빠져도 성립되지 않는다. 경제학에 대해 거부 반응의 사람이 있을지 모른다. 그 가장 큰 걸림돌은 전문용어가 많고 어렵다는 이미지에 있다. 그러나 경제는 일상 속에 항상 존재하고 있다.
경제학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 스스로 경제학 시점을 찾도록 기본적인 내용을 포괄적으로 다루었다. 구성과 내용의 전개 과정에서 많은 부분을 국내외 여러 서적에서 발췌하여 저자의 독창적인 저서는 아니지만, 기본이론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장 거시경제학이란? 13
1. 경제학의 정의 15
1) 경제학의 기초 개념 16 2) 경제주체와 객체 18
3) 경제체제 23
2. 희소성과 경제문제 25
1) 희소성의 법칙 25 2) 3대 경제문제 27
3. 합리적 선택과 기회비용 29
1) 합리적 선택 29 2) 기회비용 30
3) 매몰비용 34

제2장 수요와 공급 35
1. 시장과 가격 37
2. 수요와 공급의 개념 38
1) 수요곡선 39 2) 수요의 법칙과 수요(량)의 변화 43
3) 공급의 개념 44 4) 공급곡선 45
5) 공급의 법칙과 공급(량)의 변화 46
3. 시장의 균형 48
1) 균형 48 2) 가격규제 50

제3장 수요와 공급의 탄력성 53
1. 수요의 가격탄력성 55
2. 공급의 탄력성 58

제4장수요ㆍ공급이론의 응용 61
1. 사회적 잉여 63
2. 조세의 전가와 귀착 65
제5장 소비자 행동 이론 71
1. 효용이론 73
2. 무차별곡선 79
3. 효용의 극대화 83
1) 소득의 변화 84 2) 가격의 변화 86

제6장 생산자 행동 이론 89
1. 생산함수 91
2. 비용 최소의 조건 93
1) 등량곡선 94 2) 등비곡선 97
3. 이윤극대화 99

제7장 완전경쟁시장 103
1. 완전경쟁시장 105
2. 단기의 시장균형 109
3. 장기의 시장균형 115

제8장 불안전경쟁시장 119
1. 독점시장 121
1) 독점의 개념 121 2) 독점의 생성 배경 122
3) 독점시장의 균형 123
2. 과점시장 129
1) 과점시장의 개념 129 2) 담합에 의한 카르텔 130
3) 가격선도 모형 130 4) 게임이론 132

제9장 거시 경제학의 기초 137
1. 국민경제 순환 141

2. 국민소득 지표 143
1) 국내총생산 143 2) 국내총지출 146
3) 국내총소득 146

제10장 물가와 인플레이션 147
1. 물가 149
2. 인플레이션 152
1)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153 2) 비용인상 인플레이선 154
3) 혼합형 인플레이션 154

제11장 실 업 157
1. 실업의 개념 159
2. 실업의 형태 161
1) 자발적 실업 161 2) 비자발적 실업 162
3) 자연실업률 163
3. 필립스곡선 163

제12장 경기변동이론 167
1. 경기변동이란 169
2. 경기순환 171

제13장 국제금융의 이해 177
1. 국제수지 179
1) 경상수지 180 2) 자본수지 182
3) 금융계정 182
2. 환율의 결정 185
1) 수요와 공급에 의한 환율 결정 186 2) 구매력 평가설 187
3) 이자율 평가설 188
3. 환율제도 189
1) 고정환율제도 189 2) 변동환율제도 191

제14장 국제무역이론 193
1. 절대우위와 비교우위이론 195
1) 중상주의 195 2) 절대우위론(절대생산비설) 196
3) 비교우위론 198 4) 특화와 무역 이익 199
5) 교역 조건 201
2. 헥셔=올린 모형 202
1) 혁셔=올린 정리 203 2) 요소가격 균등화 정리 203
3) 스토퍼=샤뮤엘슨 정리 205 4) 립진스키 정리 205

▎참고문헌 / 207 ▎찾아보기 / 209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