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성서문예학 연구
성서문예학 연구
저자 : 차정식
출판사 : 동연
출판년 : 2020
ISBN : 9788964475874

책소개

이 책은 5부로 나뉘어 각부 2편씩 모두 10개 논문으로 구성되었다. 이 책 ?성서문예학 연구?는 성서학 연구의 지평 확대, 역사나 신학적 접근을 넘어 문예적 관점의 접근 제고, 문예적 성서영향사 지향, 성서에 관련한 학제적 소통, 삶과 소통하는 신앙형식의 탐색이라는 다섯 가지 사항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1부의 주제는 “한국문학과 성서”이다. “한국 현대소설과 성서신학의 ‘교통공간’”에서는 이청준, 이문열, 이승우의 작품을 다루면서 한국 현대소설과 성서신학의 만남을 꾀했고, “한국 현대시에 투영된 예수의 초상”에서는 윤동주, 박두진, 김현승, 김지하, 정호승, 김정환, 황동규 등의 시 속에 녹아든 예수의 모습을 그린다. 2부는 “영문학과 성서”로, “성서와 판타지”에서는 톨킨의 작품 〈호빗〉 속의 은총 문제를, “사실이 된 신화와 신화적 알레고리 - C.S. Lewis의 경우”에서는 루이스의 작품들이 다루어진다. 3부의 주제는 “미술과 성서”인데, “성서화가란 누구인가”는 ‘성서화비평방법론 시론’이라는 부제 아래 렘브란트의 회화를 분석하였고, “후기 자본주의 속의 종교와 예술”에서는 앤디 워홀의 전위예술을 다루면서 초현실적인 시각예술과 성서적 신앙 세계의 접목을 시도한다. “음악과 성서”를 주제로 다루는 4부의 두 논문 “드뷔시의 〈L'Enfant prodique〉의 눈으로 본 탕자의 비유”와 “성서학적 관점으로 본 G. Balanchine의 Prodigal Son(1929)”은 오랜 세월 예술의 대상이 되어 온 복음서 속의 ‘탕자’를 칸타타와 발레라는 구별되는 장르로 다룬다. 5부의 주제는 “대중문화와 영성”이며, “실패의 부정성과 삶의 폐허성”에서는 발터 벤야민의 문화에 관한 개념들을 분석하였고, “얼굴, 코스튬, 슈퍼히어로”에서는 영화 속 대중스타들의 메시아적 기능 수행을 다루면서 영성의 가능성을 조명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성서와 문예학 간의 건강한 관계 맺기를 지향하며…

“서구 사회에서 성서(Holy Bible)가 끼친 문화적 영향은 얼마나 될까?”는 너무 상식적이기에 어리석은 질문이 될 것이다. 이제까지 인류 최대의 베스트셀러라는 것 말고도 서구 사회의 정신사에 미친 영향은 굳이 말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성서가 문학, 미술, 음악 등 문예에 미친 영향은 사실 양과 질적 면에서 너무 방대하여 그 연구를 못해왔다고 하는게 타당할 것이다.
그런데 이런 연구를 시도한 그룹이 있다. 막상 이 그룹도 이 일을 기획하여 시작하고 나서 마무리하는 데는 10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그룹 이름과 에피소드는 차정식 교수 통화로 내용 채움).
이익을 산출하는 ‘예술 상품’을 생산하느라 피폐해진 예술적 상상력은 종교, 특별히 각 문예 장르를 망라한 성서에서 거대한 영감의 보고(寶庫)에 젖줄을 댈 수 있고, 문예를 통해 성서해석은 역시 자폐적이고 조잡한 해석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근대 이후 종교와 문예의 관계 설정의 모형은 그리 진지하게 연구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종교와 문예, 특별히 성서라는 한 종교의 경전을 넘어선 인류의 고전으로서 성서와 문예의 관계 설정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절실히 요청된다. 그 관계 설정에 대한 탐구는 우선적으로 ‘성서’라는 인류의 고전이자 고대 세계의 문예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책과 이전까지 문예가 맺어왔던 주요한 사례들을 점검하고, 이를 새로운 시대에 적용해 보려는 데에서 시작될 수 있다. 성서문예학은 이러한 문제의식과 역사적 과제를 인식하고, 성서와 문예의 건강한 관계 모델을 탐색하며, 이를 근거로 문학, 미술, 음악, 영화 등의 각 장르를 성서와 관련하여 탐구하려는 새로운 학제적 연구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부 한국문학과 성서 _차정식
한국 현대소설과 성서신학의 ‘교통 공간’
I. 문제 제기
II. 기독교와 한국 현대소설의 만남
III. 사랑/자유의 ‘천국’과 신학적 변증법: 이청준
IV. 묵시적 ‘하나님의 아들’과 역사적 ‘사람의 아들’: 이문열
V. 초월적 신성과 내재적 역사의 역동적 횡단: 이승우
VI. 요약 및 결론

한국 현대시에 투영된 예수의 초상 - 성서신학적 테마의 변용과 그 유형을 중심으로
I. 문제제기: 한국현대시와 성서, 그 접속의 궤적
II. 순결한 희생과 고독한 사랑의 초상
III. 민중 해방자와 생태적 예수의 초상
IV. 섭동적 구도자와 미학적 견자의 초상
V. 요약과 결론: 낯선 인문적 예수의 미래

2부 영문학과 성서 _권연경
성서와 판타지 - 〈호빗〉에 나타난 요행과 은총
I. 들어가는 말
II. 톨킨의 판타지 이해
III. “요행”이라는 이름의 은총
IV. 요행과 은혜
V. 나가는 말

사실이 된 신화와 신화적 알레고리 - C.S. Lewis의 경우
I. 들어가는 말: 종교적 신념과 문학적 형상화
II. “기쁨”(Joy)을 향한 열망의 변증법
III. 신화, 영원을 향한 지시봉
IV. 사실이 된 신화
V. “신화”로서의 복음
VI. 신화로 쓰는 복음: 복음전달 수단으로서의 신화와 판타지
VII. 기독교인 그리고 작가
VIII. 루이스가 그려내는 사실과 신화의 만남 - 두 간략한 사례
IX. 나가는 말

3부 미술과 성서 _김학철
성서화가란 누구인가 - 성서화비평방법론 시론(試論)
Ⅰ. 들어가는 말
Ⅱ. 성서 독자인 성서화가
Ⅲ. 시각적 주석가인 성서화가
Ⅳ. 예술가로서 성서화가
Ⅴ. 맺는 말

후기 자본주의 속의 종교와 예술 - 앤디 워홀의 경우
Ⅰ. 들어가는 말
Ⅱ. 후기 자본주의 속의 종교와 예술
Ⅲ. 종교와 예술, 앤디 워홀을 두고 ‘카페’에서 만나서 대화하기
- 후기 자본주의 속 종교와 예술의 호혜적 관계 탐색
Ⅳ. 맺는 말

4부 음악과 성서 _양재훈
드뷔시의 “L'Enfant prodique”의 눈으로 본 탕자의 비유
I. 들어가는 말
II. 드뷔시(1862~1918)와 L’Enfant prodigue(1884)의 탄생
III. L’Enfant prodigue(1884)와 ‘돌아온 탕자의 비유’(눅 15:11-32)
IV. 나가는 말

성서학적 관점으로 본 G. Balachine의 Prodigal Son(1929)
I. 들어가는 말
II. 발란신(Balanchine)
III. 〈탕자〉(Prodigal Son, 1929)
IV. 〈탕자, 1929〉와 탕자의 비유
V. 나가는 말

5부 대중문화와 영성 _이택광
실패의 부정성과 삶의 폐해성 - 발터 벤야민의 경우
I. 폐허, 또는 실패의 필연성
II. 부정성이라는 반성의 계기
III. 실패의 균열을 따라 강림하는 희미한 메시아

얼굴, 코스튬, 슈퍼히어로 - 영화와 영성
I. 서론
II. 얼굴성 -기계, 또는 슈퍼히어로
III. 코스튬, 비종교적인 종교성
IV. 실패하는 영웅과 영성
V. 결론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