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그리스도인의 합당한 예배 4: 구원론 종말론 언약 (구원론, 종말론, 언약)
그리스도인의 합당한 예배 4: 구원론 종말론 언약 (구원론, 종말론, 언약)
저자 : 빌헬무스 아 브라켈
출판사 : 지평서원
출판년 : 2019
ISBN : 9788964970775

책소개

『그리스도인의 합당한 예배』, 네덜란드 교회가 가장 사랑한 작품

『그리스도인의 합당한 예배』는 17세기 이후 네덜란드의 경건한 신자들에게서 가장 사랑받은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이 책은 신학과 삶의 일치를 호소했던 네덜란드 제2종교개혁(나더러 레포르마치) 시대의 대표작으로, 이 운동의 기조를 그대로 반영하여 기독교가 고백하는 진리를 풍성하고 세밀하게 서술하면서도, 그 교리를 교회와 신자 개개인의 삶 가운데 적용하고 열매 맺도록 안내한다.

이 책은 영미권에서 존 번연의『천로역정』이 누렸던 인기에 버금갈 만큼 네덜란드에서 널리 읽혔으며, 신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물론이고, 일반 성도들이 가정에서 예배할 때에 함께 읽고 나누는 보편적인 신앙 서적으로 자리 잡았다. 이 작품이 보급되자, 나더러 레포르마치 운동은 네덜란드 전역으로 빠르게 전파되었다. 아 브라켈의 생전에 세 번의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그의 사후에 20판을 찍었고, 30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복간되고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그리스도인의 합당한 예배』, 네덜란드 교회가 가장 사랑한 작품

『그리스도인의 합당한 예배』는 17세기 이후 네덜란드의 경건한 신자들에게서 가장 사랑받은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이 책은 신학과 삶의 일치를 호소했던 네덜란드 제2종교개혁(나더러 레포르마치) 시대의 대표작으로, 이 운동의 기조를 그대로 반영하여 기독교가 고백하는 진리를 풍성하고 세밀하게 서술하면서도, 그 교리를 교회와 신자 개개인의 삶 가운데 적용하고 열매 맺도록 안내한다.

이 책은 영미권에서 존 번연의『천로역정』이 누렸던 인기에 버금갈 만큼 네덜란드에서 널리 읽혔으며, 신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물론이고, 일반 성도들이 가정에서 예배할 때에 함께 읽고 나누는 보편적인 신앙 서적으로 자리 잡았다. 이 작품이 보급되자, 나더러 레포르마치 운동은 네덜란드 전역으로 빠르게 전파되었다. 아 브라켈의 생전에 세 번의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그의 사후에 20판을 찍었고, 30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복간되고 있다.



『그리스도인의 합당한 예배』의 독특성

4,000페이지에 달하는 이 대작은 신학교의 기초 교재보다 더 세부적인 내용들을 많이 담고 있다. 그러나 개혁주의 전통에서 이 작품은 학교보다 가정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이 책은 17세기 아카데미에서 사용하던 라틴어가 아니라 보통 사람들이 사용하는 네덜란드어로 기록되었다. 즉 이 책은 당대 최고의 신학을 하나님의 모든 백성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기록하여 모든 교리적인 요점을 설명하면서, 기독교 신학의 객관적인 진술이 신앙 공동체와 그 공동체에 속한 개개인의 삶과 경건에 얼마나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지를 보여 주고자 하였다.

또한 이 작품은 조직신학 이상의 것을 다룬다는 독특성을 가진다. 아 브라켈은 이 책을 기록하면서 설명된 진리가 독자들의 마음에서 실제로 경험되기를 매우 갈망했다. 그리하여 그는 객관적인 진리와 그 진리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의 결정적인 관계를 탁월하게 이끌어 냈다.



『그리스도인의 합당한 예배』가 왜 우리에게 필요한가?

지금 한국 교회에는 교리를 가르치는 탁월한 서적이 상당히 많이 출판되어 있다. ‘우리가 무엇을 믿을 것인가?’ 하는 갈증은 과거에 비해 상당히 해소되었지만, 그것을 실천적으로 교회와 신자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에 대해 쉽사리 답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목회자에게는 책상 앞에서의 신학과 강대상 앞에서의 가르침 사이에 존재하는 괴리가 있고, 성도에게는 교리의 지식과 현실의 삶 사이에 괴리가 존재한다.

그런데 경험적이고도 고백적인 서술로 쓰인 이 책 『그리스도인의 합당한 예배』는 우리가 교회에서 배우는 교리들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그 모든 교리가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며 나 자신에게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설명해 준다. 머리로 받은 교리적 지식을 심장으로 전달해, 우리가 삶에서 하나님 앞에 무릎을 꿇고 그리스도를 만나는 은혜의 자리로 나아가도록, 즉 로마서 12장 1절에서 말하는 ‘우리가 드릴 영적(합당한) 예배’가 ㅤㅓㅄ우리의 일상생활 가운데 더욱 확고히 자리 잡도록 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스도인의 합당한 예배』의 구성 방식

(1) 구원을 얻는 길(1-41장): 신론, 인간론, 기독론, 교회론, 구원론, 종말론

(2) 언약 백성의 삶(42-99장): 믿음의 삶, 성화와 거룩함, 십계명, 하나님을 영화롭게 함, 하나님을 사랑함, 예수 그리스도를 사랑함, 주기도문, 금식 등

(3) 부록: 하나님의 구속과 언약의 시행



『그리스도인의 합당한 예배』의 기술 방식

(1) 교리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2) 교리 내용을 성경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3) 교리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4) 교리에 대한 반박을 논박한다

(5) 그리스도인과 불신자의 삶에 각각 적용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75_금식

76_깨어 있음

77_고독

78_경건한 묵상

79_노래

80_맹세

81_경험

82_이웃 사랑

83_겸손

84_온유함

85_화평

86_부지런함

87_불쌍히 여김

88_사려 깊음

89_영적 성장

90_경건한 신자의 영적 퇴보

91_영적 유기(방치됨)

92_무신론으로, 또는 하나님의 존재를 부인하도록 이끄는 유혹

93_하나님 말씀의 진리 됨에 관한 유혹

94_자신의 영적 상태를 불신함

95_사탄의 공격

96_남아 있는 부패의 능력

97_영적 어둠

98_영적 무감각

99_성도의 견인



종말론

100_죽음 및 그 이후 영혼의 상태

101_죽은 자들의 부활

102_최후의 심판과 종말

103_영원한 영광



부록: 신약과 구약에서 은혜언약의 시행

1_아담에서 아브라함까지의 교회

2_아브라함에서 시내산(율법)까지의 교회

3_시내산에서 주어진 의식법과 시내산에서 그리스도까지의 교회

4_구약 시대에 존재한 예수 그리스도의 보증직의 본성

5_구약 신자들의 상태

6_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에서 요한계시록까지의 신약 교회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