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로벌다문화교육 법제화방안 : 종합편 (글로벌법제 연구 12-22-5-1)
글로벌다문화교육 법제화방안 : 종합편 (글로벌법제 연구 12-22-5-1)
저자 : 정도희
출판사 : 한국법제연구원
출판년 : 2012
ISBN : 9788966841820

책소개

이 책은 정부의 정책수행 과정과 결과, 각종 통계, 연구조사 결과 등을 소개하는 정부간행물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요약문

Abstract



제1장 서론

제1절 다문화시대 국제사회의 합의

1. 국제 사회 합의 개괄

2. 세부적 검토

3.「국제다문화교육연합」(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Intercultural Education)

제2절 다문화 관련 용어 정의

1. 다문화와 상호문화

2. 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

제3절 다문화사회로서 한국의 다문화현황 특징

1. 한국의 다문화현황

2. 특징



제2장 다문화사회 상황과 교육의 부각

제1절 다문화시대 외국인 증가에 대한 인식

1. 일반의 인식

2.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일반 시민의 인식

제2절 다문화사회에서 나타나는 문제 상황

1. 이주민의 한국 사회 적응 어려움

2. 인권침해와 범죄피해의 문제

3. 범죄가해의 문제

제3절 다문화주의와 교육

1. 다문화교육의 개념

2. 다문화 교육의 목표

3. 다문화교육의 방향



제3장 다문화교육 현황 및 문제점

제1절 한국 사회 다문화 교육 현황 및 정책

1. 다문화학생 현황과 교육

2. 다문화교육 정책 현황

제2절 현행 다문화교육의 문제 상황



제4장 글로벌 다문화교육방안 및 법제화

제1절 다문화교육관련 법제

1. 헌법

2. 현행 교육기본법

3. 다문화가족지원법

4.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5. 기타 법안

제2절 다문화정책과 교육관련 외국 정책 및 법제

1. 캐나다

2. 프랑스

3. 스페인

4. 그리스

5. 미국

6. 아일랜드

제3절 글로벌 다문화교육 정책 및 법제화 현황

1. 민주사회통합을 위한 글로벌 다문화교육 정책 방안

2. 대상별 글로벌 다문화교육 정책 방안

3. 글로벌다문화교육 법제화 방안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캐나다 다문화법

다문화 교육((메릴랜드)주 규정)

미국 뉴멕시코주 Article 23 이중언어 다문화 교육

22-23-1.1. 입법부의 조사결과 (2004)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