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우리 기억 속의 색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청소년권장도서)
우리 기억 속의 색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청소년권장도서)
저자 : 미셸 파스투로
출판사 : 안그라픽스
출판년 : 2011
ISBN : 9788970595894

책소개

2010년 메디치 에세이 상을 수상한 색채학자 미셸 파스투로의 <Les couleurs de nos souvenirs>의 한국어판. 미셸 파스투로가 반세기가 넘는 세월(1950-2010)에 걸쳐 기록한 색의 기억이다. 유행과 패션, 일상생활, 예술과 문학, 신화와 상징, 취향, 언어와 어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관찰의 장에서 색의 역사를 훑고 환기한다.



이 책은 부분적으로는 자서전적이고, 인문학에 속한다. 저자 미셸 파스투로는 여러 해 동안 색의 역사와 상징에 관해 연구하면서 점차적으로 이 책에 대한 착상을 싹틔웠다. 그리고 어느 날 문득 반세기가 넘는 개인의 역사, 프랑스 및 유럽 사회의 역사와 관련된 색에 대한 기억들 그리고 그 용례와 규범들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때가 되었다는 느낌이 들었다.



이 책은 전적으로 자아도취적이지는 않지만, 조금 공상적이기는 하다. 적어도 1950년대 초반부터 오늘날까지 거의 60년에 걸쳐 색에 관해, 보고 경험하고 느낀 것들을 증언하려는 욕구, 그 역사와 변천들을 되새겨 서술하고, 그 영원함과 변화에 가치를 부여하려는 욕구, 그 사회적, 윤리적, 예술적, 시적, 몽환적 쟁점을 강조하려는 갈망에서는 그렇다.



이 책은 어려운 작업, 거의 공상에 가까운 작업이다. 역사학자는 '자기 시대의 증인'으로 나서는 일을 조심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셸 파스투로는 이 작업에 빠져들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2010년 메디치 에세이 상(PRIX MEDICIS ESSAI 2010)을 수상한
색채학자 미셸 파스투로의 『Les couleurs de nos souvenirs』의 한국어판
『우리 기억 속의 색』


“침묵의 영원 속에서 우리 기억 속의 색들이 자취를 감추기 전에...”

기억 속에서 서린 색의 향연

우리의 어린 시절의 색들 중 어떤 것이 남아 있는가?
빨간 바지, 파란 토끼, 노란 자전거로부터 간직되는 기억은 무엇인가?
우리의 학창 시절에, 우리의 첫사랑에, 우리의 삶에서 색은 어떤 존재인가?
색은 우리 기억의 장에 어떻게 기록되었는가?
색은 기억의 변덕이나 발작에 어떻게 희생되는가?

미셸 파스투로가 반세기가 넘는 세월(1950-2010)에 걸쳐 기록한 색의 기억.
유행과 패션, 일상생활, 예술과 문학, 신화와 상징, 취향, 언어와 어휘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관찰의 장에서 색의 역사를 훑고 환기한다.

기획의도
만일 누군가 우리에게 ‘빨간색, 파란색, 검은색, 흰색이라는 단어들이 무엇을 의미하느냐.’고
묻는다면, 우리는 즉시 그 색을 지닌 사물들을 그 사람에게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단어들의 의미를 설명하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색의 관한 고찰』 중에서

색을 정의한다는 것은 쉬운 작업이 아니다. 수세기가 흐르는 동안 색에 대한 정의는 시대와 사회에 따라 변화했으며, 현대에만 국한시켜도 5개 대륙에서 각각 다른 방식으로 이해된다. 여러 문화들은 자연환경, 기후, 역사, 지식, 전통에 따라 각기 다르게 색을 이해하고 정의한다. 이때 서구의 지식은 절대적 진리가 아니다. 다른 여러 지식들 가운데 존재하는 지식일 뿐이다. 또한 서구의 지식이 늘 같은 의미를 지니는 것도 아니다.
이 책은 부분적으로는 자서전적이고, 인문학에 속한다. 저자 미셸 파스투로는 여러 해 동안 색의 역사와 상징에 관해 연구하면서 점차적으로 이 책에 대한 착상을 싹틔웠다. 그리고 어느 날 문득 반세기가 넘는 개인의 역사, 프랑스 및 유럽 사회의 역사와 관련된 색에 대한 기억들 그리고 그 용례와 규범들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때가 되었다는 느낌이 들었다. 이 책은 전적으로 자아도취적이지는 않지만, 조금 공상적이기는 하다. 적어도 1950년대 초반부터 오늘날까지 거의 60년에 걸쳐 색에 관해, 보고 경험하고 느낀 것들을 증언하려는 욕구, 그 역사와 변천들을 되새겨 서술하고, 그 영원함과 변화에 가치를 부여하려는 욕구, 그 사회적, 윤리적, 예술적, 시적, 몽환적 쟁점을 강조하려는 갈망에서는 그렇다.
이 책은 어려운 작업, 거의 공상에 가까운 작업이다. 역사학자는 ‘자기 시대의 증인’으로 나서는 일을 조심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셸 파스투로는 이 작업에 빠져들었다.

도서구성
하나. 시각적 이미지를 보여주지 않고도 색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다고?
그렇다. 이 책에는 시각적 이미지들이 없다. 하지만 그 여느 색견본집보다도 무궁무진한 색의 상상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 책은 ‘색을 위한 라디오’라 할 수 있다.

둘. 이 책에 컬러 이미지들이 없어서 오히려 독자 여러분에게 방해가 되는 것일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색이 추상적인 개념이며, 지적 범주에 속한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계기가 된다. 또한 색은 단어이고, 시대와 장소에 따라 달라지고, 자주 현실과 격차를 보이는 변화무쌍한 명찰이다.

당신의 기억 속의 색들을 모두 꺼내어보자.
어쩌면 이 책은 저자의 기억력과 상상력, 그리고 독자의 기억력과 상상력으로 하여금 지나치게 생기 넘치는 색의 옷을 입히게 할런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여기에서 언급하는 색은 모두 저자의 어린 시절과, 색에 관한 오래된 기억과 결부되고, 때론 이따금 저자의 상상력이 그 공백을 메우기 때문이다. 그리고 당신은 그 글 속에서, 단어 속에서 색의 포로가 된다.
색에 관한 이 책은 덧없이 사라지는 인상, 개인적 기억, 실제로 겪은 경험들에 의지할 뿐만 아니라 현실에서 취한 묘사, 학술적 여담, 문헌학자와 사회학자와 저널리스트들의 언급에 의지한다. 그러면서 어휘들과 사실들, 옷과 유행, 일상용품과 생활 습관, 문장(紋章)과 국기, 스포츠, 문학, 그림, 예술적 창조 등 수많은 분야를 관통할 것이다.

우리 기억 속의 색 - 추천 기사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입는 옷들의 색 중에는 검은색, 회색, 갈색이 왜 그렇게 많을까? 우리가 선호하는 색이어서일까, 아니면 실수로 인한 선택일까?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우리가 입는 옷의 색이 우리의 취향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우리가 좋아하는 색의 옷을 입을까? 이 질문에 그렇다고 대답하는 것은 너무 순진한 일일 것이다. 통념과 달리 우리는 옷의 색을 선택할 때 별로 자유롭지 못하다. 인간은 혼자 살지 않으며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뭔가를 선택할 때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한다. 이 시선은 때로는 강압적이거나 압제적이다.

“나는 미래의 역사학자들에 대해 자주 생각한다. 21세기를 살았던 우리가 정말로 잡지에 나오는 사진들처럼 옷을 입었다고 믿을 만큼 그들이 순진하지 않기를 바란다.”

싫어하는 색에 관한 의견 조사는 우리가 좋아하는 색과 우리가 실제로 몸에 걸치고 다니는 색들 사이의 격차가 얼마나 큰지를 잘 보여준다. 우리가 즐겨 입는 옷 색 중 검은색이나 갈색은 싫어하는 색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가장 많이 나오는 색에 속한다.
우리는 마조히스트일까? 우리는 의복 제조업자의 악취미의 희생양일까? 색은 모든 분석과 담론에 저항하는 사회적 대상일까? 색은 오로지 색 자체로서만 이야기해야 하는 것일까?
- 르 몽드 Le Monde

미셸 파스투로가 60여 년을 사는 동안 보아온 색들에 관해 이야기한다. 때로는 세심하게, 때로는 몽상적으로, 그러나 언제나 주의 깊게 증언한다. 그는 인간들의 ‘색에 관한 변덕’을, 색들에 관한 기피를, 시대와 나라, 개인에 따른 색에 관한 미신, 색들에 관한 선호를 이야기한다. 어린 시절의 느낌들, 소소한 즐거움, 색에 대해 느낀 반감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늘 경쾌하고 정확하게 색의 복잡한 유희들을 해독해내며 결코 싫증을 내지 않는다. 그의 책 덕분에 우리는 지루하지 않고 즐겁게 색을 생각하게 된다.
- 라 캥젠 리테레르 La quinzaine litt?raire

색에 관한 기억들은 역사학자 미셸 파스투로의 연구 생활을 이끌어준 동력이었다. 미셸 파스투로는 1970년대 중반 색을 연구하는 유일한 사람이나 다름없었다. 그는 자신의 어린 시절과 젊은 시절에서 기억들을 떠올려, 자신의 연구 경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색에 대한 매혹을 이야기한다. 과거 및 현재의 세계에서 색은 그것이 실행되는 무한한 색들을 통해서만 진정으로 약동한다. 이것은 귀중한 선물과도 같은 저서이며 색의 미묘함을 찾아내도록 우리를 설득한다.
- 라 크루아 La croix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기억을 위한 색



의복

태초에 노란색이 있었다

줄무늬의 부산함

감색 블레이저

질서를 전복하는 바지

어떤 파란색

옷에서 신화로

몸에 직접 닿는 물건들의 색

점잖은 색은 중성적

미테랑 베이지

날씬해 보이는 색

런던의 지하철에서



일상생활

내 어머니의 약국

필리프에 관한 슬픈 일화

사탕 자판기

자신의 색 고르기: 불가능한 임무?

칙칙한 풍경들

지하철 티켓

빨강인가, 파랑인가

삼색 신호등

색과 디자인: 실패한 만남?

색 소비하기



예술과 문학

어느 화가의 작업실에서

두 시대 사이의 화가

영화관에서

아이반호

모음들

적과 흑

영화 속의 크레티앵 드 트루아

분홍돼지와 흑돼지

달리가 점수를 매겼을 때

위대한 화가의 색

색에 관심 없는 역사학자들

시간의 작업



스포츠 분야

골키퍼와 심판

노란 자전거

바르탈리와 이탈리아 국기

투르 드 웨스트

‘감법에 의한’ 색

쉬운 색과 어려운 색

분홍색과 주황색



신화와 상징

빨간 두건 이야기

학교에서 라틴어가 번영하길

문장학의 발견

검은 고양이

초록색에 관한 미신

운명의 색

국기 접기

두려움을 유발하는 주제

체스 게임

비트겐슈타인과 문장의 색



취향과 색

미국에서 온 선물

세월에 따른 선탠에 대한 의식 변화

바르탈리와 이탈리아 국기

투르 드 웨스트

‘감법에 의한’ 색

쉬운 색과 어려운 색

분홍색과 주황색



단어들

갈색과 베이지색

철자법과 문법

경마하는 날

색의 0도

전체를 대신하는 부분

그리스의 파란색

색조의 실종

보여주지 않고 색에 대해 말하기



색이란 무엇인가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