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도시 환경과 공원 디자인
도시 환경과 공원 디자인
저자 : 고성종^고필종
출판사 : 광문각
출판년 : 2009
ISBN : 9788970935317

책소개

세계인들에게 찾고 싶은 곳, 독자적인 문화와 이미지가 있는 곳으로 인정 받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만의 특징적이고 상징적인 공원을 조성해 새로운 도시 환경을 만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말한다. 잘 만들어진 공원은 도시 전체의 분위기를 개선하고 사람들에게 생활의 여유를 제공한다. 청계천 개방과 같이 최근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들 역시 그런 효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한 발 더 나아가 창조적인 발상으로 개성 있는 공간을 연출할 필요가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유럽의 많은 나라들은 선조가 잘 가꾸어 놓은 문화 유산인 아름다운 도시와 건축물을 잘 활용하여 수많은 관광객들이 매일 도시를 메우고 있다. 그들은 이러한 관광 수입으로 국가의 경제력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도시 공간 안에 광장, 공원, 분수대, 휴식 공간 등이 없었다면 사정은 다를 수 있다.



미국은 역사도 짧고 문화 유산도 없다. 그런데 현시대 세계의 경제와 문화 등을 이끌고 있다. 그것은 자연 유산의 철저한 관리, 미래를 추구하는 첨단 과학, 휴식과 즐거움을 주는 엔터테인먼트, 그리고 세계의 인재들이 모인 교육 시스템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세계인들이 미국에서 인정을 받고 꿈을 펼치기를 원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도 이제는 그린 프로젝트 새로운 도시 환경을 만들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최선을 다 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청계천 개방 공간 등 실행하고 있는 것은 있지만 전국적으로 보면 아직까지도 어설픈 형식에 머무는 수준에 있다. 특히 남의 것을 모방만 하는 도시 환경은 결코 개성적인 이미지를 줄 수 없다.



작은 것이든 큰 것이든 우리 것을 찾고, 많은 예산으로 추진하는 계획보다는 예산이 적게 드는 아이디어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앞으로 지역적 특색과 역사를 담은 공원을 디자인하고, 우리만이 할 수 있는 특징적이고 상징성 있는 공원을 만들어가야 한다.

이 책에서 세계 공원 사례와 범위, 그리고 공원의 필요성을 언급한 것은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과 우리 삶의 질을 무엇으로 매울 수 있는가를 생각해 보기 위함이다. 이 생각의 답은 바로 공원 확대와 우리 것을 새롭게 찾는 일들이 될 것이다.



공원이 도시를 살린다. 도시에는 다양한 공원이 반드시 계획되어야 한다. 공원의 총체적 의미는 휴식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삭막한 도시 안에 휴식 공간마저 없다면 그 도시는 죽은 도시라고도 말한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환경(콘크리트와 철재 건축물, 현란한 광고물과 사인 등) 안에서 우리들은 생활하지만, 자연을 끌어들인 공원이 없는 도시 환경은 물 없는 사막과도 같다. 이를 대변하듯 도시인들은 주말이면 대부분 자연이 있는 아름다운 교외로 떠나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를 빌딩의 숲이 아닌 자연의 숲으로 바꾸어 나가는 일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세계의 도시들은 인간을 위한 도시, 삶의 도시로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들이 도시로 몰려들기 때문이다.

도시는 인간의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할 수 있는 곳으로 사람들 간의 교제, 볼거리와 즐거움, 낭만, 이벤트, 세계의 흐름과 패션, 에너지, 그리고 개개인의 꿈을 키울 수 있는 미래 비전도 제시해 준다.

도심 속의 좋은 도시환경디자인과 공원은 주민에게 자부심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도시를 새로운 이미지로 개선시킬 수 있고 도시의 경제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삶의 에너지를 충족시키고, 자연에 대한 고마움을 느끼게 하며,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데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황폐화된 도시를 살릴 수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01 공원 디자인
1. 공원 역사와 유래
2. 자연과 공원 계획
3. 도심 속 공원과 도시 이미지
4. 도심 속의 공원 디자인과 미래
02 도심 속의 휴식 공간
1. 도심 생활 속의 휴식 공간
2. 실내 휴식 공간
3. 쾌적한 환경 조건과 시설물
03 어린이 놀이 공간과 레크레이션
1. 놀이 공간과 교육
2. 레크레이션 공간
3. 놀이 환경과 안전성
4. 놀이 공간 디자인
04 정원 디자인
1. 정원의 유례
2. 정원의 유형과 기능
3. 정원의 심리적 배경과 새로운 요소
4. 정원 디자인
05 공원(Park)의 분류
1. 도심의 공원 (City park)
2. 포켓공원 (Poket Park)
3. 미니공원 ( Mini Park)
4. 주제공원 (Theme Park)
5. 국립공원 (National Park)
6. 위락공원 (Amusium Park)
06 휴식 공간(rest area)의 분류
1. 도심, 휴식 공간 (City, Rest Area)
2. 상업 지역 휴식 공간(Commercial Area, Rest Spaces)
3. 분수대 공간(Water Fountain & Spaces)
4. 정원(Gardens)
07 놀이 공간(Playground)의 분류
1. 놀이 공간 (Playground)
2. 학교 내 놀이 공간 (School of Play spaces)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