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지식정보의 소통과 한국 금속활자 발달사 : 고려시대
지식정보의 소통과 한국 금속활자 발달사 : 고려시대
저자 : 남권희
출판사 : 경북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18
ISBN : 9788971804858

책소개

우리나라의 출판문화는 전 세계에서 유래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역사나 현존하는 유물 등에서 우수성과 독창성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활자의 경우 손쉽게 만들 수 있는 목활자, 토활자를 비롯하여, 비록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고 초기 비용이 많이 드나 오랫동안 사용·보관이 가능한 금속활자 등이 그 용도에 맞게 제작되고 사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활자는 중앙정부와 지방 관청 및 문중과 서원, 사찰, 개인에 이르기까지 수요나 목적에 따라 그 수량, 서체, 크기, 한글자 등의 측면에서 다양하게 주조되어 지식과 정보의 유통은 물론 축적에 이르기까지 전통시대의 학술을 진흥시키는 최고의 매체가 되었다.
이러한 한국의 금속활자 인쇄문화에 대하여 본 책에서는 인문학적 방법은 물론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여러 가지 방향으로 접근하였고, 또한 그간에 새롭게 알려진 자료나 기록과 함께 기존에 알려져 있었으나 제대로 검토되지 않았던 자료를 재조명하여 고려시대(제1권)와 조선시대(제2권)로 나누어 한국 금속활자 인쇄문화를 분석하였다.

제1권 '고려시대' 편에서는 활자 연구의 방법론과 초기 활자의 시원으로서 고려시대의 활자 인쇄와 관련된 연구를 집약하였다. 주요 내용은 13세기 초반 개성에서 주조된 證道歌字를 중심으로 이를 사용하여 인출된 『南明泉和尙頌證道歌』와 『東國李相國全集』 번각본, 그리고 14세기 지방 사찰에서 주조된 활자의 인쇄본인 興德寺字本 『直指』와 흥덕사자 번각본인 『慈悲道場懺法集解』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려시대 금속활자 인쇄문화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한편 證道歌字를 통하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띳’ 자에 대한 여러 가지 의문과 논란을 해결할 수 있었고, 증도가자와 함께 발견된 네 다리를 가진 새로운 형태의 활자는 서체와 형태 등에서 고려 활자로부터 조선 초기 癸未字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우리나라의 출판문화는 전 세계에서 유래를 찾기 힘들 정도로 그 역사나 현존하는 유물 등에서 우수성과 독창성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활자의 경우 손쉽게 만들 수 있는 목활자, 토활자를 비롯하여, 비록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고 초기 비용이 많이 드나 오랫동안 사용·보관이 가능한 금속활자 등이 그 용도에 맞게 제작되고 사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활자는 중앙정부와 지방 관청 및 문중과 서원, 사찰, 개인에 이르기까지 수요나 목적에 따라 그 수량, 서체, 크기, 한글자 등의 측면에서 다양하게 주조되어 지식과 정보의 유통은 물론 축적에 이르기까지 전통시대의 학술을 진흥시키는 최고의 매체가 되었다.

이러한 한국의 금속활자 인쇄문화에 대하여 본 책에서는 인문학적 방법은 물론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여러 가지 방향으로 접근하였고, 또한 그간에 새롭게 알려진 자료나 기록과 함께 기존에 알려져 있었으나 제대로 검토되지 않았던 자료를 재조명하여 고려시대(제1권)와 조선시대(제2권)로 나누어 한국 금속활자 인쇄문화를 분석하였다.



제1권 ‘고려시대’ 편에서는 활자 연구의 방법론과 초기 활자의 시원으로서 고려시대의 활자 인쇄와 관련된 연구를 집약하였다. 주요 내용은 13세기 초반 개성에서 주조된 證道歌字를 중심으로 이를 사용하여 인출된 『南明泉和尙頌證道歌』와 『東國李相國全集』 번각본, 그리고 14세기 지방 사찰에서 주조된 활자의 인쇄본인 興德寺字本 『直指』와 흥덕사자 번각본인 『慈悲道場懺法集解』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고려시대 금속활자 인쇄문화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한편 證道歌字를 통하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띳’ 자에 대한 여러 가지 의문과 논란을 해결할 수 있었고, 증도가자와 함께 발견된 네 다리를 가진 새로운 형태의 활자는 서체와 형태 등에서 고려 활자로부터 조선 초기 癸未字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제1장 총설

제1절 머리말

제2절 전통시대의 기록매체와 기능

제3절 금속활자의 형이상학적 의미

제4절 출판에 의한 중앙과 지방의 소통

제5절 활자 주조 관련 기록과 문화적 소통

제6절 전통시대의 활자 인쇄 문화

제7절 활자의 형태와 조판 방법의 변천

제8절 활자 서체의 변천



제2장 금속활자 연구법

제1절 기존의 연구 성과

제2절 관련 기록류

제3절 字藪

제4절 실증적 활자 조사 및 연구법

제5절 금속활자 주조법

제6절 인본 조사와 연구

제7절 실물활자와 소장처

제8절 금속활자 연구의 방향



제3장 證道歌字 연구

제1절 證道歌字 발견과 연구의 전개 과정

제2절 고려시대 실물 금속활자와 연구의 제 문제

제3절 實物活字

제4절 證道歌字의 傳存 현황과 형태적 특징

제5절 활자 자형과 『證道歌』 인본의 글자 대조

제6절 활자 형태로 본 鑄造法

제7절 父字를 이용한 鑄物沙 鑄造

제8절 證道歌字의 주조 활자 수량

제9절 『東國李相國全集』의 조판 방법

제10절 복제 활자의 배열에 의한 조판 시험



제4장 證道歌字의 과학적 분석

제1절 금속활자 성분 분석 사례

제2절 證道歌字의 금속 성분 분석

제3절 먹의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제4절 납 동위원소비 분석에 의한 금속 재료의 생산 지역 추정



제5장 證道歌字의 서체 분석

제1절 증도가자의 서체 분석

제2절 서체 비교를 통한 증도가자 조성 시기 분석

제3절 여말선초 금속활자 서체와 證道歌字 字形의 비교

제4절 증도가자의 개별 활자 서체 분석



제6장 『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간행과 판본

제1절 『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간행과 판본

제2절 『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판본

제3절 『南明泉和尙頌證道歌』 飜刻本의 특징

제4절 고려시대 실물 금속활자와 연구의 제 문제



제7장 『東國李相國全集』의 간행과 판본

제1절 『東國李相國全集』의 선행 연구

제2절 李奎報의 생애

제3절 蒙古의 침략과 『東國李相國全集』 편찬의 시대적 배경

제4절 『東國李相國全集』의 편찬과 체제

제5절 『東國李相國全集』의 刊行과 版本

제6절 『東國李相國全集』의 版式과 書體

제7절 종합



제8장 『直指』

제1절 개요

제2절 금속활자본 『直指』의 특징

제3절 『直指』 활자 분류

제4절 版心과 邊欄 비교

제5절 『直指』의 활자 조판



제9장 『慈悲道場懺法』의 판본과 興德寺字本 『慈悲道場懺法集解』 분석

제1절 『慈悲道場懺法』의 판본

제2절 日本 南禪寺 소장 『慈悲道場懺法』

제3절 『慈悲道場懺法集解』의 개요

제4절 彌授의 생애와 사상

제5절 引用文獻 분석

제6절 『慈悲道場懺法集解』와 『直指』의 형태서지 비교



제10장 고려시대 金屬活字 인쇄와 출판문화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