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친애하고, 친애하는 (백수린 소설)
친애하고, 친애하는 (백수린 소설)
저자 : 백수린
출판사 : 현대문학
출판년 : 2019
ISBN : 9788972759706

책소개

엄마가 나아간 바로 그곳에서부터 새로운 꿈을 꾸기 시작한 딸의 이야기

당대 한국 문학의 가장 현대적이면서도 첨예한 작가들을 선정하여 선보이는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제11권 『친애하고, 친애하는』. 문지문학상, 이해조소설문학상을 연달아 수상하며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젊은 작가 백수린이 2018년 8월호 《현대문학》에 발표한 소설을 퇴고해 장편소설로 재탄생시켰다. ‘사랑한다’는 고백으로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 엄마에 대한 마음을 ‘친애하는’에 담은, 누군가의 엄마이거나 혹은 딸로 살아왔고, 또 살아가는 모든 여성들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스물두 살, 공대 휴학 중인 나는 할머니 댁으로 가서 할머니를 돌봐드리라는 엄마의 전화를 받는다. 매사에 철두철미한 지방대 토목공학과 교수인 엄마와 달리 나는 학사경고를 받은 전력에, 아직 미래에 대한 고민이 많아 휴학까지 한, 늘 엄마 앞에 부족한 딸일 뿐이다. 그런 내게 엄마의 갑작스런 부탁은 마치 나를 할머니 댁으로 또다시 유배 보내려는 것처럼 느껴져 서럽기만 하다.

어린 시절 홀로 남겨진 나의 결핍을 채워준 건 할머니였다. 할머니는 늘 나를 살뜰히 챙겼다. 건강과 일상을 염려하고 살피고 배려하는 게 모녀 관계라면 차라리 나에게는 할머니가 엄마였다. 그런 할머니와 다시금 지내게 된 이후 나는 무시와 폭력을 견디며 사랑 없는 결혼생활을 하고 힘들게 낳은 아들을 사고로 잃은, 그리고 그 아픔을 딸을 통해 이겨내고 싶었던 할머니의 삶을 새롭게 알게 된다.

그리고 그 할머니와 할아버지의 꿈을 대신 살아내기 위해 갓난아이인 나를 홀로 남겨두고 유학을 떠나야 했던 엄마의 비정한 삶을 이해하게 된다. 그러나 부족하다고 느끼는 모든 부분에서 엄마를 비교 대상으로 삼는 나는 여전히 엄마를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고, 이런 거리감을 극복하지 못하는 모녀의 관계는 할머니와 엄마 사이에서도 반복된다. 그러던 차, ‘강’과의 사이에서 예상치 못한 임신을 하게 되고, 그렇게 얻어진 아이는 내 삶을 송두리째 바꿔놓는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당대 한국 문학의 가장 현대적이면서도 첨예한 작가들을 선정, 신작 시와 소설을 수록하는 월간 『현대문학』의 특집 지면 의 열한 번째 소설선, 백수린의 『친애하고, 친애하는』이 출간되었다. ‘사랑한다’는 고백으로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 엄마에 대한 마음을 ‘친애하는’에 담은, 누군가의 엄마이거나 혹은 딸로 살아왔고, 또 살아가는 모든 여성들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을 연달아 수상하며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젊은 작가 백수린이 내놓은 이번 작품은 2018년 6월호 『현대문학』에 발표한 소설을 퇴고해 발표한 것이다.

누군가의 엄마로 살아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처음 엄마가 된 여성들은 자신의 엄마를 통해 그 삶을 짐작할 뿐이다. 그러나 내가 기준으로 삼은 나의 엄마 역시 엄마로서의 삶은 낯선 것이었다. 그러하기에 세상의 모든 엄마들은 치열하게 자신의 닥친 지금의 삶을 살아냄과 동시에 체념과 헛된 포부들로 삶들을 채운다. 동시에 나의 딸은 나와 같은 삶을 살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 반복되는 이런 여성들의 비극은 이 모든 것이 엄마가 된 이후에 비로소 깨달아진다는 데서 시작된다.

스물두 살, 공대 휴학 중인 나는 할머니 댁으로 가서 할머니를 돌봐드리라는 엄마의 전화를 받는다. 출산 직후 나를 할머니에게 맡기고 미국 유학을 다녀온 지방대 토목공학과 교수인 엄마는 지금도 여전히 집보다는 일을 중시하는 사람이다. 매사에 철두철미한 엄마와 달리 나는 학사경고를 받은 전력에, 아직 미래에 대한 고민이 많아 휴학까지 한, 늘 엄마 앞에 부족한 딸일 뿐이다. 그런 내게 엄마의 갑작스런 부탁은 마치 나를 할머니 댁으로 또다시 ‘유배 보내려’는 것처럼 느껴져 서럽기만 하다.
어린 시절 홀로 남겨진 나의 결핍을 채워준 건 할머니였다. 할머니는 늘 나를 살뜰히 챙겼다. 건강과 일상을 염려하고 살피고 배려하는 게 모녀 관계라면 차라리 나에게는 할머니가 엄마였다. 그런 할머니와 다시금 지내게 된 이후 나는 무시와 폭력을 견디며 사랑 없는 결혼생활을 하고 힘들게 낳은 아들을 사고로 잃은, 그리고 그 아픔을 딸을 통해 이겨내고 싶었던 할머니의 삶을 새롭게 알게 된다. 그리고 그 할머니와 할아버지의 꿈을 대신 살아내기 위해 갓난아이인 나를 홀로 남겨두고 유학을 떠나야 했던 엄마의 비정한 삶을 이해하게 된다. 그 이후 점차 나는 엄마에 대한 서운함을 씻어내고 엄마에게 버려진 듯 느껴졌던, 하찮게만 보였던 나의 삶을 있는 조금씩 긍정하게 된다.
그러나 부족하다고 느끼는 모든 부분에서 엄마를 비교 대상으로 삼는 나는 여전히 엄마를 완벽히 이해하지 못하고, 이런 거리감을 극복하지 못하는 모녀의 관계는 할머니와 엄마 사이에서도 반복된다. 표현하고 수용하는 방식이 다른 데서 빚어지는 이 간극은 서로에게 인정받기 위한 남모를 노력에도 불구하고 쉽사리 좁혀지지 않는다. 할머니와 매번 마찰을 빚는 엄마의 태도가 모순적이라고 느끼지만 그런 엄마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나 역시 마찬가지다.
그러던 차, ‘강’과의 사이에서 예상치 못한 임신을 하게 되고, 그렇게 얻어진 아이는 내 삶을 송두리째 바꿔놓는다. 준비 없이 맞은 엄마로서의 삶은 자식으로부터 남편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어 했던 엄마와 할머니의 삶을 다시 사는 것이었고, 그런 과정을 통해 나는 비로소 나의 삶이자 할머니로까지 이어지는 어머니의 삶을 온전히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된다.

“엄마에게. 이 네 글자를 적은 뒤 다음에 쓸 말을 고르느라 머뭇거려본 이들을 위한 소설이다. 세상의 어떤 말로도 엄마를 향한 마음의 깊이와 넓이를 형언할 수 없을 것 같을 때 이 소설은 적절한 해답 하나를 건네주는 것처럼 보인다. 엄마를 떠올리면 자연스레 마음속에 차오르는 이중적이고 모순된 감정들, 애정과 미움, 고마움과 서운함, 동경과 연민의 파고를 감당하면서 이 소설은 엄마에게 해야 할 말, 하지 않으면 후회할 그 한마디 말을 빚어내기 위해 진지하게 나아간다. 그리하여 백수린은 ‘사랑한다’는 고백으로는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 엄마에 대한 그 마음을 ‘친애하는’이라는 표현에 담기로 하였고, 이 소설을 다 읽고 나면 우리는 그 말이 엄마에게 선사하기에 맞춤한 바로 그 한 단어라는 것을 확신할 수 있게 된다.”(신샛별)

딸은 엄마 또는 위 세대 여성이 나아간 바로 그곳에서부터
새로운 꿈을 꾸기 시작한다

이 소설은 누군가의 엄마이거나 딸로 살아왔고, 또 살아가는 중인 ‘여성의 이야기’로 그 외연을 넓히면서 ‘엄마’라는 주체성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던지는 지점으로까지 나아간다. (……) 이 소설은 ‘할머니-엄마-나’로 세대를 유전해 내려올수록 더 많은 자유를 누릴 수 있기를 염원하고 또 몸소 실현해 보이기를 주저하지 않은 여성의 이야기로 읽혀야 한다. 이렇게 읽을 때, 엄마가 된다는 것은 자유의 가능성을 낳는다는 말과 같아질 수 있다. ‘자유’라는 추상을 향한 여성의 이어달리기가 진행되는 동안에 이 소설은 마치 바통처럼, 다음 세대의 여성에게 전달돼야 할 친애의 역사의 기록으로 남을 것이다.
-신샛별, 「작품해설」 중에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친애하고, 친애하는 009

작품해설 130
작가의 말 144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