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영적 전쟁 (바울 서신으로 본 사탄과 악한 영들)
영적 전쟁 (바울 서신으로 본 사탄과 악한 영들)
저자 : 클린턴 E. 아놀드
출판사 : 이레서원
출판년 : 2020
ISBN : 9788974355289

책소개

성경신학을 기본으로 삼고, 외경 연구 ㆍ 고고학 ㆍ 사회학 ㆍ 문학을 넘나들며 밝혀내는
사탄과 악한 영적 세력의 실체

에덴동산 사탄의 시험, 1세기 점성술과 우상 숭배, 21세기 오컬트와 사회악까지, 개인과 교회와 사회를 망치려는 사탄의 역사와 궤계. 오늘날 우리는 악한 사탄이 지속적으로 파괴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세계 도처에서 느끼고 있다. 전쟁과 테러, 빈곤, 경제적 착취, 인종 차별이 전 세계에서 명백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리스도인도 그를 죄짓게 하려는 사탄의 유혹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실제로 많은 신자들이 사탄의 유혹에 무력하게 굴복한다. 간음, 재정 관련 부정, 위선, 분열과 같은 일들이 현대 교회 안에서도 자주 일어난다. 많은 목회 상담자들은 그리스도인이 마귀의 직접적인 활동으로 인해서 고통당하는 수많은 사례를 보고한다.

성경은 악한 영이 존재한다는 사실뿐 아니라, 그 영이 그리스도인에게 매우 적대적이라는 사실을 가르친다. 하지만 귀신과 사탄과 악한 영의 권세에 관해서 신중하게 성경신학을 발전시킨 책은 거의 없다. 클린턴 아놀드는 신약학자로서 이 주제에 관한 바울 서신의 가르침을 세심하게 주해해 나간다. 바울 서신의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 예수님의 사역과 가르침, 구약 성경과 유대교(외경과 사해문서), 그리스-로마와 고대 동방의 종교, 1세기 마술과 마법과 점술까지 두루두루 고찰한다. 최근 일부 학자들은 바울이 언급한 “통치자들과 권세들”(principalities and powers)을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구조, 즉 비인격적인 존재로 이해한다. 그러나 아놀드는 이 해석에 반대하면서, 이 영적 세력들을 인격적 존재로 보는 것이 신약 성경의 가르침이라고 주장한다. 이 책은 악한 영적 세력의 실체가 무엇인지, 그 세력이 어떤 식으로 이 세상과 우리 삶에 개입하는지, 그리스도인은 그 세력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성경신학적인 관점에서 논리적으로 설명한다.

▶ 이 책은 『바울이 분석한 사탄과 악한 영들』(이레서원, 2008) 개정판입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에덴동산 사탄의 시험, 1세기 점성술과 우상 숭배, 21세기 오컬트와 사회악까지,

개인과 교회와 사회를 망치려는 사탄의 역사와 궤계



성경신학을 기본으로 삼고, 외경 연구 ? 고고학 ? 사회학 ? 문학을 넘나들며 밝혀내는

사탄과 악한 영적 세력의 실체



오늘날 우리는 악한 사탄이 지속적으로 파괴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세계 도처에서 느끼고 있다. 전쟁과 테러, 빈곤, 경제적 착취, 인종 차별이 전 세계에서 명백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리스도인도 그를 죄짓게 하려는 사탄의 유혹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실제로 많은 신자들이 사탄의 유혹에 무력하게 굴복한다. 간음, 재정 관련 부정, 위선, 분열과 같은 일들이 현대 교회 안에서도 자주 일어난다. 많은 목회 상담자들은 그리스도인이 마귀의 직접적인 활동으로 인해서 고통당하는 수많은 사례를 보고한다.

성경은 악한 영이 존재한다는 사실뿐 아니라, 그 영이 그리스도인에게 매우 적대적이라는 사실을 가르친다. 하지만 귀신과 사탄과 악한 영의 권세에 관해서 신중하게 성경신학을 발전시킨 책은 거의 없다. 클린턴 아놀드는 신약학자로서 이 주제에 관한 바울 서신의 가르침을 세심하게 주해해 나간다. 바울 서신의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 예수님의 사역과 가르침, 구약 성경과 유대교(외경과 사해문서), 그리스-로마와 고대 동방의 종교, 1세기 마술과 마법과 점술까지 두루두루 고찰한다. 최근 일부 학자들은 바울이 언급한 “통치자들과 권세들”(principalities and powers)을 사회적?경제적?정치적 구조, 즉 비인격적인 존재로 이해한다. 그러나 아놀드는 이 해석에 반대하면서, 이 영적 세력들을 인격적 존재로 보는 것이 신약 성경의 가르침이라고 주장한다.

이 책은 악한 영적 세력의 실체가 무엇인지, 그 세력이 어떤 식으로 이 세상과 우리 삶에 개입하는지, 그리스도인은 그 세력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성경신학적인 관점에서 논리적으로 설명한다.



* 이 책은 『바울이 분석한 사탄과 악한 영들』(이레서원, 2008) 개정판입니다.





악한 영의 사악한 부추김이 우리 일상생활과 이 세상에 어떤 식으로 해를 끼치는가?

어떻게 하면 양극단을 피하고, 영적 세계에 관한 균형 잡힌 사고방식을 가질 수 있을까?



1세기 유대인, 헬라인, 로마인, 이집트인은 모두 하늘과 지하와 지상 세계에 존재하는 영을 믿었다. 이들은 초자연적인 영역이 사람들의 일상과 운명을 조종한다고 믿었다. 바울이 사역하던 당시, 에베소는 그 도시의 수호 여신인 아르테미스로 유명했다. 아르테미스는 지하 세계의 여신이며, 인간의 운명을 지배하는 별의 영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우주적 신이라고 사람들은 믿었다.

아르테미스 숭배는 종교일 뿐 아니라 에베소 지역 사회 생활의 중심이기도 했다. 아르테미스 신전은 사람들이 돈을 저축하거나 빌리는 주요 기관이었다. 아르테미스의 명예를 기리는 운동 경기에 참여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었다.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은 아르테미스 신전에서 돈을 빌려도 되는지, 아르테미스를 기리는 경기에 참여해도 되는지 등과 같은 문제로 고민했을 것이다. 에베소는 아르테미스 외에도 최소한 44종에 이르는 신들과 여신들을 숭배하고 있었다.

골로새와 고린도의 기독교 개종자들도 비슷한 의문을 가졌을 것이다. 악한 영들에게서 지켜 달라고 신이나 천사에게 호소하는 부적을 몸에 지니면 왜 안 되는가? 별의 영이나 위험한 야생 동물의 영들로부터 보호해 주는 헤카테나 셀레네 여신을 숭배하면 왜 안 되는가? 데메테르의 신비 제의를 수행하면서 여호와의 거룩한 날을 함께 지키면 영성이 더 깊어지는 것이 아닌가?

우리는 별 생각 없이 에베소서, 골로새서, 고린도전후서를 우리 자신의 문화적 렌즈를 통해서 읽기 때문에 1세기 그리스도인이 당면했던 많은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우리가 만일 1세기에 살던 새 신자들이 마음에 품었을 법한 질문을 안다면, 바울이 통치자들과 권세들에 대해서 말한 것과 관련해서 신약 성경을 더욱 생생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1세기 그리스도인은 사탄과 악한 영을 어떤 관점에서 생각해야 하는가? 성경이 말하는 악한 영은 그저 신화일 뿐인가? 아니면 사회의 구조적인 악일 뿐인가? 아놀드 박사는 바울이 말하는 ‘통치자들과 권세들’, 즉 악한 영적 권세는 인격적 실체이며, 지금도 여전히 이 세상에서 개인과 사회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논증해 보인다. 영적 세력들은 단지 저 멀리 하늘 ‘위에서’ 자기들끼리 싸우고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여기 우리 곁에 있으면서 우리의 감정과 결정에 영향을 끼치려고 기회를 노리고 있다.

특히 사탄과 그의 세력들의 주요 공격 대상은 교회다. 사탄은 교회의 평판을 나쁘게 만들어 교회의 선교를 방해하려고 한다. 누가 위선자, 사기꾼, 부도덕한 자들이 모인 교회에 오고 싶어 하겠는가? 실제로 오컬티즘 따위의 신비주의나 사탄 숭배 유입보다, 성적 부도덕, 비윤리적 행위, 교인들 사이의 뿌리 깊은 반목, 그리고 이와 유사한 일들이 지역 사회 안에서 교회의 복음 증언을 막는 경우가 훨씬 많지 않은가?

그렇다면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사탄과 악한 영의 공격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악한 영과의 영적 전쟁에 관한 바울의 가르침은 오늘날 교회에도 적실하다. 바울의 가르침에 근거해서 저자는 우리에게 자신의 세계관을 점검하고 자신이 그리스도 안에서 어떤 존재인지를 알라고 제안한다. 복음주의 진영의 사역자들까지도 성적 욕망, 재물, 교만의 유혹에 넘어가면서 교회가 수치를 당하고 있는 이 시대에 이 책의 도전은 참으로 시의적절하다.



● 이 책의 특징

- 파피루스 ? 사해 문서 ? 외경 등 고고학 자료, 구약성경과 복음서, 그리스-로마 문헌을 근거로, 1세기 사람들(특히 바울의 사역 대상)의 민간 신앙과 영적 세계관을 생생히 묘사한다.

- 사탄과 악한 영, 영적 세계와 영적 전쟁에 초점을 맞추어 바울 서신(특히 에베소서와 골로새서)의 용어와 맥락을 세심하게 주해한다.

- 영적 세력에 관한 다양한 견해, 즉 은사 운동 진영 교리에서부터 영적 세력을 사회 구조적인 악으로 보는 최근 이론까지 폭넓게 다룬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약어 표 / 저자 서문

서론



제1부: 영적 세력들에 대한 1세기 사람들의 믿음

1. 마술과 점술

2. 그리스-로마와 동방의 종교들

3. 점성술

4. 유대교

5. 예수님의 가르침



제2부: 영적 세력들에 관한 바울의 가르침

6. 영적 세력들이란 무엇인가?

7. 십자가에서 일어난 영적 세력들의 패배

8. 새 나라와 신자의 정체성

9. 신자들에 대한 영적 세력들의 영향

10. 오직 그리스도

11. 영적 전쟁

12. 영적 세력들에 대한 그리스도의 최후 승리



제3부: 영적 세력들의 현대적 의미

13. 실체인가, 신화인가?

14. 영적 세력들과 사람들

15. 영적 세력들과 사회



결론: 영적 세력들과의 싸움



주 / 참고 문헌 / 저자 색인 / 성경 색인 / 주제 색인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