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2011 개정판)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2011 개정판)
저자 :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교육과
출판사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11
ISBN : 9788974644413

책소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양 글쓰기 과목의 교재로 개발된 책.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글쓰기가 사이버 강의의 형식으로 개설되었기 때문에 그러한 특성에 맞는 형식을 갖추려 노력하였다. 학습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과제가 배치되어 있으며, 다양한 전공의 수강생을 고려해 다양한 글쓰기 방식과 여러 종류의 서식을 작성하는 방식을 제시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글을 짓는 일은 글을 읽고 그 뜻을 알기 시작하면서 생을 마칠 때까지 계속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이해하고, 자신만의 생각을 쓰고 말하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강의 뜻만 통해서는 안 된다.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고 명료하게 전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글의 멋과 맛이 중요하지만, 글의 멋과 맛은 글쓰기의 기술(技術)에서 오지 않고, 글을 통해 전해져야 할 생각의 아름다움과 깊이에서 온다. 생각의 아름다움과 깊이가 없다면, 그 글은 맛도 멋도 없다. 그래도 맛과 멋이 있다고 느껴진다면, 그건 아마 한낱 글의 포장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생각이 아름답고 깊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정확하고 명료한 글로 표현되지 않는다면 그 아름다움과 깊이는 전달될 수 없다. 우리는 어떻게 하면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고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였다. 그 고민의 결과가 이 책이다.





[머리말]



글을 짓는 일은 글을 읽고 그 뜻을 알기 시작하면서 생을 마칠 때까지 계속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글쓰기의 수단이 붓이나 펜과 종이로부터 타자기를 거쳐 지금은 사이버 공간에 글을 쓰는 데까지 이르렀지만, 그럼에도 글을 짓는 일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더 이상의 소통이 불가능하거나 소통의 필요가 없어지는 때가 오지 않는 한 글을 짓고 쓰는 일은 아마도 계속될 것이다.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이해하고, 자신만의 생각을 쓰고 말하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강의 뜻만 통해서는 안 된다.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고 명료하게 전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글의 멋과 맛이 중요하지만, 글의 멋과 맛은 글쓰기의 기술(技術)에서 오지 않고, 글을 통해 전하는 생각의 아름다움과 깊이에서 온다. 생각에 아름다움과 깊이가 없으면, 그 글은 맛도 멋도 없다. 그래도 맛과 멋이 있다고 느껴진다면, 그건 아마 한낱 글의 포장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생각이 아름답고 깊이가 있어도 정확하고 명료한 글로 표현되지 않으면 그 아름다움과 깊이는 전달될 수 없다. 우리는 어떻게 하면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고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였다. 그 고민의 결과가 이 책이다.

이 책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양 글쓰기 과목의 교재로 개발되었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글쓰기가 사이버 강의의 형식으로 개설되었고, 그에 걸맞는 교재를 만들려 노력하였다. 사이버 강좌의 특성상 교수자와 학습자가 직접 대면하기 어려우므로 가능한 한 충분히 설명하고자 노력하였으며, 학습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적절한 과제를 개발하려 하였다. 또한 글쓰기 강좌를 듣는 수강생의 전공이 다양하고, 각 전공의 특성에 맞는 글쓰기 방식이 있음을 고려하여 다양한 글쓰기 방식을 제시하려 하였다.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여러 종류의 서식을 작성하는 방법도 제시하였다.

물론 아직은 충분하지 않다. 사이버 강좌 글쓰기 교재로서 필요한 부분이 아직은 다 채워지지 않았다. 이 부분은 지속적인 교재 개발을 통해 보완해 나갈 생각이다. 많은 질정을 바란다.

이 자리를 빌어 이 책의 편찬을 위해 원고를 써 주신 집필자들과 이 책의 출판을 위해 수고해 주신 우리 대학교 출판부 담당자 분께 깊이 감사하는 바이다. 그리고 또한 한국어교육과에 몸담고 계시다가 지금은 서강대로 가신 이정훈 선생님께도 고마움을 금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조금이라도 완성된 모습으로 나올 수 있도록 조언을 아끼지 않은 글쓰기 튜터들에게도 고마움을 표한다.



2007년 3월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교육과 교재편찬위원회



위원장 사범대학 한국어교육과 교수 양 민 정

위 원 사범대학 한국어교육과 교수 허 용

위 원 사범대학 한국어교육과 부교수 채 호 석

위 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주임 조교수 임 경 순

위 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주임 조교수 김 재 욱

위 원 교양과정위원회 초빙교수 탁 광 혁

위 원 사범대학 한국어교육과 전임강사(전) 이 정 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 1부



1. 말하기와 글쓰기/ 1

1.1. 말과 글/ 3

1.2. 관찰과 정리/ 8

1.3. 대학생에게 필요한 글쓰기/ 15

1.4. 글쓰기에 도움이 되는 방법들/ 16

2. 바른 한국어/ 21

2.1. 한글 맞춤법으로의 접근/ 23

2.2. 한글 맞춤법의 실제/ 25

2.3. 띄어쓰기/ 50

2.4. 띄어쓰기의 실제/ 50

2.5. 발음/ 58

2.6. 외래어 표기의 실제/ 60

2.7. 개정 로마자 표기법/ 61

2.8. 정확한 글/ 65

3. 글쓰기의 절차/ 77

3.1. 좋은 글의 요건/ 79

3.2. 글쓰기, 첫 번째 단계 : 주제 정하기/ 83

3.3. 글쓰기, 두 번째 단계 : 자료의 수집과 정리, 개요 작성/ 91

3.4. 글쓰기, 세 번째 단계 : 집필과 퇴고/ 109

4. 글의 종류와 특성/ 122

4.1. 설명문/ 123

4.2. 논설문과 비평문/ 129

4.3. 보고문/ 135

4.4. 이력서와 자기소개서/ 140

4.5. 서간문과 e-mail/ 156

4.6. 제안서, 기획서, 품의서/ 166



제 2부



1. 논문이란 무엇인가/ 175

5.1. 논문의 개념과 종류/ 177

5.2. 논문이 갖추어야 할 요건/ 182

5.3. 연구자의 태도/ 183

2. 주제의 선정/ 185

6.1. 좋은 주제의 특성/ 187

6.2. 주제의 범주/ 187

6.3. 주제 선정방법/ 189

3. 논문 계획/ 193

7.1. 논문계획서의 필요성/ 195

7.2. 논문계획서를 작성하는 방법/ 195

7.3. 논문계획서의 양식/ 197

7.4. 채점항목과 배점/ 200

7.5. 논문계획서의 실례/ 200

4. 자료의 수집과 정리/ 205

8.1. 자료의 구분/ 207

8.2. 자료 찾기/ 208

8.3. 자료 모으기/ 220

8.4. 자료의 정리와 관리/ 221

5. 개요 작성/ 225

10.1. 개요 작성의 필요성/ 227

10.2. 개요를 만드는 방법과 절차/ 228

10.3. 자료의 배분과 목차의 확정/ 231

10.4. 개요와 목차의 실제/ 232

6. 논문작성의 실제/ 237

11.1. 논문 작성자의 자세/ 239

11.2. 논문의 형식/ 239

11.3. 논문의 구성/ 242

7. 인용/ / 257

12.1. 인용의 의의와 목적/ 259

12.2. 인용의 원칙/ 260

12.3. 인용 자료의 출전 표시/ 261

12.4. 인용의 종류/ 265

12.5. 인용의 기술/ 269

8. 주석의 종류와 양식/ 273

13.1. 주석의 종류/ 275

13.2. 주석 및 참고문헌 양식의 비교/ 286

9. 참고문헌/ 291

14.1. 참고문헌의 기입 양식/ 293

14.2. 내주와 참고문헌/ 300

14.3. 참고문헌의 분류와 배열/ 304

10. 워드 프로세서 활용법/ 307

15.1. 목차 만들기/ 309

15.2. 스타일/ 313

15.3. 주석달기/ 317

15.4. 표 그리기/ 319

15.5. 그림 넣기/ 324

15.6. 찾아 바꾸기/ 326

15.7. 차트 만들기/ 328

15.8. 글자 겹침으로 다양한 글자 만들기/ 332

15.9. 알아두면 편리한 몇 가지 사항/ 333

11. 파워 포인트/ 337

16.1. 내용 구성 마법사/ 339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