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글로컬문화콘텐츠 전략 (한류의 지속 발전을 위한)
글로컬문화콘텐츠 전략 (한류의 지속 발전을 위한)
저자 : 김성수
출판사 :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출판년 : 2012
ISBN : 9788974647643

책소개

한류의 지속 발전을 위한 『글로컬문화콘텐츠 전략』. 글로벌라이제이션에 의해 세계적으로 획일화되어 가고 있는 현재의 대중문화 상황에서 글로컬문화콘텐츠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차후 세계적인 글로벌 대중문화산물을 제작하고자 한다면 ‘글로벌’이 아닌 ‘글로컬’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글로컬이 한류의 지속을 위한 확대 및 발전 개념이라는 면에서 한국 문화콘텐츠(학)의 미래를 위한 하나의 제언임을 이야기하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 , 등의 성공 비결은 무엇인가? 필자는 글로벌라이제이션에 의해 세계적으로 획일화 되어 가고 있는 현재의 대중문화 상황에서 글로컬문화콘텐츠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차후 세계적인 글로벌 대중문화산물을 제작하고자 한다면 ‘글로벌’이 아닌 ‘글로컬’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국제적으로 호소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란 어떠해야 하는가”, “글로컬 개념은 문화콘텐츠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글로컬 개념이 문화콘텐츠 개념에서 왜 중요한가, 왜 적극 수용하고 발전시킬 수밖에 없는가” 등과 관련된 문제이다. 글로컬 개념은 문화콘텐츠 연구에 있어서 하나의 이론적 토대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양한 실제적 응용 가능성을 ‘이념적으로 제시’하는 기제가 될 수 있다. ‘글로컬’이라는 슬로건을 통해 그간 분산적으로 제시되었던 세계 상품화에 대한 여러 견해들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글로컬’은 한류의 지속을 위한 확대·발전 개념이라는 면에서 보면 한국 문화콘텐츠(학)의 미래를 위한 하나의 제언이다.

머리말

는 왜 장기 공연될 수 있었는가? 싸이의 과 말춤은 왜 세계적 호응을 얻고 있는가? 이 세계적으로 수출된 이유는 무엇일까? 다양한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이 책은 이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 이를 ‘위한’ 내용이다.
필자는 이 책에서 글로벌라이제이션에 의해 세계적으로 획일화 되어 가고 있는 현재의 대중문화 상황에서 글로컬문화콘텐츠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차후 세계적인 글로벌 대중문화산물을 제작하고자 한다면 ‘글로벌’이 아닌 ‘글로컬’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말하려 한다. 이는 “국제적으로 호소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란 어떠해야 하는가”, “글로컬 개념은 문화콘텐츠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글로컬 개념이 문화콘텐츠 개념에서 왜 중요한가, 왜 적극 수용하고 발전시킬 수밖에 없는가” 등과 관련된 문제이다. 이미 ‘글로컬’적인 성격을 상당부분 가지고 있는 세계 각국의 현대 대중문화가 차후에는 글로컬라이제이션적 측면에서 보다 더 활성화 되어야 한다는 점, 그리고 한류로 종합되는 우리의 대중문화상품들 역시 글로컬 개념을 보다 더 중요하게 감안하여 제작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함이다. 국내용 로컬문화콘텐츠가 아닌, 국제용 문화콘텐츠에 대한 담론을 위해서는 향후 ‘글로컬’이라는 관점을 적용시키는 게 여러모로 바람직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글로컬 개념은 문화콘텐츠 연구에 있어서 하나의 이론적 토대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양한 실제적 응용 가능성을 ‘이념적으로 제시’하는 기제가 될 수 있다. ‘글로컬’이라는 슬로건을 통해 그간 분산적으로 제시되었던 세계 상품화에 대한 여러 견해들을 종합해서 수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글로컬 개념으로 인해 우리는 문화콘텐츠학의 측면에서 기존의 문화콘텐츠 세계 상품화 이론 및 시각 자체에 대해 반성할 수 있게 되며, 문화콘텐츠의 측면에서 보다 더 효과적으로 다양한 혼종문화상품을 연구하고 제작할 수 있게 될 수 있을 듯하다.―본 이론화 및 적용화 작업은 문화콘텐츠 제작 선행(pre-production) 단계에서의 초기 기획 부분에 위치해 있으므로 문화콘텐츠 제작을 위한 하나의 철학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이와 관련 여기서 강조되는 비주얼콘텐츠 사례들은 원 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lti-Use) 및 킬러콘텐츠, 다문화콘텐츠, 혼종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향후 논의의 토양이 되리라 예상된다. 글로벌과 로컬의 적극적 소통에 의한 창의성과 혼종성을 강조하는 글로컬 개념은 창의적인 킬러콘텐츠뿐만 아니라 상호 소통을 근간으로 하는 건전한 다문화사회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양질의 다문화콘텐츠 제작에도 좋은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글로컬 문화를 바탕으로 한 문화콘텐츠 및 혼종·융합문화의 중요성에 대해 환기해 보고자 하는 본 연구는 대중문화콘텐츠 전체를 ‘글로컬’이라는 개념화된 도식으로 분석하려 하지 않는다. ‘글로컬’이라는 보편적인 개념을 상정하긴 하지만, 이것은 기호학에서의 그레마스(A. J. Greimas) 모델이나 문학에서의 기승전결 모델처럼 애초부터 완전히 정형화될 수 있는 특정 도식이 아니며, 모든 장르와 각종 문화콘텐츠를 환원시킬 수 있는 객관적 도구로서의 메타-지식이 아니다. ‘글로컬’은 흥행성의 측면에서든 작품성의 측면에서든 세계인들에게 호소가능한 성공적인 세계적 차원의 문화콘텐츠 상품 제작을(또한 세계적으로 유명한 상품을 지역의 관점으로 변형시켜 제작하기) 위한 혹은 비평적 기준을 위한 일종의 보편적 토대 개념이다. ‘글로컬’의 정의상 특정 상품에 내재된 글로컬 메커니즘 자체가 애초부터 정형적으로 구조화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르게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보다 넓게 보자면, 이 글로컬 개념은 문화콘텐츠 개념 전반에, 나아가 문화콘텐츠 관련 산업체, 정부, 학계 전반 모두와도 연결될 수 있는 토대 개념이라고 생각된다. ‘글로컬’은 한류의 지속을 위한 확대·발전 개념이라는 면에서 보면 한국 문화콘텐츠(학)의 미래를 위한 하나의 제언이다.

2012년 9월
김성수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프롤로그: 글로컬 개념은 문화콘텐츠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5



1장. 세계적인 문화콘텐츠를 위하여



2장.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대한 평가와 글로컬라이제이션의 요구

1.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대한 평가/ 34

2. 글로컬라이제이션 개념의 등장 배경과 이론화/ 50



3장. 사례 연구를 통한 글로컬 개념의 현실적 활용 이해 ―비주얼콘텐츠를 중심으로

1. 소통의 세계적 확장: TV 프로그램/ 88

2. 시지각에 의한 유희 및 지역 요소들과 연결되는 킬러콘텐츠: 영화와 게임/ 121

3. 문화원형과 연결되는 상상력과 창의성의 다양화: 회화(판화)와 애니메이션/ 147



4장. 글로컬 관점을 통해 제언하는 한국 문화콘텐츠(학)의 미래

1. 한류 지속을 위한 확대? 발전 전략/ 183

2. 세계인의 ‘삶의 질’을 위한 인문 중심의 정책으로/ 190

3. 창의성 교육에 의한 인재 양성으로 문화콘텐츠학의 위상 강화/ 198

4. 반한류와 혐한류를 넘어서/ 209



5장. 결론: 한류와 글로컬



에필로그/ 225

미주/ 229

참고문헌/ 255

찾아보기/ 275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