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구약성서 입문 (조금 알거나 거의 알지 못하는 사람을 위하여)
구약성서 입문 (조금 알거나 거의 알지 못하는 사람을 위하여)
저자 : 장 루이 스카
출판사 : 성서와함께
출판년 : 2019
ISBN : 9788976353375

책소개

구약성서의 특성을 콕콕 짚어 주는 구약성서 입문, 새 눈을 열어 주다

구약성서를 소개하는 새 책이 나왔다. “조금 알거나 거의 알지 못하는 사람을 위하여”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얼마나 쉽게 쓰였기에 이런 부제가? 아쉽지만 기대만큼(?) 쉽게 쓰이지는 않았다. 오히려 이 책은 구약성서에 대해 조금 알거나 처음 대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가득 안겨 주기보다, 이제 읽으려는 구약성서의 남다른 특성을 분명하게 일러 주려 한다. 구약성서 전체와 낱권들이 지닌 고유한 특성을 올바로 아는 것이 그들에게 더 필요하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 책을 쓴 장 루이 스카 신부는 교황청립 성서대학에서 구약성서를 평생 가르친 노교수이자, 세계적으로 저명한 구약성서 전문가다. 오랜 강의 경륜과 전문가의 식견으로, 이제 현대인들의 눈높이에 맞춰 그들이 이해하기 쉽게 현대 문화와 비교해 가며 구약성서를 소개한다.
책은 “왜 성경을 읽지 않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한다. 특히 구약성서에 담긴 낯선 표현, 당혹스러운 내용에 놀라 그 책을 덮으려는 이들에게, 저자는 독자를 당황케 하는 여호수아기의 한 단락을 예로 들어 그런 내용이 진정 의도하는 바가 무엇인지 친절하게 알려 준다. 이어 저자는 방대한 도서관을 보유한 고대 근동의 강대국에 맞서 자기네 정체성을 표현한 다양한 장르의 글을 모은 구약성서를 작은 규모의 “이스라엘 국립도서관”이라 부르면서, 그 형성 과정과 배경, 히브리 성경과 그리스도교 구약성경의 차이점을 일러 준다.
구약성서의 첫머리에 놓인 오경을 저자는 “이스라엘의 헌법”이라 부른다. 왜 아브라함이 이스라엘의 조상인지, 왜 성조가 세 명으로 소개되는지, 왜 요셉을 창세기의 “미국인”이라 부를 수 있는지, “예언자 모세”와 기원 이야기가 지닌 중요성 등등에 대해 구약성서의 절정이자 토대인 오경의 다양한 특성을 바로 알게끔 자세하게 소개한다.
저자는 역사서를 ‘구성된 역사’로 일컬으며, 그 안에 실려 있는 왕정에 대한 상반된 두 갈래목소리와 함께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의 멸망을 보는 편집자의 시각을 들어 역사서를 읽는 눈을 일러 준다. 또 예언자를 현대식으로 표현하면 “당대의 문필가, 기자, 편집자, 여론 형성가”라며, 그들이 당대에 전한 메시지의 알짬과 공통점, 전승 과정을 소개한다. 또 “이스라엘의 정신적 지도자들”이 쓴 여러 지혜서의 특성을 각각 언급한다. 예컨대 잠언은 ‘간식’ 같은 역할을 한다고 지적하며 코헬렛을 그리스의 디오게네스와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시편, 애가, 아가 같은 이스라엘의 시가들과 비교적 늦은 시기에 쓰인 역대기, 에즈라-느헤미야기, 마카베오기, 다니엘서 등을 그 시대 상황과 연관하여 소개한다.
고대 근동 문화와 이스라엘 역사라는 넓은 바탕과 연관하여 구약성서의 특성을 일러 주는 이 책은 비교적 술술 읽히나 그 깊이는 만만치 않다. 이 책을 여러 번 읽은 뒤에 구약성서를 읽거나, 구약성서를 읽다 다시 이 책을 읽으면 둘의 상호작용에서 얻는 열매가 풍성할 듯하다. 구약성서의 문턱에서 기가 질리거나 그 안에서 헤맨 이들은 이 책을 통해 구약성서를 보는 새로운 눈을 뜰 수 있다. 그들을 위한 저자의 안내는 시종 따뜻하고 찬찬하며 익살스럽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을 쓴 장 루이 스카 신부는 교황청립 성서대학에서 구약성서를 평생 가르친 노교수이자, 세계적으로 저명한 구약성서 전문가다. 오랜 강의 경륜과 전문가의 식견으로, 이제 현대인들의 눈높이에 맞춰 그들이 이해하기 쉽게 현대 문화와 비교해 가며 구약성서를 소개한다.

책은 “왜 성경을 읽지 않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한다. 특히 구약성서에 담긴 낯선 표현, 당혹스러운 내용에 놀라 그 책을 덮으려는 이들에게, 저자는 독자를 당황케 하는 여호수아기의 한 단락을 예로 들어 그런 내용이 진정 의도하는 바가 무엇인지 친절하게 알려 준다. 이어 저자는 방대한 도서관을 보유한 고대 근동의 강대국에 맞서 자기네 정체성을 표현한 다양한 장르의 글을 모은 구약성서를 작은 규모의 “이스라엘 국립도서관”이라 부르면서, 그 형성 과정과 배경, 히브리 성경과 그리스도교 구약성경의 차이점을 일러 준다.

구약성서의 첫머리에 놓인 오경을 저자는 “이스라엘의 헌법”이라 부른다. 왜 아브라함이 이스라엘의 조상인지, 왜 성조가 세 명으로 소개되는지, 왜 요셉을 창세기의 “미국인”이라 부를 수 있는지, “예언자 모세”와 기원 이야기가 지닌 중요성 등등에 대해 구약성서의 절정이자 토대인 오경의 다양한 특성을 바로 알게끔 자세하게 소개한다.

저자는 역사서를 ‘구성된 역사’로 일컬으며, 그 안에 실려 있는 왕정에 대한 상반된 두 갈래목소리와 함께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의 멸망을 보는 편집자의 시각을 들어 역사서를 읽는 눈을 일러 준다. 또 예언자를 현대식으로 표현하면 “당대의 문필가, 기자, 편집자, 여론 형성가”라며, 그들이 당대에 전한 메시지의 알짬과 공통점, 전승 과정을 소개한다. 또 “이스라엘의 정신적 지도자들”이 쓴 여러 지혜서의 특성을 각각 언급한다. 예컨대 잠언은 ‘간식’ 같은 역할을 한다고 지적하며 코헬렛을 그리스의 디오게네스와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시편, 애가, 아가 같은 이스라엘의 시가들과 비교적 늦은 시기에 쓰인 역대기, 에즈라-느헤미야기, 마카베오기, 다니엘서 등을 그 시대 상황과 연관하여 소개한다.

고대 근동 문화와 이스라엘 역사라는 넓은 바탕과 연관하여 구약성서의 특성을 일러 주는 이 책은 비교적 술술 읽히나 그 깊이는 만만치 않다. 이 책을 여러 번 읽은 뒤에 구약성서를 읽거나, 구약성서를 읽다 다시 이 책을 읽으면 둘의 상호작용에서 얻는 열매가 풍성할 듯하다. 구약성서의 문턱에서 기가 질리거나 그 안에서 헤맨 이들은 이 책을 통해 구약성서를 보는 새로운 눈을 뜰 수 있다. 그들을 위한 저자의 안내는 시종 따뜻하고 찬찬하며 익살스럽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I 왜 성경을 읽지 않는가? 9

II 구약성경은 무엇인가? 23
1. 이스라엘 ‘국립도서관’ 24
2. 이스라엘 국립도서관의 기원 26
3. 이스라엘 정체성의 중심축인 모세의 율법서 29
4. 이스라엘 국립도서관의 거대한 책장들 33

III 이스라엘의 헌법인 오경 39
1. 머리글 40
1) 이스라엘은 어떻게 세워지는가? 41
2) 헌법과 문서 43
3) 오경 저자들의 익명성 44
2. 하나로 합치기 위하여 이야기하다 46
1) 왜 아브라함이 이스라엘의 조상인가? 47
2) 이스라엘 신앙의 토대인 아브라함 50
3) 아브라함, 이스라엘이라는 존재의 패러다임 51
4) 이사악과 땅에 대한 법 55
5) 야곱과 귀환 약속 56
6) 요셉, 창세기의 ‘미국인’ 59
3. 이집트 탈출과 이스라엘의 ‘독립선언’ 62
1) 이스라엘의 토대가 되는 경험 62
2) 광야에서 체류하는 것인가, 오랜 기다림의 시험인가? 66
3) 우리는 ‘우리의’ 율법을 가지고 있다! 70
4) 민법民法인가, 신법神法인가? 72
5) 법은 왜 광야에서 선포되는가? 74
4. 예언자 모세 76
5. 기원 이야기: ‘우리’ 하느님과 우주의 창조주(창세 1-11장) 80
6. 다섯 권으로 나눈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86
7. 오경의 원천들 91

IV 역사서(전기 예언서)와 반대 목소리 95
1. 역사서(여호수아기, 판관기, 사무엘기 상·하권, 열왕기 상·하권): ‘구성된 역사’ 96
2. 여호수아: 라삐인가, 정복자인가? 101
3. 판관기: 종교인가, 잘못된 정치인가? 105
4. 사무엘기: 왕정인가, 예언인가? 110
5. 열왕기: 예고된 재난의 연대기 117
6. 이스라엘 국립도서관의 ‘전기 예언서들’ 127

V 예언자: 당대의 문필가, 기자, 편집자, 그리고 여론 형성가 131
1. ‘저술’ 예언자들과 그 시기 공공 생활의 주역들 133
2. ‘저술’ 예언자들과 신아시리아와 신바빌로니아의 침공 139
3. 예언자들과 국민의 결속 옹호 150
4. 이스라엘 국립도서관에 형성된 예언 부분 161

VI 지혜서들과 이스라엘의 ‘정신적 지도자들’ 171
1. 잠언: 지혜의 ‘간식’ 174
2. 욥기: 인내의 모델인가, 프로메테우스인가? 176
3. 코헬렛: 성경의 디오게네스 181
4. 집회서: 시라의 건전한 식견의 철학 184
5. 지혜서: 알렉산드리아의 수사학자가 설교한 성경 메시지 187

VII 이스라엘 국립도서관의 마지막 책장 193
1. 시편, 이스라엘 찬양가들의 책 194
1) 신앙인의 감정과 삶의 순간들을 표현한 시편 196
2) 시편집의 서문인 시편 1편 200
3) 시편 1편과 이스라엘 종교의 다양한 형태 201
2. 애가 204
3. 바룩서와 예레미야의 편지 209
4. 이스라엘 역사에 대한 몇 가지 추가 자료 211
1) 역대기와 예루살렘의 전례 공동체 211
2) 에즈라 - 느헤미야기, 그리고 성전과 회당 217
에즈라 - 느헤미야기와 역대기 217
에즈라 - 느헤미야기와 ‘토라’(법과 가르침)의 책 220
에즈라 - 느헤미야기와 역사 222
3) 마카베오기와 이스라엘의 ‘저항’ 영웅들 225
헬레니즘 세계에 직면한 히브리 세계 225
역사적 · 문학적 문제들 229
마카베오기 하권의 신학 232
5. 이스라엘 도서관의 ‘단편소설들’ 234
6. 초현실적 책인 다니엘서 239
7. 아가와 이스라엘의 연애시 242

마치며 246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