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21세기 한국시의 지평
21세기 한국시의 지평
저자 : 김영철
출판사 : 신구문화사
출판년 : 2008
ISBN : 9788976681508

책소개

E·H 카의 '역사는 과거와의 끊임없는 대화'라는 말은 현재와 미래의 전망이 과거와의 연속성 위에 있음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전제를 받아들인다면 모든 사물의 전망은 과거와의 연속성 속에서 찾아질 수 있고, 21세기 현대시의 방향 역시 20세기 현대시를 바라보면서 정립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관점에서 크게 현대시학, 언어미학, 통일문학, 개화기 문학의 네 범주를 통해 20세기를 되돌아보고, 21세기를 조망해보려는 시도이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Ⅰ. 현대 시학의 지평

Ⅰ-1 21세기 현대문학의 지평
1. 현대문학의 환경
2. 민족문학사의 재편
3. 분단 및 해외동포 문학연구의 현황와 전망
4. 세계문학의 위상
5. 21세기 창작 및 연구환경의 변화
6. 연구의 전문성과 효용성
7. 현대문학 연구의 현안과제
8. 21세기 현대문학의 전망

Ⅰ-2 21세기 한국시 연구의 패러다임
1. 현대시 연구 50년의 흐름
2. 시문학사론
3. 시원론
4. 작품론
5. 시론사
6. 비교문학론
7. 분단문학 및 해외동포 문학론
8. 21세기 한국시 연구의 향방

Ⅱ. 언어미학의 지평

Ⅱ-1 근대시의 언어미학
1. 언어예술로서의 시
2. 근대시 형성 모티브로서의 국어국자 의식
3. 민족주의 구현과 국어국자 의식
4. 국어국자 의식 실천으로서의 지방주의
5. 근대시의 언어미학적 특징

Ⅱ-2 현대시의 언어미학
1. 현대시의 미학적 층위
2. 미적 가치 구현과 우리말의 조탁
3. 고전적 상상력의 언어 전략
4. 여성편향성의 표출기제
5. 현대시의 언어미학적 특징

Ⅱ-3 시어의 운용과 전략
1. 현대시의 언어전략
2. 어미활용법
3. 개인방언
4. 축약
5. 음운첨가
6. 현대시 언어운용의 특징

Ⅱ-4 지방어의 시적 기능
1. 지방어의 특징
2. 소월 방언의 시적 기능
3. 백석 방언의 시적 기능
4. 영랑 방언의 시적 기능
5. 목월 방언의 시적 기능
6. 지방어의 선택의 의미

Ⅲ 통일문학의 지평

Ⅲ-1 통일문학의 방법론
1. 통일문학의 전망
2. 분단문학의 현실태
3. 90년대 이후 북한문학의 동향
4. 통일문학 방법론
5. 통일문학의 의의

Ⅲ-2 북한시의 동향
1. 북한시의 전개양상
2. 90년대 북한시의 시대적 배경
3. 90년대 시의 주제론적 고찰
4. 북한시의 특성

Ⅲ-3 북한시의 장르론
1. 북한시 연구동향
2. 시가장르 유형
3. 서정시의 장르적 특성
4. 서사시의 장르적 특성
5. 북한시 장르의 특징

Ⅲ-4 연변시단의 풍경
1. 연변문학의 특징
2. 정체성의 혼란과 자아찾기
3. 유이민 의식
4. 민족혼의 카타르시스
5. 분단극복과 통일의지
6. 민족통합의 메아리

Ⅳ 전형기 문학의 지평

Ⅳ-1 개화기의 사설시조
1. 개화기 사설시조 개관
2. 창작양상
3. 개화기 사설시조의 장르성격과 특성
4. 개화기 사설시조의 특징

Ⅳ-2. 언문풍월의 장르적 특성
1. 언문풍월의 창작양상
2. 장르개념 및 시사적 배경
3. 창작양상 및 영향관계
4. 언문풍월의 특징 및 시사적 의의

Ⅳ-3 개화기 시가의 연속성
1. 개화기 문학의 특성
2. 장르의 연속성
3. 형식의 연속성
4. 문체의 연속성
5. 사상의 연속성
6. 연속성의 의식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