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완벽주의에 작별을 고하다 (완벽주의의 덫에서 자유해지는 비결)
완벽주의에 작별을 고하다 (완벽주의의 덫에서 자유해지는 비결)
저자 : 코넬리아 마크
출판사 : 토기장이
출판년 : 2012
ISBN : 9788977822603

책소개

스스로 만들어낸 ‘완벽’이라는 내면의 감옥에서 벗어나라!

완벽만을 요구하는 불완전한 영성을 극복하도록 이끌어주는 『완벽주의에 작별을 고하다』. 이 책은 비교의식, 열등감, 경쟁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진정한 자아를 발견하고 사랑하는 법을 배울 것을 제안하고 있다. 저자는 하나님이 우리에게 원하는 것이 영혼과 육체가 조화를 이루는 삶이라고 말한다. 더불어 완벽주의란 무엇인지, 그것이 우리와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완벽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소개한다. 완벽하지 못한 우리 스스로의 실수와 허물을 용납하는 용기를 가지고, 하나님의 은혜와 용서 안에서 살아가도록 독려하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추천사

이 책은 완벽주의를 치유하기를 원하는 분들을 위해 쓰여진 책이다. 하나님이 연약하고 부족한 우리를, 있는 모습 그대로 사랑하신다는 사랑의 책이다. 비교의식, 열등의식, 경쟁의식 속에 살고 있는 분들을 자유케 해 주는 책이다. 복음적 영성을 배우고, 은혜 아래 살며, 그리스도 안에서 진정한 자유를 누리기를 원하는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_강준민ㆍL.A. 새생명비전교회 담임목사

리뷰

참된 행복을 만끽할 수 있다!


자신의 가장 소중한 존재, 예수 그리스도를 내어 줌으로 우리를 구원한 하나님 은 우리가 참된 행복을 누리길 원하신다. 그래서 우리가 완벽주의의 덫에 갇혀 온갖 짐을 지고 허우적거리는 것을 결코 원하시지 않는다. 우리의 실수와 허물 그대 로 하나님 앞에 솔직하게 나아오길 원하신다. 완벽주의로부터 자유롭게 된다는 것 은 온전한 나로 사는 법을 배운다는 뜻이다. 즉, 하나님을 신뢰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우리 삶을 온전하게 만드는 이는 우리 자신이 아니라 바로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내가 내 자신에게 만족하게 되는 게 아니라, 하나님이 나를 만족해하신 다. 그래서 나의 완벽한 면만 고수하는 것이 아니라 완벽하지 못한 부분들도 직시 하고 용납할 수 있는 용기를 배워야 한다. 나를 이해하고 용납하는 것은 다른 사람들을 더 깊이 이해하고 용납할 수 있게 만들기 때문이다. 수많은 상황들과 관계 속 에서 더 완벽하기 위해, 최고가 되기 위해 싸울 필요가 없다. 하나님을 신뢰함으로 하나님의 은혜와 용서 안에서 사는 법을 배우면 된다. 이제 불필요한 완벽주의의 덫에서 당신을 자유하게 하라!

당신도 좀 더 자유롭고 느긋하며 행복하게 살고 싶지 않은가?

그렇다. 당신도 당신의 환경 속에서 충분히 여유롭게 그리고 자유하며 행복을 누릴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끊임없이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며 각종 열등의식과 경쟁의식 속에서 완벽해야 한다는 강박증에 시달리고 있는가? 자신이 완벽주의의 강박증에 시달리고 있다는 사실도 모른 채 말이다. 사실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우리 모두는 완벽하기를 꿈꾸는 완벽주의자들이다. 인정하든 아니든...
당신은 행복한 크리스천인가? 당신은 현재의 삶에 어느 정도 만족하며 살고 있는가? 당신은 당신에게 주어진 모든 삶의 환경을 충분히 누리며 살고 있는가? “당신은 행복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애써 외면하고 있진 않은가?
이 책「완벽주의에 작별을 고하다」는 우리가 하나님을 신뢰하기에 각종 완벽주의에서 자유하며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음을 가르쳐주는 책이다. 그리고 자신의 가장 소중한 존재, 예수 그리스도를 우리에게 내어주신 하나님도 우리가 행복을 누리길 원하신다는 것을 깨우쳐준다. 그래서 하나님은 우리가 완벽주의의 덫에 갇혀 온갖 짐을 지고 허우적거리는 것을 결코 원하시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한다. 우리의 실수와 허물 그대로, 우리의 연약함 그대로 하나님 앞에 솔직하게 나아오길 원하신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고 일깨운다.
완벽주의로부터 자유롭게 된다는 것은 ‘온전한 나’로 사는 법을 배운다는 뜻인데 이는 ‘하나님을 신뢰하는 법’을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 삶을 온전하게 만드는 이는 우리 자신이 아니라 바로 하나님이시기 때문이다. 내가 내 자신에게 만족하는 게 아니라, 하나님이 나를 만족해하신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그래서 나의 완벽한 면만 고수하는 것이 아니라 완벽하지 못한 면들도 직시하고 용납할 수 있는 용기를 배우라고 저자는 말한다. 나를 이해하고 용납하는 것은 곧 다른 사람들을 더 깊이 이해하고 용납할 수 있게 만들기 때문이다. 수많은 상황들과 관계 속에서 더 완벽하기 위해 싸울 필요가 없다. 하나님을 신뢰함으로 하나님의 ‘은혜와 용서’ 안에서 사는 법을 배우기만 하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제 불필요한 완벽주의의 덫에서 당신을 자유롭게 해야 한다.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진정한 자유를 누릴 수 있는데 굳이 완벽주의의 덫에 갇혀 불행하게 살 필요가 있을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의 글 / 서문

1장ㆍ완벽주의란 무엇일까?
완벽주의의 기본틀
완벽주의의 극단적인 부작용들
왜 완벽주의자가 될까?

2장ㆍ'참된 나'를 회복하기 위해

3장ㆍ완벽주의로부터 자유하는 비결

자기 구원에서 해방되기
어린 시절의 잘못된 영향에서 해방되기
불완전함을 누리는 자유

주록
연극대복
묵상
자기점검 테스트: 자기과시욕과 완벽주의 테스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