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WORLD STAR MUSICS(월드 스타 뮤직스) (쿠스코에서 도쿄까지 세계 음악 여행)
WORLD STAR MUSICS(월드 스타 뮤직스) (쿠스코에서 도쿄까지 세계 음악 여행)
저자 : 손민정
출판사 : 음악세계
출판년 : 2009
ISBN : 9788981058425

책소개

세계 속으로 떠나는 월드 뮤직!

『World Star Musics | 쿠스코에서 도쿄까지 세계음악여행』. 일리노이 주립대학에서 강의했던 〈월드뮤직의 입문〉을 책으로 옮긴 것으로, 전 세계 각지에서 발생하여 오랜 세월 이어져온 고유의 음악을 소개하는 책이다. 제각기 빛을 내고 있는 별처럼 수많은 이야기를 담은 세계의 음악 속으로 들어가 본다.

세계음악여행은 마야 시대에서부터 시작한다. 라틴아메리카 음악에는 안데스 음악, 메스티조 음악, 아프로-라틴 음악이 전해져 온다. 이 책은 이 세 가지 음악 문화를 차례차례로 체험해 본다. 이후 다양한 민족으로 이루어진 미국을, 그리고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로 흘러간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세계인의 음악



<World Star Musics>는 세계적인 팝 스타나 할리우드 톱 배우, 한국의 가수 비, 피겨스케이팅 세계 챔피언 김연아 등, 소위 말하는 ‘월드 스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이 아니다. 이 책의 제목에 사용된 ‘World Star’는 전 세계 각지에서 발생하여 오랜 세월 이어져온 고유의 음악을 지칭하고 있다. 밤하늘에 눈부시게 흩어져 있는 별들처럼 이 지구에 펼쳐진 대륙 위의 도시 한복판에서부터 아마존 오지, 극지방 등에 흩어져 제각각 빛나고 있는 음악이라는 별과 그 별을 잉태하고 빛나게 한 인간에 대한 사랑을 담아 관찰한 내용을 담고 있다.



흔히 음악작품을 ‘예술’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 이전에 음악은 문화이며 소통이기도 하다. 개인은 자신의 기술과 상상력으로 아름답고 의미 있는 작품을 창조한다. 하지만 개인은 진공 속에서 홀로 살아가는 개체일 수 없다. 타인과 복잡하게 얽힌 관계 속에서 개인적인, 또는 사회적인 이야기들을 만들어간다. 그렇기 때문에 음악 작품에는 개인이 속한 사회, 역사, 정치, 경제, 문화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으며, 다른 개인들은 이 음악작품을 들으며 반응하고 소통하려 한다. 다시 말해서 음악에는 그 음악이 자리한 사회의 가치관, 믿음, 사고가 농축되어 있다. 이 책은 이것을 탐구하면서, 역사적, 문화적, 미학적, 철학적 사고의 지평을 넓히고 유연한 소통의 공간을 만들어보고자 하는 데서 출발한다. 이 소통의 공간은 우리가 현재 살아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구체적인 일상에 기반하고 있다.

‘다문화’는 최근 한국 사회의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국제 교류가 활발해지고 국제결혼이 늘어나면서 다문화 가정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과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2년 사이 초,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가정의 2세가 두 배로 늘었다는 보고가 나왔다. 2006년에 7,998명이었던 2세 학생들이 올해에는 1만8,769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1990년대 중반부터 동남아 국가 여성을 중심으로 한 국제결혼이 급증하고, 그 2세들의 입학 시기가 다가오면서 매년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다문화 가정 구성원이 14만 명, 이미 외국인 100만 명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나라는 신화처럼 고수해온‘단일민족’이라는 민족 개념 대신 이미 본격화된 단일국가 내의 다문화 시대에 대비한 새로운 사회 패러다임을 요구받고 있다. ‘다문화’에 대한 근본적인 모색에 대한 의지는 앞으로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국가경제의 생산자, 소비자로서의 다문화 가정과 그 2세들의 체계적인 지원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각 민족, 국가들의 다양한 문화와 함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적극적인 열린 문화의식이 절실해짐에 따라 현재 다양한 민간단체와 정부산하 기구, 사회기업 등에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다문화 가정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 속에서 이 책은 인류의 보편적인 소통예술인 음악을 중심으로 그 배경문화, 대륙별, 국가별, 지역별의 역사를 음악인류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각종 참고문헌과 음악 페스티벌, 영화, 영화음악, 드라마, 여행담과 외국의 스승들과 친구들의 에피소드 등을 한데 아우르며 보다 입체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단편적인 연대기 서술로 전체 문화사의 흐름을 훑는 것이 아니라 과거와 현대를 적절히 교차시키면서 문화역사의 어제와 오늘의 맥락을 생생하게 느끼고 생각해볼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본격적인 다문화 시대는 정서의 화합과 서로의 문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이해하려는 자세가 필요하다. 음악을 그 시작으로 삼으면 어떨까. 음악은 언어와 인종, 지역의 차이를 뛰어넘는 만국공통어이기 때문이다. 음악은 이방인과 원주민,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인간의 문화적 연대감을 강하게 묶어주는 매개 역할에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예술 분야이다. <World Star Musics>는 세계민속음악에 대한 정보 제공과 학술적 가치를 강조하기보다는 인류와 문화의 발전사와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차이가 차별을 배태하는 것이 아니라 차이에서 공통분모를 찾아내 우리 모두가 결국 같은 문화적 기반을 토대로 공생하고 또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우려 하고 있다.

이 책은 저자가 일리노이 주립대학에서 강의했던 <월드뮤직의 입문(Introduction to World Music)>을 준비하면서 만들었던 강의노트와 메모들에 개인의 단상들을 보태어 정리한 것이다. 일리노이 주립대학의 경우, GenEd(General Education) 이수과목이 지정되어 있는데, 자신의 전공과목 이외에 공통적으로 반드시 이수해야 되는 과목들을 말한다. 국내 대학의 교양필수와도 비슷한 개념이다. 특히 학생들은 문화연구(Cultural Studies)에 속하는 두 과목을 이수해야 하는데, 하나는 비서구 문화/미국의 소수민족 문화(Non-Western Culture(s)/US Minority Culture(s))라는 카테고리에서, 다른 하나는 서구문화/비교문화(Western/Comparative Cultures)에서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서 이수해야 한다. <월드뮤직의 입문>은 NW(Non-Western) 카테고리를 위해 개설된 과목으로 매 학기마다 두 강좌가 열리며, 각각 200명이 넘는 수강생들이 참여하는 대형 강의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저자 서문

라틴 아메리카

라틴아메리카의 음악사

메조아메리카 음악
마야
아즈텍

안데스 음악
잉카
안데스
1959년 개혁
엘 콘도르 파사

메스티조 음악
1498년, 콜럼버스 라틴아메리카에 도착하다
15세기 이베리아 음악문화
메스티조 음악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독립

아프로-라틴 음악
흑인 노예들의 대거 이주
아프로-라틴 음악의 미학
라틴아메리카 음악의 성격

멕시코·쿠바·브라질·아르헨티나 음악
멕시코의 마리아치
쿠바의 음악, 살사
브라질의 트로피칼리아
아르헨티나의 탱고

아메리카

뉴올리언스의 음악
역사적 배경
마디 그라
케이준
19세기 오페라의 중심지, 뉴올리언스
재즈
텍사스의 테하노 음악
콘훈토
코리도
싱코 데 마요 축제

원주민 음악
초창기 원주민 음악 기록
음악 인류학자들의 연구
원주민 음악의 특징
범종족 인디언 음악
파우-와우

유럽

북유럽
녹색의 아일랜드, 켈틱문화
아일랜드 스텝댄스
영화 〈타이타닉〉과 아일랜드 음악
뉴에이지 음악과 켈틱
비틀스가 영국 출신이어서 스타가 될 수 있었다?

중부 유럽
빈의 음악은 모차르트의 음악이 전부가 아니다?
슈람멜무지크

남부 유럽
지역색이 강한 이탈리아 음악
1810년 이탈리아의 복잡한 정치구도
포르투갈의 파두

남동 유럽
그리스 민속음악의 복구
동-서양의 만남, 터키
터키의 종교음악
벨리 댄스
터키의 뽕짝, 아라베스크
군악, 메흐테르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여인

북아프리카 음악
이집트의 악기
이집트, 알제리의 대중음악
북아프리카 음악과 플라멩코

중-남아프리카 음악
음악적 특징
서아프리카의 그리오
나이지리아의 주주
나이지리아의 음악전사, 펠라 쿠티
피그미 음악과 허비 핸콕, 그리고 마돈나
콩고의 수쿠스
레게와 에티오피아
짐바브웨의 손가락 피아노, 음비라
남아프리카의 민속음악과 〈라이언 킹〉

아시아

중동아시아(서아시아)
이란의 음악가
두 클래식 음악의 만남
민속음악의 간결미

남아시아
두 얼굴의 인도음악
인도의 발리우드

동남아시아
인도네시아의 가믈란
인도네시아의 그림자 인형극
인도네시아의 팝음악

동아시아
중국의 남성 엘리트 음악, 현악 앙상블
일본의 호가쿠
가부키

참고문헌
각주
색인
참고 웹사이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