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질적연구방법론
질적연구방법론
저자 : M. Elizabeth Graue
출판사 : 파워북
출판년 : 2014
ISBN : 9788981602383

책소개

이 책은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연구를 총체적 활동으로서 개념화하면서 연구과정을 교차하여 살펴본다. 제1장에서는 어린이연구의 지배적 패러다임에 대해 비판한다. 제2장에서는 연구의 관점을 하나의 해석적 과학으로서 소개한다.



제3장에서는 이론을 고찰하고, 제4장에서는 윤리를 다루며, 제5장에서는 연구자의 역할을 논의한다. 제2부에서는 현장작업에 초점을 둔다. 제6장에서는 자료 생성을 위한 전략들을 조사하고, 제7장에서는 자료 기록의 구성을 다룬다. 마지막 제3부에서는 해석의 과정과 쓰기에 관해 제8장과 9장에서 각각 논의한다. 결론에서, 우리는 이 모든 것을 서로 연결짓기 위해서 분투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에서는 연구를 총체적 활동으로서 개념
화하면서 연구과정을 교차하여 살펴본다. 제1장에서는 어린이연구의 지배적 패러
다임에 대해 비판한다. 제2장에서는 연구의 관점을 하나의 해석적 과학으로서 소개
한다. 제3장에서는 이론을 고찰하고, 제4장에서는 윤리를 다루며, 제5장에서는 연
구자의 역할을 논의한다. 제2부에서는 현장작업에 초점을 둔다. 제6장에서는 자료
생성을 위한 전략들을 조사하고, 제7장에서는 자료 기록의 구성을 다룬다. 마지막
제3부에서는 해석의 과정과 쓰기에 관해 제8장과 9장에서 각각 논의한다. 결론에
서, 우리는 이 모든 것을 서로 연결짓기 위해서 분투한다.

이 책을 읽는다고 해서 어린이에 대해 어떻게 연구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것은 없다. 알려주지 않는다. 어떻게 하는가를 배우려면 반드시 연구를 해야 한다.
그러나 연구 노력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갖춘 사람이라면 어린이들의 세상을 이해
하려는 노력에 수반되는 쟁점들에 대한 강한 인상을 얻어갈 것이다.

이 책은 오늘날의 어린이들에게 세상이 어떠한지 그리고 어린이들이 그 안
에서 어떻게 의미를 구축해나가는지 발견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쓰여졌다.
우리의 초점은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미국 사회에 맞추어져 있다. 그것을 발견하기
는 일반적인 어린이들이기보다는 오히려 특정 맥락들에서의 특정 집단의 어린이들
에 대해 누군가가 할 수 있는 어떤 것이다.

우리는 세상이 어린이들에게 더욱 힘든 곳이 되어가고 있고, 이 사회가 어린
이들에 대해 충분히 알지도 못하거니와 어린이들로 하여금 세상과 타협하도록 도와
주기 위하여 충분히 알기를 원하는 것처럼 보이지도 않아 두렵다. 자신의 어린이들에
대해 알기를 회피하는 사회는 그 우선순위에 대해 이미 불길한 결정을 내린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CHAPTER 01 | 연구대상으로서의 어린이

Piaget의 존속 28 맥 락 31 맥락 속에서의 어린이 40 결 론 41



CHAPTER 02 | 해석학적 과학

근접성 47 기 간 48 기 술 49 요 약 52



CHAPTER 03 | 맥락으로서의 이론

이론의 위치 56 이론과 방법 63 이론과 어린이 67 실제 속의 이론 72

결 론 84



CHAPTER 04 | 연구윤리 : 공평하기

책임감 96 불편함 99 정체성 101



CHAPTER 05 | 맥락으로서 연구자

그러나 첫째, 해를 끼치지 마라 : 어린이들과의 현장연구에서 하지 말아야 할 것 112

맥락으로서 관계와 역할 114 어린이의 맥락과 연구자의 앎 사이의 상호작용 123

어린이연구에서의 상호성 125 요 약 126



CHAPTER 06 | 자료 생성하기

연구현장으로 들어가기 전에 138 연구방법 140 연구도구 174

인공 산물 수집 177 편견과 효율성 180 결 론 182



CHAPTER 07 | 자료 기록 구성하기

자료 기록 188 자료 기록 구성하기 189 자료 기록의 중요성 203

결 론 205



CHAPTER 08 | 맥락 속에서 해석하기

해석이란 무엇인가? 221 기술로부터 설명으로 223 연구방법에 대한 노트 224

메모하기 228 관찰을 통해 만난 Jared 229 Jared의 지역사회 맥락 249

결 론 259



CHAPTER 09 | 맥락으로서의 글쓰기

자료 전시 286 삽화 294 요 약 303



CHAPTER 10 | 결 론

기관의 제약 319 시장의 제약 321 타당성 326 요 약 330



참고문헌 332

찾아보기 341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