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자유로운 몸으로 영화를 철학하다
자유로운 몸으로 영화를 철학하다
저자 : 장시기
출판사 : 당대
출판년 : 2010
ISBN : 9788981631505

책소개

1998년 무렵, 대한민국에서는 탈근대 영화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저자는 이렇게 탈근대 영화의 도입이 늦어진 이유에 대해 서구의 근대성과 한반도의 식민지성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무엇보다 더 큰 이유는 우리 영화가 미국 할리우드의 근대 장르영화들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이라고 이야기 한다. 하지만 가장 늦은자가 가장 빠른자가 될 수도 있듯이 우리 영화의 박찬욱, 봉준호, 이창동, 홍상수 등의 영화감독들을 통해서 우리는 그 가능성을 볼 수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Ⅰ. 영화의 혁명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아바타 : 나의 아바타와 그들의 아바타

Ⅱ. 영화의 탄생과 들뢰즈으 이미지 존재론
영화의 탄생
문학적 사유와 영화적 사유
운동이미지와 근대의 장르 영화들
시간 이미지와 탈근대의 영화들
감각의 계열들과 탈근대의 영화 읽기

Ⅲ. 탈근대의 영화읽기
탈근대영화들의 문학적 장르확산
폭력의 근대적 이해와 탈근대적 이해
일본의 근대영화와 탈근대 영화
미야자키 하야오 영화의 탈근대성
'한반도'와 '괴물'의 가로지르기와 탈근대성

Ⅳ. 탈근대 영화감독들의 노마돌로지
이안 감독 : 근대적 이분법의 해체와 탈근대적 생명의 생성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나리투 감독 : 탈근대인의 근대에 대한 감각의 보고서
미야자기 하야오 감독 : 탈근대의 가시적 세계와 비가시적 세계의 공존
박찬욱 감독 : 근대의 이중성과 탈근대의 노마드 이야기
홍상수와 김기덕 감독 : 근대성과 탈근대성이 혼재하는 후기근대의 영화이미지

Ⅴ. 탈근대의 영화이미지와 이미지 존재론
장훔 감독의 '의형제' : 한반도의 이미지 존재론과 노마돌로지의 인식론
이창동 감독의 '시' : 시와 영화의 시간 이미지

참고문헌
찾아보기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