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기독교 세계관
기독교 세계관
저자 : 아더 홈스
출판사 : 솔로몬
출판년 : 2017
ISBN : 9788982555572

책소개

희망은 기독교 특유의 것이었다. 유대-기독교적 유신론은 모든 것을 무로부터 창조하신 전적으로 선하신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확언하였기 때문이다. 어떤 다른 영원한 것이 하나님께서 하시려는 일을 제한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님은 항상 주권적이시고 그의 피조계에 대하여 자신이 원하시는 대로 행하신다.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은 궁극에는 선이 승리 할 수 있고 또 그러리라는 희망에 관한 확실한 근거를 갖는다. 그러므로 초대교회는 오늘날 유행하는 여러 대안들에 대조되는 기독교 세계관의 개발을 위한 유용하고도 큰 도움이 되는 범주를 제공했는바 이는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인간의 자유가 자연 안의 예측할 수 없는 사건들과 그 정도에서만 다른 자발적인 새로움이나 창의적인 충동일 것인지에 대하여 다시 의문을 표한다. 더구나 생물학적 생동성은 현대 유전학과 생화학 발생 이전에 생명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입된 가설이였다. 오늘날 자연주의자들은 이런 생동 주의를 좀 더 심하게 거부하려고 하고, 생명의 새로움을 다른 생명력으로보다는 복합적인 화학적 과정으로 돌려 설명하려고 한다. 또한 많은 현대 과학자들은 생명을 독립된 힘으로 보지 않고 어떤 유기적인 복합체의 기능이라고 본다.

그러므로 인간의 자유는 생물학적 에너지의 산물로서, 그 원인의 복합성을 제외한다면 다른 물리적 효과와는 질적으로 다른 것이 아닌 것이 된다. 인간의 삶과 행동은 신념(믿음)을 요구한다. 인간 존재의 일반적인 성질과 우리가 사는 세상의 질서 있는 성질은 우리가 ‘보편적 신념 믿음’이라고 부르는, 우리 모두 안에 있는 아주 비슷한 신념을 유발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것들은 동일률(law of identity)에의 집착, 질서 있는 과정을 지닌 외적 세계에 대한 믿음, 우리와 같은 세계관을 공유하고, 같이 의사를 소통하며, 함께 사는 다른 사람들의 실존에 대한 믿음, 그리고 우리가 결국은 인정해야 하는 어떤 궁극적 실재에 대한 믿음 등이다(본문 중에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 6

제1부 관점의 설정
1 오늘날을 위한 세계관의 필요성 … 13
2 현대의 휴머니즘과 가치의 세속화 … 32
3 세계관의 구조 … 56

제2부 기독교 세계관의 구조
4 하나님과 창조 : 신학적 논의 … 91
5 하나님과 피조계 : 철학적 논의 … 112
6 현대철학에서 본 인간 … 142
7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인간 … 164
8 진리와 지식 : 신학적 논의 … 194
9 진리와 지식 : 철학적 논의 … 211
10 유신론적 가치의 근거 … 236
11 사회와 역사 … 264

제3부 세계관의 실천적 의미
12 인간의 창의성 … 302
13 과학과 과학기술 … 314
14 노동 … 325
15 놀이(여가선용)의 문제 … 338

결론 … 357
역자후기 … 359
기독교 세계관 개정역에 붙이는 말 … 361
색인 … 363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