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국가.주권
국가.주권
저자 : 박상섭
출판사 : 소화
출판년 : 2008
ISBN : 9788984103450

책소개

구성원 사이의 유기적 연결성을 바탕으로 국가를 정의하는 작업은 독일에서 활발하게 시도되었다.
동아시아에 전달된 이러한 국가 개념의 전통은 국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데올로기로서의 유용성과 그 이론이 갖는 동아시아의 전통적 국가 개념과의 친화성 때문에 쉽게 수용되었다.
이 결과로 나타난 것이 민족국가사상이었다. 한국사의 경우 신채호 등에서 나타나는 강력한 민족주의는 모두 서양에서의 진화론과 국가유기체설의 영향을 받고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민족주의적 국가이론이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이론의 역할을 했을 때에는 큰 문제가 없었으나, 일단 조직된 국가권력에 의해 사용되자 국가조직의 권력 사용을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로 변화하여 위험한 경향을 드러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구성원 사이의 유기적 연결성을 바탕으로 국가를 정의하는 작업은 독일에서 활발하게 시도되었다.
동아시아에 전달된 이러한 국가 개념의 전통은 국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데올로기로서의 유용성과 그 이론이 갖는 동아시아의 전통적 국가 개념과의 친화성 때문에 쉽게 수용되었다.
이 결과로 나타난 것이 민족국가사상이었다. 한국사의 경우 신채호 등에서 나타나는 강력한 민족주의는 모두 서양에서의 진화론과 국가유기체설의 영향을 받고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민족주의적 국가이론이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이론의 역할을 했을 때에는 큰 문제가 없었으나, 일단 조직된 국가권력에 의해 사용되자 국가조직의 권력 사용을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로 변화하여 위험한 경향을 드러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발간사
저자의 말

서론-국가 개념의 다의성과 연구의 의의

Part 1 국가

1. 서양에서 국가 개념의 변화
Status/Stato의 기원|국가이성|근대적 국가 개념의 성장|독일에서의 국가 개념의 형성과 발전
2. 한자 문명권에서 국가의 개념
중국에서의 국가 개념|일본에서의 국가 개념
3. 한국사 전통에서 국가의 개념
고구려/고려(-)|조선조의 기록물|새로운 국가 개념의 시작|
취약한 국가 전통과 국가지상주의의 위험


Part 2 주권

4. 근대 유럽사에서 주권 개념의 형성 과정
서양 주권이론의 전사|근대적 주권 개념을 위한 준비|
근대 주권이론의 탄생-보댕과 홉스|대외적 주권|근대 국제정치질서에서 최고 규범으로서의 주권
5. 주권 개념의 조선 전래
주권 개념 전래의 의미|김윤식과 양편론/양득론|유길준과 양절체제|유길준 이후|
주권 현실의 부재와 주권 개념 확립의 지연

결론

문헌목록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