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수사학 이론 (200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수사학 이론 (2008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저자 : 티모시 보셔스
출판사 : 커뮤니케이션북스
출판년 : 2007
ISBN : 9788984997745

책소개

수사학의 이론과 실제를 통해 사람과 사회,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입문자들에게 이론적 통찰을 제공해 주는 수사학 입문서. 이 책을 읽는 사람들은 어떻게 효과적인 커뮤니케이터가 될 수 있는지 습득하게 되는 것은 물론,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수사학의 효과와 함의에 대해 평가할 수 있도록 했다.
...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수사학의 이론을 간결하면서도 접근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는 수사학 입문서이다. 기존의 연대기 중심이 아닌 주제별 접근으로 수사학 기본 개념과 쟁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서구중심이나 학자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으로 최신 수사학 분야까지 접근하여, 수사학자뿐 아니라 기타 인문분야 연구자 및 학생들에게까지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수사학의 이론과 실제를 통해 사람과 사회,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입문자들에게 이론적 통찰을 제공해 주는 수사학 입문서이다. 따라서 이 책을 읽는 사람들은 어떻게 효과적인 커뮤니케이터가 될 수 있는지 습득하게 되는 것은 물론,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수사학의 효과와 함의에 대해 평가할 수 있도록 했다.

연대순 보다는 주제별 구성으로
수사학 이론은 종종 연대순 형식으로 소개되어 왔다. 이러한 구성은 다양한 방식의 사고들 간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쉽게 알 수가 없게 한다는 맹점이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수사학 이론에 접근하는 데 있어 주제별 구성을 선택했다. 유사한 이론들은 개념과 주제들을 중심으로 한 장에서 함께 다루고, 중심적인 논점과 요지에 따라 이론가들은 통합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사학 이론의 중심 사상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접근은 독자들로 하여금 더욱 쉽게 중요한 쟁점과 개념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다양한 인문분야 연구자와 학생들을 위하여
수사학 연구는 고전적 수사학, 페미니스트 수사학 혹은 문화연구와 같은 특정한 연구분야의 전 과정에 걸쳐 전문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따라서 오늘날 다양한 인문분야의 연구자들은 특정 시대와 특수 용어에 한정되지 않으면서 수사학 이론을 폭넓게 접할 수 있기를 원한다. 또한, 수사학 이론이 그들의 일상생활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알기를 원한다.
이 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수사학 이론의 역사와 핵심 주제를 제공하며, 아주 복잡한 이론들에 대한 검토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이 책은 충분한 맥락을 제공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왜 이론들이 탄생했으며 어떻게 이론들이 실제 세계 및 여러 사상들과 관련되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수사학에 관한 다양한 시각과 접근들
이 책은 수사학에 대한 가장 지배적인 접근들과 함께 비서구적(non-Western) 접근들을 통합하고 있다. 아프리카인, 중국인, 그리고 미국 원주민의 문화와 관련한 수사학 이론뿐만 아니라 페미니스트 및 젠더와 관련한 수사학 이론까지도 다루고 있다. 또한, 스튜어트 홀(Stuart Hall)-영국의 흑인 이론가-의 연구도 문화연구 부분에서 심도 있게 다루었다. 수잔 랭거(Susanne Langer), 체리스 크라마래(Cheris Kramarae), 그리고 캐서린 홀 제이미슨(Kathleen Hall Jamieson) 역시 논의 부분에서 중요하게 다루었다.

매력적인 교육 교재
이 책은 교수자나 학생들에게 훌륭한 교재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 책에서는 문장의 내용을 보강할 수 있도록 그림을 삽입하였다. ‘토의 문제’, ‘용어 풀이’, 그리고 ‘요약’은 입문자들이 공부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부가적으로 각 장의 ‘이론가의 일대기’에서는 논의된 이론가들 중 한 명의 일대기를 소개하며, 실생활에 이론을 적용하는 주요 관점과 함께, 독자들이 새로운 맥락으로 학습을 확장할 수 있도록 ‘인터넷 활용’이 마련되어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부 수사학의 본질



1장 수사학의 정의와 수사학 이론

1. 수사학 정의하기

2. 수사학의 특징

3. 수사학의 한계

4. 수사학의 영향력

5. 수사학 이론의 간략한 역사

6. 미국에서의 수사학에 대한 학문적 연구

7. 이 책의 구성

8. 수사학 이론의 요약



2부 수사학의 주요 기능



2장 설득으로서의 수사학

1. 고전적 수사학의 인물들

2. 주요 이론가들

3. 수사학의 개념

4. 수사학의 5가지 규범

5. 고전적 수사학의 요약



3장 표현, 발표, 수사학 이론

1. 제2의 소피스트

2. 수사학의 기독교화

3. 중세시대의 수사학

4. 휴머니즘과 수사학 교육

5. 순문학 운동

6. 연설법 운동

7. 수사학 이론의 요약



4장 수사학, 과학, 논증

1. 인식론자

2. “새로운 수사학”의 형성

3. 수사학과 논증

4. 리차드 웨이틀리

5. 논법에 대한 수사학적 접근

6. 논증의 설계

7. 체임 페렐만의 “신 수사학”

8. 수사학 이론의 요약



3부 언어의 반영성



5장 수사학과 의미

1. 문화적 환경

2. 언어의 반영성

3. 의미

4. 오해의 해결:일반 의미론

5. 정신, 자아, 그리고 사회

6. 의미의 개념 확장

7. 수사학과 억압

8. 위버:의미와 가치들

9. 인식으로서 수사학

10. 수사학 이론의 요약



6장 드라마티즘

1. 수사학의 특징

2. 행동과 활동

3. 동일시

4. 상징적 경험의 틀짓기:5가

5. 죄의식으로부터 구원

6. 내러티브

7.상징적 융합이론

8. 드라마티즘 이론의 요약



4부 수사학, 문화, 권력



7장 수사학에 대한 비판적 접근

1. 수사학 이론에서 강조점의 변화

2. 문화의 영향

3. 이데올로기의 전환

4. 수사학 이론에 대한 비판적 접근

5. 수사학과 마르크스주의

6. 이데올로기, 권력, 그리고 헤게모니

7. 표의문자

8. 공론장

9. 비판적 수사학

10. 권력과 이데올로기에 대한 접근의 요약



8장 젠더화된 수사학 이론

1. 젠더와 페미니즘 정의하기

2. 여성운동에 대한 약사

3. 젠더화된 수사학의 유형

4. 여성의 공적 수사학

5. 여성의 사적 수사학

6. 캠벨과 여성 해방 운동

7. 수사학의 여성화

8. 초대의 수사학

9. 여성적 스타일

10. 젠더의 다양성 관점

11. 수사학과 억압/해방

12. 젠더화된 수사학 이론의 요약



9장 비서구 수사학 이론

1. 문화중심 수사학 이론

2. 아프리카중심 수사학 이론

3. 중국 수사학 이론

4. 미국 원주민 수사학의 사례연구

5. 대안적 수사학 이론의 요약



5부 수사학의 분화



10장 수사학, 미디어, 테크놀로지

1.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새로운 형식

2. 마샬 맥루한

3. 수사학, 의식, 그리고 문화

4. 전자적 수사법

5. 기호학

6. 시각적 이미지와 수사학

7. 시각적 논증

8. 하이퍼텍스트의 수사적 특징

9. 수사학 이론 요약



11장 수사학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적 접근

1.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무엇인가?

2. 포스트모던과 수사학

3. 지식

4. 의미

5. 정체성/자아

6. 리얼리티

7. 정치

8. 포스트모던 시대에 수사학에 대한 재고

9. 수사학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적 접근 요약



12장 문화적 수사학 연구

1. 수사학 이론에 대한 개관

2. 문화연구란 무엇인가?

3. 문화연구와 수사학 연구의 관계

4. 재현과 의미:문화연구의 토대

5. 정체성, 민족성, 계급, 젠더

6. 접합

7. 왜 이런 일이 생기는가? 수용자 반응

8. 텍스트성

9. 수사학 연구와 문화연구의 이용

10. 사상의 요약

11. 수사학 정의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