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저자 : 윤석민
출판사 : 커뮤니케이션북스
출판년 : 2007
ISBN : 9788984998773

책소개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특성과 유형, 구성요소를 체계적으로 논의한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구성 요소를 심층 분석한다. 커뮤니케이터, 미디어, 정보, 메시지, 채널, 수용자, 효과 등 각 요소의 의미와 관계를 밝혀냈다.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입문서가 주로 매스미디어를 다루었다면,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의 흐름과 구조를 이론화하여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다양한 측면들을 살피고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은 상호작용에서 시작되어 상호작용을 통해 구현되며 다시 상호작용으로 귀결된다. 인간의 상호작용은 커뮤니케이션의 목적이자 기능이며 결과이다. 이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현상 그 자체는 궁극적인 분석 대상이나 이론이 되기 어렵다. 커뮤니케이션학의 학문적 위상이나 정체성을 둘러싼 시비가 계속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그렇더라도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다양성을 정체성 부재로 규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 오히려 인간 현상과 관련된 모든 주제와 이론을 관통하는 초월적 정체성으로 파악하는 것이 타당하다.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 책은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특성과 유형, 구성요소를 체계적으로 논의한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구성 요소를 심층 분석한다. 커뮤니케이터란 어떤 존재인가? 미디어와 채널은 어떻게 다른가? 정보와 메시지는 구별 가능한가? 커뮤니케이션 효과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구성하는 요소의 의미와 관계를 밝혀냈다.

저자는 종래의 연구 성과와 이론을 폭넓게 수용하면서 독창적인 사고로 이를 재해석했다. 커뮤니케이션의 흐름과 구조를 이론화하여 지식과 현실 사이에 연결고리를 마련했다.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입문서가 주로 매스미디어를 다루었다면 이 책은 보다 근원적인 질문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다양한 측면들을 살피고 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언



1장 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1.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특성

1)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속성

2) 상호작용 행위의 소통적 요소와 의사소통적 상호작용 행위

2. 커뮤니케이션하는 이유

1) E pluribus unum

2) 욕구의 고도화

3) 제도화된 욕구충족 방식으로의 사회적 상호작용

4) 의사소통의 역할

5) 수단으로서의 소통적 상호작용

3.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학문적 탐구



2장 커뮤니케이션의 유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1. 커뮤니케이션 유형의 구분 기준

1) 종래의 구분

2) 종래의 구분 방식에 대한 평가와 새로운 구분 방식

3) 인간 상호작용 및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2. 영역별 상호작용의 유형

1) 개인이 주체가 된 상호작용

2) 집단이 주체가 된 상호작용

3) 사회가 주체가 된 상호작용

4) 여타의 상호작용

3. 각 상호작용별 소통 유형

1) 개인적 소통 영역

2) 집단적 소통 영역

3) 사회적 소통 영역

4) 사회적 소통 행위의 종합적 구조



3장 커뮤니케이션 현상은 어떠한 요소들로 구성되는가?

1.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관한 모형

1) 섀넌과 위버의 공학적 커뮤니케이션 모형

2)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 지향적 모형: SMCRE 모형

3) 자극-반응 모형

4) 차배근의 종합적 모형

5) 기호학적 모형

2.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구성하는 요소들

1) 종래의 지배적 모형(SMCRE)의 재평가

2) 커뮤니케이션 요소의 개념과 핵심쟁점



4장 커뮤니케이터 1: 커뮤니케이터란 어떠한 존재인가?

1. 커뮤니케이터의 본질

1) 커뮤니케이터의 의미

2) 주체

3) 연결성

2. 이상적인 사회적 주체로서의 커뮤니케이터

1) 근대주의적 견해

2) 탈근대주의적 비판과 재비판

3) 평가

3. 커뮤니케이터의 유형

1) 커뮤니케이터의 유형 구분

2) 커뮤니케이터들 간의 소통 상황

3) 커뮤니케이터의 유형과 커뮤니케이션의 구조

4. 우리 시대 커뮤니케이터의 모습

1) 우리 시대 커뮤니케이터의 단면들

2) 변화의 모습에 대한 평가



5장 커뮤니케이터 2: 미디어란 무엇인가?

1. 미디어의 개념

1) 미디어의 본질

2) 전문적 커뮤니케이터의 의미

3) 언론

4) 언론권력

2. 미디어의 유형

1) 통신

2) 방송

3) 인쇄출판 매체

4) 인터넷

3. 미디어의 변화

1) 미디어의 변화를 바라보는 시각들

2) 미디어 변화 양상의 사례



6장 무엇을 소통하는가?

1. 커뮤니케이션되는 것의 본질

1) 소통되는 실체로서의 정신현상

2) 정신현상의 본질을 둘러싼 논쟁

3) 정신의 측면들

2. 세계와 정보

1) 세계를 인식한다는 것

2) 정보의 유형과 체계

3. 제도화된 정보체계의 사례들

1) 학교의 커리큘럼

2) 도서관의 도서 분류체계

3) 대중매체의 뉴스 생산체계

4) 인터넷의 지식·정보 제공체계

5) 언어



7장 메시지란 무엇인가?

1. 메시지와 부호

1) 부호

2) 부호의 유형

3) 언어

2. 부호화

1) 부호화의 개념

2) 부호화의 과정

3) 정보이론

4) 부호와 세계에 대한 인식

3. 메시지

1) 메시지, 정보, 부호의 관계

2) 엔트로피와 리던던시

3) 메시지의 유형



8장 채널이란 무엇인가?

1. 채널의 개념과 유형

1) 개념

2) 유형

2. 의사소통 행렬

1) 의사소통 행렬표의 개념 및 사례

2) 일반화된 의사소통 행렬표

3) 사회적 의사소통 행렬

4) 네트워크 분석

3. 사회적 채널의 구조와 그 변화

1) 사회적 채널의 크기

2) 사회적 채널의 구성 방식 및 그 변화



9장 메시지는 어떻게 수용되는가?

1. 수용자의 개념과 유형

1) 수용자의 본질

2) 유형의 구분

2. 수용자 연구

1) 수용자 연구의 유형

2) 행태주의적 연구들

3. 메시지 수용 행위

1) 메시지 수용 행위의 기본 속성

2) 메시지 수용의 과정



10장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란 무엇인가?

1.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의미

1)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와 미디어의 효과

2) 미디어 효과 연구

2. 미디어 효과 연구의 주요 내용들

1) 미디어의 효과를 바라보는 시각의 역사적 변화

2) 미디어 효과의 유형

3.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1)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개념

2) 커뮤니케이션이 박탈되거나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일들

3) 커뮤니케이션의 무서운 힘

4) 커뮤니케이션과 민주주의

5) 커뮤니케이션과 유토피아

4. 커뮤니케이션 정책

1) 커뮤니케이션 정책의 개념

2) 커뮤니케이션 정책 결정의 과정

3) 커뮤니케이션 정책 연구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