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신앙 성서 교회를 위한 기독교 신학 (목회를 위한 신학 개론)
신앙 성서 교회를 위한 기독교 신학 (목회를 위한 신학 개론)
저자 : 허호익
출판사 : 동연
출판년 : 2009
ISBN : 9788985467940

책소개

목회를 위한 신학 개론!

대전신학대학교 교수 허호익의 『신앙, 성서, 교회를 위한 기독교 신학』. 저자가 신학을 처음 배우는 신학생을 위해 20여 년간 조직 신학에 대해 가르쳐온 내용을 다듬어 엮은 신학 개론서다. 신학은 신앙의 학문이고, 성서의 학문이며, 교회의 학문임을 강조하고 있다.

개신교의 신학 교육은 취약하여 성서 지식과 교리 지식, 그리고 신학적 사유를 다지지 못하는 것이 흔하다. 목회를 잘 하는 것은 신학 공부를 잘 하는 것과는 다르다고 주장하는 목사도 있다. 신학 공부는 목회에 도움이 되지도 않는다고도 주장한다. 이처럼 신학에 대한 무시와 오해가 만연해 있다.

이 책은 신학이 바로 서야 신앙, 성서, 교회가 바로 설 수 있음을 일깨워주고 있다. 교회와 사회 현실과 무관한 학문적 담론으로 여겨져온 신학을, 목회 현장에서 맞대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살려낸다. 신학생이 신학의 세계로 첫 걸음을 내딛는 데 도움을 건넨다. 목회자에게는 목회의 디딤돌이 되어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신학이 바로 서야 신앙과 말씀과 교회가 바로 선다

10만 명. 2009년 기준 한국 개신교 목회자 수. 그만큼 신학교도 부지기수이고 목회자도 붕어빵 찍어내듯 한다. 그에 반하여 목회자들의 질적인 수준은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든다. 해마다 쏟아져 나오는 목회자들의 수에 비해 질이 점점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 지 오래된 것이다. 이런 현상의 저변에는 신학 공부 하는 것과 목회하는 것과는 별개라는 생각이 만연해 있다. 과연 신학 공부와 목회가 이반하는 현실을 피할 수 없는가? 이 책은 목회를 준비하는 신학생들과 목회자들을 위한 기독교 신학 개론서다. 신학 공부 잘하는 것과 목회 잘하는 것이 별개라는 고정관념을 불식하고, 그 둘은 동전의 양면이라는 생각에 기초하여 신학을 풀어낸다. 신학이 바로 서야, 신앙과 말씀(성서)과 교회가 바로 설 수 있다는 생각이다.

목회 현장에서 필요한 신학
옛 어른들은 ‘홍수철에는 맑은 물이 귀하다.’고 하였다. 최근 우리나라에는 교회가 많지만 교회다운 교회가 많지 않다는 우려의 소리가 높다. 신학교도 많고 신학생들도 해마다 엄청나게 쏟아지고 있으나 신학생들의 양적 수준에 비해 그 질적 수준이 점점 떨어진다는 지적도 많다.
특히 개신교의 신학 교육은 가톨릭의 사제 양성 과정과 비교해 보면 제도적으로 취약하다. 가톨릭의 경우 기본적으로 7년간의 신학 교육을 집중적으로 받는 반면, 개신교의 주요 교단 신학교의 경우 신학대학원 3년 과정만을 마치면 목회자가 될 기본 자격이 생긴다. 그러다 보니 일반 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 과정으로 신학을 선택한 졸업자의 경우 고작해야 3년간 신학 교육을 받을 따름이다. 그나마도 대부분의 재학생은 전도사 사역을 하면서 신학 공부를 하다 보니 신학대학원은 목사가 되기 위한 과정으로 거쳐 갈 뿐 성서 지식과 교리 기초, 신학적 사유의 깊이를 다지지 못하는 경우가 흔하다.
이 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현장 목회자들에게 필요한 교육이 어떤 것인가 하는 대안을 고민한 끝에 나온 책이다. 20여 년간 조직 신학 관련 과목을 가르치며 신학에 대한 멸시와 오해가 만연해 있다는 사실을 직면한 저자가 ‘제대로’된 신학을 가르쳐 보겠다는 생각으로 책을 엮었다.
신학에 대한 오해와 문제점 들은 다음과 같다.

1. 몇몇 목사님들은 공공연하게 목회 잘하는 것하고 신학 공부 잘하는 것하고는 별개라고 한다. 심지어는 신학 공부는 목회와 상관없고 목회에 도움이 되지도 않는다는 주장을 서슴없이 하는 이들도 있다. 그 이유는 신학 공부가 어려운 이론이나 형이상학적인 논리를 되풀이하는 것에서 기인할 것이다. 목회 현장에 맞대어 쓸 수 있는 신학이 필요한 이유다.
2. 신학을 교회와 사회의 현실과 무관한 학문적 담론으로 생각하는 신학자들도 있다. 서양 신학을 소개하고 새로운 신학을 주장하지만 한국 교회와 사회가 직면한 문제에 무관한 주제일 경우도 허다하다. 파울로 프레이리Paulo Freire가 말한 것처럼 신학 교육 역시 지식 축적식 교육이 아니라 문제 제시형의 교육이 되려면 교회와 사회의 현실에 대한 신학적 분석과 신학적 대안의 제시라는 신학적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야 할 것이다.
3. 일부 평신도나 신학생들은 신학교에서는 단지 성경만 열심히 배우는 줄로 알고 있다. 그러나 신학 교육은 신앙에 관한 모든 주제들을 광범위하게 가르친다. 또한 가능하면 신학생들에게 삶의 모든 영역에 대해 관심을 갖고 신학과 관련되는 학문의 여러 영역도 소개하여 폭넓은 시야와 균형 잡힌 사고를 할 수 있도록 가르친다.
4. 한국 교회는 교리 교육이나 신학 교육이 취약하여 신학적 분별력이 없어 이단에 빠지는 사람도 많다. 신학적 다양성에 대한 학습의 기회도 없어 보수든 진보든 자신의 협소하고 폐쇄적인 신학적 프레임에 갇혀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리하여 평신도들뿐 아니라 목회자들도 진보와 보수 사이의 신학적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되어 있다.

이 책은 20여 년간 신학을 처음 배우는 신학도에게 ‘신학서론’ 또는 ‘조직신학개론’이라는 과목을 가르치면서 다루어 온 내용들을 가다듬어 엮은 것이다. 저자는 오랜 신학 교육 경험을 통해, 교회와 사회 현실과 무관한 학문적 담론으로 여겨지던 신학을 목회 일선에서 맞대어 쓸 수 있는 현장 신학으로 되살려낸다. 그렇기에 신학도 뿐 아니라 목회 일선에서 분투하는 목회자들에게도 목회의 디딤돌이 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 5

제1장 신학이란 무엇인가

1. 신학에 대한 다양한 이해 / 15
1) 기독교 이전의 신학 이해 / 15
2) 신학이란 용어의 기독교적 수용 / 16
3) 중세 기독교의 신학 이해 / 18
4) 종교개혁자들의 신학 이해 / 20
5) 현대 기독교의 신학 이해 / 23
2. 신학의 정의와 분야, 학문적 특성 / 29
1) 신학의 정의 / 29
2) 신학의 여러 분야 / 32
3) 신학의 학문적 특성 / 34
3. 신학의 논리와 방법 / 37
1) 사건을 설명하는 논리 / 38
2) 사물을 설명하는 논리 : 추론의 외적 형식 / 38
3) 관계를 설명하는 논리 : 추론의 내적 형식 / 40
4. 신학의 동기와 과제와 필요성 / 49
1) 신학의 동기와 과제 / 49
2) 신학의 필요성에 대한 신학사적 이해 / 52
3) 한국 신학의 필요성에 대한 한국 신학사적 이해 / 67
5. 최근 신학의 새로운 흐름 / 71
1) 제3세계의 행동 신학(Doing Theology) / 71
2) 영성의 위기와 영성 신학 / 86
3) 생태위기와 JPIC의 신학 / 97
4) 타종교와의 만남과 종교 다원주의 / 102

제2장 신앙의 학문으로서 신학

1. 신학의 프리-텍스트(Pretext)로서 신앙 / 113
2. 무엇을 믿는가 : 신앙의 대상 / 116
1) 신앙의 다양성과 일치의 공통분모 / 116
2) 신앙의 인격적 절대적 대상과 비인격적 상대적 대상 / 118
3) 신앙의 다양성과 이단성 / 120
3. 어떻게 믿는가 : 신앙의 방식 / 130
1) 신앙의 3가지 방식 / 130
2)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과 믿음의 방식 / 137
3) 말씀의 세 양태와 들음의 세 양태 / 142
4) 인격적 신앙의 세 차원 / 167
4. 왜 믿는가 : 신앙의 동기 분석과 성숙의 과제 / 173
1) 콜버그의 도덕발달단계이론과 신앙 동기의 6단계 / 173
2) 파울러의 신앙발달단계이론과 신앙 성숙의 6단계 / 179

제3장 성서의 학문으로서 신학

1. 신앙의 텍스트(Text)로서 성서 / 183
1) 거룩한 책으로서 성경 / 183
2) 계약의 책으로서 성경 / 186
2. 성경 형성과 정경화의 과정 / 190
3. 성서의 권위와 교회의 권위 / 196
1) 수도 생활과 선행의 한계 / 199
2) 고해성사의 한계 /200
3) 성서의 가르침과 구원의 확신 / 202
4) 신앙의 유일한 규범인 성서의 재발견 / 204
4. 성경의 영감설과 성서 비평학 / 207
1) 성서의 신언성과 영감설 / 207
2) 성서의 오류에 대한 칼빈의 이해 / 213
3) 성서 비평학과 문서설의 등장 / 218
4) 근본주의의 반동 : 반문서설과 성경무오설 / 223
5) 한국 교회의 성서관 논쟁 / 228
6) 신정통주의의 성서관 : 성서의 신언성과 인언성 / 231
5. 설교의 위기와 성서 해석의 원리와 방법 / 238
1) 설교의 위기 / 238
2) 초대 교회의 성서 해석 / 239
3) 중세 교회의 성서 해석 / 246
4) 종교개혁과 성서 해석 / 248
5) 현대 성서 해석학의 과제

제4장 교회의 학문으로서 신학

1. 신학의 컨텍스트(Context)로서 교회 / 273
1) 교회의 어원적 고찰 / 273
2) 교회의 성서적 표상 / 279
3) 교회의 3중 구조와 6가지 과제 / 285
4) 교회의 특성과 참된 교회의 표식 / 292
5) 교회의 직제와 제도 / 299
2. 교회의 삼중적 사회 선교의 전략적 이해 / 302
1) 교회의 사회 봉사적 선교 / 303
2) 교회의 사회 운동적 선교 / 305
3) 교회의 사회 정책적 선교 / 306
3. 교회의 정치적 책임 - 정교 분리와 정교 유착을 넘어서 / 308
1) 루터의 이왕국론과 정교 분리의 정치적 무관심 / 309
2) 칼빈의 신정정치론과 정교 유착의 정치적 우상숭배 / 312
3) 몰트만의 정치 신학과 교회의 정치적 책임 / 320
4. 한국 교회의 구조적 위기와 교회론적 대안 / 327
1) 한국 교회의 구조적 위기 / 327
2) 통계 비교에 나타난 개신교의 구조적 취약점 / 329
3) 개신교의 양극화와 가톨릭의 교구 제도의 평준화 / 335
4) 가톨릭의 사제 양성 제도와 개신교의 목회자 양산 / 337
5) 개신교의 구조 개혁을 위한 대안 / 344
5. 한국 교회의 목회의 리더십과 팔로우십 / 347
1) 리더십의 위기 / 347
2) 권위의 특성에 따르는 목회 리더십의 유형 / 352
3) 리더십의 유형과 상황 리더십 / 358
4) 팔로우십의 유형과 파트너십 / 363
5) 예수의 리더십과 제자들의 팔로우십 / 365

부록 : 영지주의의 기독교 왜곡과 사도신경의 형성 / 369
주석 및 참고 문헌 / 398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