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조선 한국 신분계급사
조선 한국 신분계급사
저자 : 김영모
출판사 : 고헌출판부
출판년 : 2014
ISBN : 9788990435279

책소개

『조선 한국 신분계급사』는 그간 신분, 계급 및 지배층에 관한 쟁점을 먼저 소개하고 또한 저자가 그간 발표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한말. 일제시 및 해방후 한국의 신분계급사를 재구성 하였다. 또한 최근의 이와 관련된 논문을 추가하여 조선 한국 신분 계급사를 설명하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제 Ⅰ편, 조선왕조 신분사



제 1장 조선왕조 신분사 연구의 쟁점 1



1. 서 론 1

2. 신분 구분 4

3. 방목 분석 9

4. 호적 분석 14

5. 결 론 20



제 2장 조선왕조 관료지배층의 형성과 이동 24



1. 서 론 24

2. 과거 합격자 25

1) 신분배경 26

2) 신분이동 40

3) 씨족배경 43

4) 지역배경 45

3. 관료 지배층 48

1) 신분배경 49

2) 친족배경 51

3) 지역배경 54

4) 경제적 배경 54

4. 결 론 56



제 3장 조선왕조 후기 신분구조와 그 변동 59



1. 서 론 59

2. 법제적 신분변화 59

3. 호적상 신분변동 62



1) 대구부(大丘府) 63

2) 울산부(蔚山府) 67

3) 단성현(丹城縣) 69

4) 언양현(彦陽縣) 71

4. 호적상 신분구조 74

1) 양반과 준양반 75

2) 중인과 향리 및 군관 78

3) 양인과 천역양인 79

4) 천민과 노비 80

5. 결 론 83



제 4장 조선후기 경상도 언양현의 신분구조와 변동 85



1. 서 론 85

1) 연구목적 85

2) 연구대상 86

3) 연구방법 88

2. 시기별 신분변동 91

1) 호주분석에 의한 신분직역 91

2) 인구분석에 의한 직역별 신분 97

3. 지역별 신분구조 105

1) 면별 신분구조 105

2) 리별 신분구조 108

4. 명문 씨족의 신분배경과 경제력 111

1) 양반촌 115

2) 향리촌 138

3) 역리촌 147

4) 장인촌 153

5. 신분변화의 요인과 신분정책 156

1) 신분변화의 요인 156

2) 신분정책의 의미 160

6. 결 론 168





제 Ⅱ편, 한말/ 일제시 신분계급사



제 1장 한말 / 일제시 지배층의 형성과 이동 170



1. 서 론 170

2. 한말 지배층의 성격 171

3. 일제시 지배층의 성격 176

1) 조선 귀족 177

2) 한인 관료지배층 179

4. 결 론 184



제 2장 한말 / 일제시 신분 및 계급변동 186



1. 서 론 186

2. 한말 직업 및 신분구조 187

1) 한성부의 신분구조 187

2) 한말 농촌의 신분구조 190

3. 일제시 직업 및 계급변동 192

1) 직업변동 193

2) 농민분해 195

3) 계급양극화 197

4) 계급갈등 201

4. 결 론 204



제 Ⅲ편, 한국사회 계급사



제 1장 해방후 사회계급 연구의 쟁점 207



1. 서 론 207

2. 계급의 양극화 와 중산층화 209

3. 계급의 동질화와 이질화 216

4. 결 론 218



제 2장 현대 한국사회의 계급구조와 변동 221



Ⅰ. 2000년 한국의 계급분석 221

1. 서 론 221

1) 연구목적 221

2) 연구방법 222

2. 마르크스 모델 222

1) 지역별 계급구성 223

2) 산업별 계급구성 224



3. 기능주의 계급모델 225

1) 직업 구성 226

2) 지역별 계층구조 227

4. 갈등론적 계급모델 229

1) 지역별 계급구성 230

2) 성별 계급구성 232

5. 결 론 234



Ⅱ. 2005년 한국의 계급분석 235

1. 서 론 235

1) 연구목적 245

2) 연구방법 236

2. 이론적 관점에서 본 계급구성 237

1) 마르크스 모델 237

2) 신갈등 모델 240

3. 계급구조의 지역 및 성별 분석 242

1) 지역별 계급분석 242

2) 성별 계급구성 244

4. 계급구조의 계층적 성격 247

1) 자본가계급 248

2) 구중산층 251

3) 신중산층 252

4) 노동자계급 254

5. 결 론 256



Ⅲ. 2010년 한국의 계급분석 258

1. 서 론 258

1) 연구목적 258

2) 연구방법 259

2. 계급구성과 그 특성 259

1) 계급분석 틀에 따른 계급구성 259

2) 계급별 특성 263

3) 계급별 종사산업 267

3. 계급변동과 그 특성 270

1) 해방후 계급변동 270

2) 계급변동의 구조적 특징 271

3) 노동자계급 274

4. 결 론 277





제 3장 해방후 권력지배층의 형성과 이동 279



1. 서 론 279

2. 권력형성기 281

1) 미군정시 281

2) 이승만 정권 284

3. 군사정권기 285

1) 박정희 정권 285

2) 전두환 정권 289



4. 민주정권기 291

1) 충원요인 294

2) 이동경로 297

5. 결 론 299



제 4장 18대 대선후보의 출신배경과 정책공약 303



1. 서 론 303

2. 18대 대선 투표결과 305

1) 대선후보 지지율 305

2) 득표율과 투표성향 307

3. 대선후보의 인물론과 출신배경 309

1) 출신배경 309

2) 정치적 배경 312

4. 정책공약과 양극화 과제 319

1) 양극화 과제 319

2) 정책 공약 325

5. 대선의 승패 원인과 그 과제 342

1) 정치사적 요인 343

2) 경제정책적 요인 345

3) 사회정책적 요인 348

4) 언론문화적 요인 352

6. 결 론 353





제 5장, 19대 국회의원의 사회계층적 분석 356



1. 서 론 356



2. 총선결과와 투표성향 358

3. 인물/ 자질의 계층적 지위 362

1) 전문적 자질 362

2) 소득과 소유재산 367

4. 정책공약의 계층적 성격 369

1) 총선공약 369

2) 복지논쟁 372

5. 통합 연대론 376

1) 정당 통합 376

2) 야권 연대 378

6. 결 론 382



<부론 1> 경상도 언양현 읍내리의 신분구조 384



1. 서 론 384



2. 신분구조 385

1) 지역별 신분구조 385

2) 세대별 신분직역 387

3. 씨족배경 387

1) 지역별 씨족분포 387

2) 씨족별 신분배경 388

4. 통혼권 389

1) 씨족별 통혼권 389

2) 신분직역간 통혼권 390

5. 신분이동 392

1) 4祖간 직역변화 392

2) 세대간 이동 393

6. 경제력; 노비, 고공 및 협인 395

1) 지역별 천민 노동력 395

2) 신분직역별 천민노동력 397

7. 결 론 398





<부론 2> 역사 연구와 사회과학 방법 400



1. 역사주의 400

2. 사관의 주체성 401

3. 사론의 과학성 406

4. 사가의 자세 410

5. 민족적 갈등사관 411



<부론 3> 2010년 여/ 야간 복지정책 논쟁 413



1. 서 론 413

2. 복지이념과 한국형 복지 415

1) 이념적 배경 415

2) 한국형 복지이념 418

3. 복지 논쟁의 주요한 쟁점 422

1) 한국형 복지사회 422

2) 복지급여의 전략 426

3) 복지대상의 설정 428

4) 재원조달의 방안 430

4. 복지논쟁의 정치사회학적 의미 435

5. 결 론 437



< 부 록 > 439

< 찾아보기 > 450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