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콘텐츠 마케팅
콘텐츠 마케팅
저자 : 아라히 노리코|후쿠다 토시히코|야마카와 사토루
출판사 : 시간의물레
출판년 : 2009
ISBN : 9788991425729

책소개

일본에 있어서의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우선 콘텐츠마케팅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콘텐츠마케팅의 연구유형과 모노가타리論(후술), 소비의 특성, 전략발상, 특히 지역에 있어서의 실제 성공사례 순으로 일본의 현 상황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직접적으로는 콘텐츠 그 자체를 어떻게 팔 수 있을까가 테마가 되지만, 콘텐츠를 자사제품의 판매촉진에 활용하려는 마케터들에게도 좋은 책이 될 것이다.
일본에 있어서의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우선 콘텐츠마케팅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콘텐츠마케팅의 연구유형과 모노가타리論(후술), 소비의 특성, 전략발상, 특히 지역에 있어서의 실제 성공사례 순으로 일본의 현 상황을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아직도 원 맨 파워 스타일이 강한 우리나라의 콘텐츠업계 입장에서 볼 때, 우리의 콘텐츠산학을 체계적으로 한 단계 레벨 업 시키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는 책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장 왜, 콘텐츠 마케팅일까
1. 11조 엔 산업을 둘러싸고
2. 콘텐츠의 범위
3. 새로운 시대의 룰이란
4. 콘텐츠는 ‘국제경쟁 지정업종’
〈칼럼 1〉 각국의 콘텐츠 산업진흥책
5. 일본정부, 일어서다
〈칼럼 2〉 프로듀서 육성과 커리큘럼
6. 브로드밴드 시대의 콘텐츠
7.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급선무
8. 액티브 오디언스의 대두
9. 콘텐츠는 참가하는 놀이의 場
〈칼럼 3〉 일본 애니메이션의 특성과 세계시장

제2장 콘텐츠마케팅의 연구 범주
1. 마케팅에 대한 인식차
2. 부족한 마케팅 연구의 성과
3. 콘텐츠 마케팅의 특성
4. 콘텐츠재는 유비쿼터스와 프로테우스
5. 경제와 문화의 교환
6.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와 소비자 간의 협조관계의 형성
〈칼럼 4〉 콘텐츠 비즈니스에 관련된 권리
7. 프로듀서를 지원하는 지식체계
8. 콘텐츠 활용자?투자자로서의 지표
9. 콘텐츠 연구는 마케팅의 최첨단
〈칼럼 5〉 콘텐츠의 시장예측 시스템

제3장 콘텐츠 마케팅과 모노가타리성(物語性)
1. 모노가타리論과 마케팅의 결합
2. 모노가타리는 마음에 쓰는 안경이다
3. 모노가타리는 사람과 사람을 밀접하게 연결시킨다
〈칼럼 6〉 교육 속의 캐릭터
4. 모든 모노가타리에는 공통되는 구조가 있다
5. 모노가타리論의 마케팅 응용, 두 가지 어프로치
6. 모노가타리 니즈(필요성)의 분석과 개발
7. 작품형 콘텐츠의 가치창조와 비작품형 콘텐츠의 작품화
8. 이야기와 말하기의 공동창작적(共創的) 관계를 만들다
9. 콘텐츠를 중심으로 하는 모노가타리 세계의 창조
〈칼럼 7〉 음양오행설과 모노가타리 콘텐츠의 개발

제4장 콘텐츠 소비를 생각한다
1. 왜 콘텐츠를 소비하는가
2. 콘텐츠 소비의 특성 - 콘텐츠는 상품인가 작품인가
〈칼럼 8〉 유형상품과 무형상품의 마케팅
3. 시간소비재로서의 측면
4. 무형재로서의 콘텐츠
5. 다양한 미디어에 의한 향유 - 프로테우스형 상품
6. 관련소비?관심확장
7. 지각(知?)리스크와 인지적 불협화
〈칼럼 9〉 지각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콘텐츠 전개
8. 인간관계 촉진적 소비
9. 편익발생 타이밍의 랜덤성
10. 능동성을 가져 온다
11. 세계관 소비
〈칼럼 10〉 궁극의 콘텐츠로서의‘나’

제5장 콘텐츠 마케팅의 전략 발상
1. 개발 프로세스의 전략 시점
〈칼럼 11〉 한류 드라마에 대한 생각
2. 유통 프로세스의 전략 시점
〈칼럼 12〉 등장인물은 차원을 초월한다
3. 고객유지 프로세스의 전략 시점
〈칼럼 13〉 쇼트 스팬 콘텐츠와 롱 스팬 콘텐츠

제6장 콘텐츠마케팅의 실제
1. 과감하게 ‘초니치(超ニッチャ)’ 노린다
〈칼럼 14〉 지역 활성화와 콘텐츠
2. ‘쇼트필름’에서 브랜드를 체험한다
〈칼럼 15〉 캐릭터라는 콘텐츠
3. 콘텐츠를 약동하게 하는 모바일 미디어
〈칼럼 16〉 로컬 히어로여, 영원히!

▣맺음말
‘큰 모노가타리’ 속에서 ‘작은 모노가타리’를 생각하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