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개혁주의 문화철학과 문화콘텐츠
개혁주의 문화철학과 문화콘텐츠
저자 : 장동민
출판사 : 북코리아
출판년 : 2008
ISBN : 9788992521710

책소개

이 책은 기독교의 관점에서 문화를 바라보는 시각을 정립하고, 문화의 각 영역에서 진행되는 기독교 문화콘텐츠의 현황을 분석하고 비평하며, 전망을 제시하는 작업인 기독교문화콘텐츠 총서의 1권으로 개혁주의 신학의 관점에서 문화 또는 문화콘텐츠를 어떻게 볼 것인지에 대해 고찰하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은 타문화전통, 대중문화와 기술문화 등의 다양한 문제들에 대하여 대안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실천방안과 같은 기독교 문화철학의 과제를 점검하고 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네덜란드의 미술사가인 한스 로크마커Hans R. Rookmaaker는 “예술은 정당화가 필요 없다.Art needs no justification.”고 말했다. 하늘과 땅 그리고 바다는 왜 의미가 있는 것인가? 하나님께서 이들을 창조하셨고 유지시키시기 때문이 아닌가? 예술도 마찬가지다. 우리 인간에게 예술과 미의식을 부여하는 것을 하나님이 좋게 여기셨기 때문에 예술은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로크마커는 예술이 별도의 정당화가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로크마커보다 한 세대 앞서 독일에서 태어난 파울 틸리히Paul Tillich라는 신학자는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남겼다. “종교는 문화의 실체이며 문화는 종교의 형식이다.” 이 명제로써 틸리히는 종교와 문화의 이원론을 철저히 타파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는 종교 활동이 문화적으로 형성되어야 함을 역설했다.

‘21세기는 문화의 세기’라는 구호가 무색하지 않게 우리 사회에는 문화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 가고 있다. 우리 사회의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한국 교회에서도 기독교 문화에 대한 관심이 점증하고 있다. 이는 한국 교회의 미래를 위해서 고무적인 현상임에 분명하다. 우리는 이러한 관심이 일시적인 유행으로 그치지 않고 한국 교회가 갱신하며 성숙하는 계기로 발전하기를 기원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 한국 교회는 이 관심을 어떠한 방향으로 이끌고 가야 할 것인가,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안으로써 훌륭한 기독교 문화를 형성해 나갈 것인가를 심각하게 고려해보아야 한다. 한국 기독교 초창기에 기독교가 우리 사회의 문화를 선도했듯이, 우리 사회에서 기독교가 상당한 비중한 차지하는 이 시점에 한국 교회는 내실 있게 성장하여 이 땅의 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역량을 마련해야 한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개혁주의 문화론:하나님이 선하신 창조오 문화의 타락|장동민

01 문화명령(Cultural mandate)과 문화 타락

02 문화명령과 문화 타락의 긴장관계

03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

04 결론



개혁주의 문화철학의 모색|이경직

01 들어가는 말

02 문화 개념과 문화상대주의

03 문화의 객관적 토대

04 기독교와 문화

05 나가는 말



기독교 문화철학의 과제|최태연

01 들어가는 말

02 문화의 일반적 정의

03 기독교 신앙으로 본 문화

04 기독교 문화철학의 과제들

05 나가는 말



문화콘텐츠와 기독교철학의 만남|이경직

01 들어가는 말

02 인문학고 문화콘텐츠

03 기독교와 문화콘텐츠

04 나가는 말



복음과 문화의 상관성 연구"선교적 적용성을 지향하며|김경진

01 들어가는 말

02 공관복음

03 사도 바울의 가르침

04 정리 및 적용



한국에서의 문화목회의 필요성과 그 방안|이경직

01 들어가는 말

02 21세기 문화:인터넷 문화

03 한국교회의 대응:문화목회

04 나가는 말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