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상호문화 목회상담 (목회적 돌봄과 상담에 대한 상호문화적 접근)
상호문화 목회상담 (목회적 돌봄과 상담에 대한 상호문화적 접근)
저자 : 임마누엘 라티
출판사 : 대서
출판년 : 2011
ISBN : 9788992619493

책소개

『상호문화 목회상담』은 목회적 돌봄의 역사를 선명하고도 간결하게 제시하면서 상담과 영성의 다양한 모델들을 다루고 있다. 또한 이 책은 최근의 교회 연구를 반영하고 있고 상호문화적 접근이 실제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설명해주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임마누엘 라티는 개인들을 효과적으로 상담하고, 인도하고, 역량강화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적 영향들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상호문화 목회상담」은 목회적 돌봄의 역사를 선명하고도 간결하게 제시하면서 상담과 영성의 다양한 모델들을 다루고 있다. 또한 이 책은 최근의 교회 연구를 반영하고 있고 상호문화적 접근이 실제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설명해주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문화적으로 다양한 사회에서의 목회상담에 대해 연구하는 교수들과 학생들에게, 다문화 상황에서 돌봄을 실천하는 사역자들에게 유용한 자원이 될 것이다.

한국에 ‘코리안 드림’을 꿈꾸며 온 외국인 노동자가 ‘할머니 뼈 감자탕’ 이라는 간판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는 사실성을 알 수 없는 얘기를 들은적이 있다. 그냥 웃고 넘기기에는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다문화적 상황의 일면을 잘 보여주는 유머이다. 2004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이 전체 결혼 건수의 10%를 넘고 있다고 한다. 아직까지는 낯선 느낌일 수도 있지만 우리나라는 이제 더 이상 ‘단일민족’도 ‘백의민족’도 아닌 다문화, 다민족, 다인종 국가로 가고 있다.
7080, 세시봉, 아이돌 등의 문화적 상징들과 트롯, 락, 힙합, 랩 등의 서로 다른 음악 장르들은 세대 간 문화적 감수성의 현격한 다양함을 보여준다. 기존의 휴대폰도 감당하기 벅찬 이들에게 스마트폰은 그저 이상한 기계일 수도 있다. 신문이나 뉴스를 빠짐없이 챙겨보며 거의 정치가 수준에서 정치 얘기를 하는 이들은 6.25, 4.19, 5.16, 10.26, 5.18, 6.10 을 그저 난수표의 코드처럼 느끼는 이들에게 이질감마저 느낀다. 성실함 하나로 그래도 살만 했던 이들의 ‘열심히 살아라’는 말은 열심히 살려고하면 할수록 더욱 나락으로 떨어지는 듯한 경험을 하는 소위 ‘88만원 세대’에게는 원망을 불러일으킨다. 불교 사찰에 가서 ‘땅 밟기’를 하면서 억지로라도 그들이 복음 앞에 굴복하기를 기도하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최근 방송에 나왔듯이 기독교인이면서 사찰에 찾아가서 참선 경험과 종교간 대화 속에서 자신이 신앙이 더욱 깊어지고 넓어짐을 경험한다는 이들도 있다. 전혀 대화가 될 것 같지 않은 그야말로 ‘무례한 기독교’와 ‘경계선 없는 기독교’ 사이의 어느 지점에서 우리는 존재의 자리를 찾고 있다.
변화의 주요 특징인 다양함과 복잡함은 우리의 관심인 목회와 상담에도 패러다임 자체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인 임마누엘 라티도 그런 고민 속에 있다. 그는 아프리카 가나 출신이고, 영국과 미국에서 공부와 사역의 과정을 거쳐 왔던 흑인 목사로서 다문화 상황을 몸으로 경험해왔기 때문에 이 책 속에 담긴 그의 절절한 문제의식은 ‘다문화’라는 새로운 상황을 거쳐 가야할 우리에게도 상당 부분 적절하고도 필요한 도전이 될 것이다. 다양한 문화 속에서 어떻게 서로 존중하고 조화를 이루는 것이 가능할까? 그래서 저자는 의도적으로 ‘상호문화’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도 새로운 도전이 아닐 수 없다. 책의 내용이 쉽지 않은 부분도 있었고, 신학적으로 부딪히는 부분도 있었다. 특히 타종교에 대한 다원주의적 경향은 전통적인 신학과 교회 분위기에 있는 역자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목회와 상담에 관련된 분들이 실제 상황에서 겪고 있는 여러 주제들에 대해 더 많이 공부하고 고민하는데 소중한 자극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무쪼록 독자들이 이 책의 내용을 잘 소화해서 각자의 삶과 사역에서 더욱 풍성함을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되길 기대해본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부 역사, 이론 그리고 실제
1장 목회적 돌봄의 서론 _ 21
목회적 돌봄의 필수적인 요소들 / 문화와 상호문화성 /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식민주의
2장 목회적 돌봄의 역사적 발달 _ 49
몇몇 선례들 / 보다 최근의 발달들
3장 목회적 돌봄의 모델들 _ 63
치료로서 목회적 돌봄 / 사역으로서 목회적 돌봄 /
사회적 행동으로서 목회적 돌봄 / 역량강화로서 목회적 돌봄 /
개인적인 상호작용으로서 목회적 돌봄
4장 목회적 돌봄기능들과 자원들 _ 69
기능들 / 치유 / 지탱 / 인도 / 화해 / 양육 / 해방 / 역량강화 /
자원들 / 관계 속의 자기 / 말 / 감정 / 행동 / 상징과 상상력 /

2부 개인적 돌봄과 공적인 투쟁
5장 목회적 돌봄과 목회상담으로서 상담 _ 97
상담 / 상담의 모델들 / 통찰중심적 접근들 / 행동주의적 혹은
학습이론중심적 접근들 / 관계중심적 접근들 / 자아초월적 혹은
영적 성장 중심적 접근들 / 상담의 특성들 / 경청 / 공감 / 초공감 /
존중 / 비소유적인 따뜻함 / 진정성 / 구체성 / 직면 / 비밀보장 /
즉시성 / 결론 / 목회상담 / 세속적인 용례 / 안수 받은 자에 의한 상담 /
종교적인 준거틀이 있는 상담 / 신앙공동체 안에서 신앙공동체에 의해
제공되는 상담 / 기독교 상담 / 전인상담 / 상담에 대한 비판
6장 목회적 실천으로서 해방 _ 138
해방신학의 핵심 요소들 / 사회적 분석 / 해석학적 분석 /
해방의 목회적 실천 / 해방의 목회적 실천을 위한 교육적 주기 /
사회치료의 주기
7장 목회적 돌봄에서의 영성 _ 172
벡터량으로서 영성 / ‘영’과 영성 / 초월과의 관계로서 영성 /
자기와의 관계로서 영성 / 대인관계로서의 영성 / 집단적인 것으로서의
영성 / 공간적인 것으로서 영성 / 목회적 돌봄과 영성
8장 상호문화 목회적 돌봄의 사례 연구 _ 189
사례연구 1 / 사례연구 2
9장 다원주의 상황에서 목회적 돌봄에 대한 접근들 _ 202
단일문화주의자의 목회적 돌봄 / 목회적 돌봄자들을 위한 초문화주의 /
목회적 돌봄자들을 위한 다문화주의 / 상호문화 목회적 돌봄과 상담 /
모든 다른 사람들과 같다 / 어떤 다른 사람들과 같다 /
다른 누구와도 같지 않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