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성경해석학 개론 (철학적 신학적 해석학의 역사와 의의)
성경해석학 개론 (철학적 신학적 해석학의 역사와 의의)
저자 : 앤서니 티슬턴
출판사 : 새물결플러스
출판년 : 2012
ISBN : 9788994752228

책소개

앤서니 티슬턴의 거장다운 통찰력이 녹아 있는 역작『성경해석학 개론』. 앤서니 티슬턴이 은퇴 하기 전에 가르친 마지막 강의(2010~2011)를 토대로, 그가 전 생애에 걸쳐 축적한 백과사전적 지식과 40여 년의 풍부한 강의 경험, 거장다운 통찰력을 담은 책이다. 석학의 정의와 주요한 논쟁을 다루면서 해석학을 협소한 의미에서의 해석의 “기술”로부터 해방시켜 철학 인식론, 언어학, 문학이론, 심리학, 사회학, 윤리학 등과의 긴밀한 연관성 안에서 다학제적으로 분석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모든 실재는 해석학적이다□□□
티슬턴의 백과사전적 지식, 40여 년의 풍부한 강의 경험,
거장다운 통찰력이 녹아 있는 역작!


『앤서니 티슬턴의 성경해석학 개론』은 티슬턴이 은퇴 전에 가르친 마지막 강의(2010-2011)를 토대로 탄생했다. 여기에는 그가 전 생애에 걸쳐 축적한 백과사전적 지식과 40여 년의 풍부한 강의 경험, 거장다운 통찰력이 녹아 있다. 저자는 해석학의 정의와 주요한 논쟁을 다루면서 해석학을 협소한 의미에서의 해석의 “기술”로부터 해방시켜 철학 인식론, 언어학, 문학이론, 심리학, 사회학, 윤리학 등과의 긴밀한 연관성 안에서 다학제적으로 파악한다.
이 책은 고대 그리스와 유대 사상으로부터 출발하여 최근 20세기의 해방신학 해석학, 페미니즘 해석학, 포스트모더니즘 해석학에 이르기까지 다른 어떤 개론서보다 광범위한 해석학의 역사와 주요 저자를 두루 다루고 있다. 동시에 단순한 해석학 논쟁사의 요약을 넘어서서 적실한 해석학적 사고가 어떤 것인지, 그리고 이러한 해석학적 사고가 성경 연구 속에서 또한 무엇보다 현실적 삶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안에서 어떤 실제적이고 윤리적인 함축을 가지는지를 잘 보여준다. 신학과 철학 분야 학생들의 실제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저술된 이 책은 성경해석과 해석학에 관한 필독서로 자리 매김할 역작이다.

추천의 글에서

해석학은 성서학과 신학 연구를 위해 필수 불가결한 학문임에도 비교적 최근에 와서야 그 중요성이 제대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명쾌하고 이해하기 용이할 뿐 아니라 권위 있는 교과서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티슬턴의 이 책은 지금까지 우리가 기다려온 바로 그 책이다.
월터 모벌리(더럼 대학교)

읽는 것 자체로 즐거움을 주는 책이다. 도발적인 동시에 사려 깊은 논증, 놀라울 만큼 풍성한 지식, 각기 다른 주제를 다룸에 있어 철저하게 공평성을 유지하는 태도가 돋보인다. 코끼리가 헤엄쳐도 될 만큼 깊고 아기가 물장구쳐도 될 만큼 안전하다. 평생에 걸친 해석학 연구의 결정체라 할 이 책으로 티슬턴은 우리에게 귀한 유산을 남겼다.
이앤 토랜스(프린스턴 신학교)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제1장 해석학의 목표와 영역
제2장 철학, 성서학, 문학이론, 사회적 자아의 맥락에서 본 해석학
제3장 해석학적 방법의 예: 예수의 비유
제4장 고대 세계에서 시작된 영원한 질문의 유산: 유대교와 고대 그리스
제5장 신약과 2세기
제6장 3세기에서 13세기까지
제7장 종교개혁, 계몽주의, 성서비평의 발흥
제8장. 슐라이어마허와 딜타이
제9장 루돌프 불트만과 신약의 탈신화화
제10장 20세기 중반의 접근: 바르트, 신해석학, 구조주의, 탈구조주의, 제임스 바의 의미론
제11장 한스-게오르크 가다머의 해석학: 두 번째 전환점
제12장 폴 리쾨르의 해석학
제13장 해방신학 해석학과 탈식민주의 해석학
제14장 페미니즘 해석학과 우머니즘 해석학
제15장 독자반응이론과 수용이론
제16장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석학
제17장 결론적 논평
참고 문헌
인명 색인
주제 색인
성경과 기타 고대 문헌 색인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