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현대 신학사상 (20세기 현대신학자들의 삶과 사상)
현대 신학사상 (20세기 현대신학자들의 삶과 사상)
저자 : 김균진
출판사 : 새물결플러스
출판년 : 2014
ISBN : 9788994752945

책소개

『현대 신학사상』은 50년간 올곧게 신학 연구에 정진해온 김균진 교수가 목회자의 마음으로 한국 교회 목회자와 신학생 그리고 성도들에게 쏟아놓는 현대신학 지침서이다. 인류 역사상 가장 큰 격변기라고 일컫는 20세기의 상황에 따른 다양한 신학사상과 진술들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 김균진 교수는 다른 관련 서적들과 달리, 현대 신학사상에 대한 주관적 인상이나 해석을 자제하고 내용 자체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독자 스스로 현대신학자들의 사상을 만나고 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현대신학에 대해 낯선 독자들도 각 장 마지막에 요약된 다양한 신학사상의 공헌과 문제점, 평가와 해석 등을 읽다보면, 필자의 균형 있는 시각을 배우고 신학적 사고와 비판력을 함양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20세기 신학자들의 삶과 신앙의 고뇌를 담아낸 현대신학의 바이블!!!



50년간 올곧게 신학 연구에 정진해온 김균진 교수가 목회자의 마음으로 한국 교회 목회자와 신학생 그리고 성도들에게 쏟아놓는 현대신학 지침서!!



20세기 현대 신학사상들은 추상적인 신학 논쟁의 산물이 아니라 일련의 신학자들이 그 시대의 문제와 치열하게 씨름하는 가운데 하나님의 말씀을 해석하고 그 타당성을 제시하려고 했던 신학적 노력의 결과물이다. 자유주의 신학에 맞서서 변증법적 계시 신학을 주장한 바르트, 신의 죽음의 현실에 직면하여 세속화 신학을 모색한 본회퍼, 유럽과 미국의 경계선상에서 마치 이방인처럼 살았던 틸리히, 전쟁의 참화를 통과하여 절망의 늪에서 희망을 갈구했던 몰트만의 신학과 더불어 라틴 아메리카의 해방신학, 한국의 민중신학 등은 모두 자기 시대의 역사적 도전에 대한 신학적 응전의 산물이었던 것이다.

『현대 신학사상』은 인류 역사상 가장 큰 격변기라고 일컫는 20세기의 상황에 따른 다양한 신학사상과 진술들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 김균진 교수는 다른 관련 서적들과 달리, 현대 신학사상에 대한 주관적 인상이나 해석을 자제하고 내용 자체를 최대한 객관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독자 스스로 현대신학자들의 사상을 만나고 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현대신학에 대해 낯선 독자들도 각 장 마지막에 요약된 다양한 신학사상의 공헌과 문제점, 평가와 해석 등을 읽다보면, 필자의 균형 있는 시각을 배우고 신학적 사고와 비판력을 함양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자는 이 책이 우리의 신학적 사고를 더욱 풍성하게 해주고, 하나님 나라의 진리와 정의가 이 땅 위에 세워지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염원한다. 현실적인 삶의 문제와 씨름하며 신학적 사고와 답변을 얻고자 애쓰는 모든 목회자와 신학생 그리고 성도들의 손에 이 책이 들려져서 저자의 염원이 실현될 수 있기를 바란다.



[발행인의 글]



● 김균진 교수님의 제자이자 이 저작전집의 발행인으로서 제가 감히 교수님의 신학을 평가한다면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을 하고 싶습니다.

첫째, 지난 100년간 서구 신학계를 관통했던 신학적 사조와 개념과의 부단한 대화와 함께 그것의 적용에 있어서 철저히 지금-여기서의 정황을 지향함으로써 한국적인 바탕 위에서 국제적인 신학적 토론에 참여하는 것의 가능성을 제시한 점.

둘째, 기존의 추상적이고 철학적인 조직신학적 진술이 아닌 성서내러티브적이고 메시아적 종말론에 입각한 독창적인 조직신학의 세계를 제시한 점.

셋째, 과학과의 대화, 신무신론과의 대화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조직신학의 과제와 외연을 지속적으로 확장한 점.

넷째, 급진적인 신학 이론의 소개뿐 아니라 칼뱅과 루터 등의 저작에서도 상당히 많은 부분들을 인용함으로써 소위 보수와 진보 신학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균형 감각을 견지하는 점.

다섯째, 특별히 인생의 후반기에 저술하신 책들의 경우 단순히 신학이론에 대한 비판적 소개나 분석에 머물지 않고 교회의 현실을 염두에 둔 목회적이고 경건주의적인 따스한 시선이 두드러지게 제시되는 점 등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발행인의 글

머리말



제1부 현대신학의 시작과 형성

I. 칼 바르트의 변증법적 신학

II. 에밀 브루너의 “기독교적 자연신학”

III. 불트만의 실존신학

IV. 불트만 제자들의 신학

V. 20세기 초엽의 다른 신학 운동들

VI. 20세기 전반기의 신학적 해석학



제2부 현대신학의 확장과 전환

I. 본회퍼의 “기독교의 비종교적 해석”

II. 세속화 신학과 하나님의 죽음의 신학

III. 폴 틸리히의 존재론적 신학

IV. 오스카 쿨만의 구원사 신학

V. 판넨베르크의 보편사 신학

VI. 몰트만의 희망의 신학



제3부 20세기의 상황신학들

I. 메츠, 몰트만, 죌레의 정치신학

II. 라틴 아메리카의 해방신학

III. 한국의 민중신학

IV. 아메리카의 흑인신학

V. 여성신학과 생태여성신학



제4부 타 학문과 신학의 만남

I. 과정철학과 과정신학

II. 포스트모더니즘과 신학의 만남

III. 포스트모던 신학으로서의 구성신학

IV. 자연과학과 신학의 만남



제5부 에큐메니컬 신학

I. 20세기 가톨릭 신학

II. 20세기 에큐메니컬 신학

III. 종교신학



참고 문헌

주제 색인

인명 색인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