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아브라함의 아들 이스마엘 (성경에 기록된 이스마엘을 향한 약속)
아브라함의 아들 이스마엘 (성경에 기록된 이스마엘을 향한 약속)
저자 : 조나단 E. 컬버
출판사 : 인사이더스
출판년 : 2015
ISBN : 9788996119661

책소개

이 책에서 저자는 무슬림 사회와 더불어 기독교 사회에 대한 하나님의 마음이 어떠한지를 나타내고 있다. 무슬림 사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기 위한 목표지이며, 기독교사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기 위한 도구인 것이다. [아브라함의 아들 이스마엘]은 하나님의 사랑으로 가득 채워진 책이다. 또한 이 책은 하나님께서 이스마엘과 그의 후손들을 향한 선교계획을 가지고 계신다는 것을 독자들에게 설명하고 알리기 위한 목적을 담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스마엘과 그의 자손들을 향한 잊혀진 축복

이 책에서 저자는 무슬림 사회와 더불어 기독교 사회에 대한 하나님의 마음이 어떠한지를 나타내고 있다. 무슬림 사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기 위한 목표지이며, 기독교사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기 위한 도구인 것이다. [아브라함의 아들 이스마엘]은 하나님의 사랑으로 가득 채워진 책이다.
또한 이 책은 하나님께서 이스마엘과 그의 후손들을 향한 선교계획을 가지고 계신다는 것을 독자들에게 설명하고 알리기 위한 목적을 담고 있다. 하나님의 이런한 계획은 창세기 16,17,21 그리고 25장에 기록된 것처럼 아브라함과 하갈에게 전해진 이스마엘에 대한 4가지 축복의 약속에 기초하고 있다. 이스마엘과 그 후손을 향한 하나님의 선교의 주제는 이사야 42장 10-11절과 60장 6-7절 그리고 신약의 몇몇구절 (마태2장 1-12,사도 2:11,갈라디아 1:17등)을 통해 반영되고 있다. 따라서 독자들은 이스마엘과 그의 후손을 향한 하나님의 선교 주제는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에 이르기까지 성경 전체에 걸쳐 펼쳐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하나님께서 하갈과 이스마엘 그리고 그의 후손들을 어떻게 살피고 계시는지에 대해 놀라운 모습ㄷ을 목격하게 될 것이다. 이들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천사의 말씀과 조치는 우리에게 긍정적인 반향을 도와 줄 것이다. 그동안 이들을 향한 증오가 있었다면 그것은 사랑으로 변화 될 것이며, 두려움은 희망으로 변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평
저자 간증
저자 서문
한국어 번역본을 위한 저자 서문
추천의 글
역자 서문

제1장 이스마엘을 향한 하나님의 약속
1.창세기의 놀라운 네 가지 약속
2.이스마엘을 향한 축복의 약속의 진행
3.이스마엘을 향한 하나님의 약속의 중요성
4.이스마엘을 향한 하나님의 약속은 아랍인들만을 위한 것일까?
5.이스마엘을 향한 약속과 하나님의 사역

제2장 이스마엘, 천국에서 내려온 이름

1.누가 아브라함의 상속자들인가
2.사라의 계획
3.여주인과 여종
4.하나님의 천사의 출현, 하나님의 초기사역
5.어려운 명령
6.천국에서 내려온 이름
7.“들나귀 기질 분석”
8.그의 손이 모든 사람을 치겠고 모든 사람의 손이 그를 칠지며
9.‘모든 형제와 대항해서(al-pen)에 대한 의미와 이해하기
10.단어 ‘al-pen'의 이중적 의미의 완성
11.하나님 천사의 약속에 대한 하갈의 반응
12.아브라함의 천막으로 다시 돌아온 하갈
13.마무리

제3장 축복 약속을 받은 이스마엘

1.아브라함에게 나타난 여호와
2.아식의 탄생 소식
3.아브라함의 생각
4.이스마엘이 아니라, 이삭이다! 하지만
5.‘이스마엘에 대하여는 내가 네 말을 들었나니’
6.“내가 그에게 복을 주어”
7.‘그를 매우 크게 생육하고 번성하게 할지라“
8.‘그가 열두 두령을 낳으리니’
9.“내가 그를 큰 나라가 되게 하려니와”
10.아브라함과 이삭, 이스마엘에게 주신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요약
11.이스마엘을 하나님의 선교 목표이지 도구가 아니다.
12.‘언약의 표징(할레)’이 당장의 언약의 축복은 아니다.
13.“이스마엘을 향한 축복의 약속: 성약의 필연적 결과인가?
14.마무리

제4장 아브라함 가족의 분열

1.사라의 관점에서 본 하갈과 아스마엘의 ?겨남
2.아브라함의 관점에서 본 하갈과 이스마엘의 쫓겨남
3.아브라함에게 반복되어 나타난 이스마엘에 대한 약속
4.아브라함이 제물로 바친 첫 번째 아들
5.하나님께서 이스마엘을 들시다 (WAYISHMA ELOHIM)
6.하나님께서 그 아이와 함께하시다(창세기 21장 20절)
7.이스마엘: 광야에 거하는 자 (창세기 21장 20-21절)
8.이스마엘과에서
9.이스마엘의 합당한 아내
10.마무리

제5장 완전히 제쳐두지 않은 아랍 땅의 아브라함의 자손

1.그두라의 자삭들보다 높은 서열에 위치한 이스마엘
2.그두라의 자손들(창세기 25장 1-6)
3.‘아브라함의 자식’으로 높임받은 이삭과 이스마엘
4.하나님의 선교계획에 담겨있는 이스마엘의 족보
5.‘TOLEDOTH'로 시작되는 이스마엘의 족보
6.역사서에 기록된 이스마엘의 아들들
7.유목종족들- 이스마엘의 후손들을 향한 회복의 약속(창세기 25장 16절)
8.이스마엘 죽음-가부장의 권위(창세기 25장 17절)
9.이스마엘의 후손: 하빌라에서 수르까지(창세기25장 18절)
10.아프리카 모로코에서 인도네시아 머라우께(Merauke)까지
11.마무리

제6장 새 예루살렘으로 나오는 이스마엘

1.이사야 60장의 배경
2.아랍 땅에서 떼를 지어 나아오는 아브라함의 후손들
3.이스마엘 자손과 이들문화의 변화
4.문화적 변화에 대한 사도요한의 환상(요한계시록 21장 22-27절)
5.교회시대 이스마엘 자손들의 문화적 변화
6.하나님의 우선순위: 아브라함 자손들의 회복(이사야 60장 1-7절)
7.아브라함의 후손들 사이에 임할 하나님의 임재
8.점차 증가하고 있는 꿈과 환상
9.마무리

제7장 신약에 나타나는 이스마엘

1.마태와 동방박사 그리고 메시야(마태복음 2장 1-2절)
2.마태복음 2장 1-12절의 배경
3.마태복음2장 11절과 이사야 60장 6-7절
4.동방박사들은 아랍인들이었나?
5.동방박사들과 하나님의 선교계획
6.사도바울의 아랍지역 방문
7.사도바울의 아랍지역방문 목적에 대한 학자들의 논쟁
8.갈라디아서 1장15-18절,아랍 땅과 사도바울의 소명
9.이사야42장과 49장에 근거한 아랍 땅과 사도바울의 선교 소명
10.사도바울이 말한 ‘아랍 땅’
11.나바티안왕국인 아랍 땅에서 복음전파: 고린도후서11장 32-33절
12.아랍나바티안 왕국의 아레다4세왕
13.사도바울을 잡기 위한 계략을 자극한 요인들
14.오순절에 참석한 아랍인들(사도행전 2장 11절)
15.사도바울은 아랍어를 배울 필요가 없었다.
16.요약과 재구성 그리고 결론

제8장 이스마엘 민족의 외침에 귀를 기울이기

1.하나님의 선교계획에 있어서 이스마엘후손들의 중요성
2.이스마엘을 향한 축복 약속의 특별함
3.하갈과 이스마엘의 외침: 이스마엘후손을 향한 하나님의 선교의 상징
4.오늘날의 이스마엘의 후손(무슬림)들을 향한 외침
5.이제는 마음을 지켜야 할 때이다.

부록. 1.이스마엘부터 무함마드까지의 족보에 대한 연구

1.아랍지역의 고대족보
2.이스마엘과 무함마드의 족보를 다루는 다룬 연구가 있을까?
3.알아즈라(Al-Azraqi)와 알타바리(Ath Thabari)의 사료
4.450년 시리아(Cyrrhuss)에서 테오도레트(Theodoret)의 보고
5.쿠사이의 시에 기록된 게달까지 이르는 그의 조상
6.고대 아랍의 비문에 기록된 이름 ‘이스마엘’
7.요약 및 결론

부록. 2.역사서에 기록된 느바욧과 게달

1.느바욧(Nebayot)
2.게달(Kedar)

부록. 3.오리게네스(Oregenes):이스마엘을 향한 약속과 고대 아랍인들을 향한 복음전도

1.하나님의 축복을 받은 이스마엘
2.고대 아랍인들을 향한 오리게네스의 선교

부록. 4. 사도바울의 관점에서 본 하갈과 이스마엘

1.이스마엘과 이삭은 하나의 비유이다.
2.사도바울이 사용한 비유의 의미

부록. 5.이스마엘에게 약속된 ‘큰 나라’의 의미

1.약속된 ‘큰 나라’는 어디일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