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상호주관적 과정과 무의식 (프로이트 클라인 비온 학파의 통합관점)
상호주관적 과정과 무의식 (프로이트 클라인 비온 학파의 통합관점)
저자 : 로렌스 J.브라운
출판사 :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출판년 : 2018
ISBN : 9788997465354

책소개

[상호주관적 과정과 무의식]은 프로이트가 최초로 개념화한 주제인, 정신분석가/정신분석 심리치료사의 마음과 환자의 마음이 어떻게 서로 심오하고 무의식적인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지를 조명한다. 로렌스 브라운의 이 저술은 역작이다.

이 책은 현재에 이르는 분석 기법 패러다임의 가장 중요한 변화 중의 하나-가장 중요한 변화가 아니라고 한다면-에 대한 시기적절하고 너무나 소중한 논문이다.

그는 역전이의 진화,역전이의 전이와의 궁극적인'결합'그리고 이들이 상호주관성 이론에 함께 흡수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그의 작업은 그 범위에 있어서는

방대한 양의 백과사전과도 같고, 질적으로 보자면 유쾌하면서도 우아하게 쓰인 글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상호주관적 과정과 무의식]은 프로이트가 최초로 개념화한 주제인, 정신분석가/정신분석 심리치료사의 마음과 환자의 마음이 어떻게 서로 심오하고 무의식적인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지를 조명한다. 로렌스 브라운의 이 저술은 역작이다.



이 책은 현재에 이르는 분석 기법 패러다임의 가장 중요한 변화 중의 하나-가장 중요한 변화가 아니라고 한다면-에 대한 시기적절하고 너무나 소중한 논문이다.



그는 역전이의 진화,역전이의 전이와의 궁극적인'결합'그리고 이들이 상호주관성 이론에 함께 흡수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그의 작업은 그 범위에 있어서는



방대한 양의 백과사전과도 같고, 질적으로 보자면 유쾌하면서도 우아하게 쓰인 글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서문



감사의글



제1장 서론



제2장 분석의 도구: 무의식적 의사소통과 고전적 정신분석



제3장 클라인,비온 그리고 상호주관성:되기,변형,꿈꾸기



제4장 비온의 자아심리학 정신구조의 상호주관적 관점이 지닌 합의



제5장 상호주관성과 무의식적 과정:통합 모델



제6장 상호주관성과 내재화된 오이디프스 커플



제7장 쥴리의 미술관: 외상 환자의 치료에서 사고하기,꿈꾸기,역사화하기의 진화



제8장 슈퍼비전에서의 삼자적 상호주관적 모체



제9장 환자를 꿈꾸는 것에 대하여:역전이 꿈의 한 측면에 대한 고찰



제10장 마지막 성찰:미래를 꿈꾸기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