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스토리텔링 작법의 비밀 (All About, 드라마 작가 데뷔)
스토리텔링 작법의 비밀 (All About, 드라마 작가 데뷔)
저자 : 김윤정^원영실^배웅열^윤민경
출판사 : 나무자전거
출판년 : 2022
ISBN : 9788998417536

책소개

단막극부터 미니시리즈, OTT까지!
당신이 궁금한 글쓰기의 모든 것

드라마 작법의 기초인 단막극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지금껏 아무도 알려주지 않았던 미니시리즈 기획안 작성법과 장르별 글쓰기 노하우를 공개한다!
또한 현재 화제의 중심에 있는 OTT 작품들의 트렌드 분석까지 담아낸 이 시대에 꼭 필요한 작법서이다.

동시대 이야기로 ‘현장’의 스토리텔링을 말하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콘텐츠들이 실시간으로 업로드되고 있다. 매체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수많은 플랫폼들과 새로운 콘텐츠로 가득한 세상, 누구나 스마트폰 하나면 바로 다양한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시대이다. 이 시대의 작가는 과연 ‘어떻게’ 써야 할까? 요즘 시대의 드라마 글쓰기란 무엇일까? 이 책에는 작법은 물론 현직 작가들의 경험담과 현장 노하우를 인터뷰 형식으로 담아내 실질적 글쓰기에 도움을 준다. 작가를 꿈꾸는 모든 이에게 꼭 필요한 이야기, 생생한 현장 글쓰기 비법을 공개하여 예비 작가들의 궁금증을 낱낱이 해소시켜 줄 것이다.

단막극부터 미니시리즈, OTT까지! 당신이 궁금한 글쓰기의 모든 것
드라마 작법의 첫걸음인 단막극부터 제대로 배울 수 있는 작법서이다! 이 책 한 권이면 기초부터 차근차근 단계적으로 학습해 단막극 한 편을 완성할 수 있다. 그 과정을 차근차근 따라가다 보면 16부작 미니시리즈의 장르별 작법까지도 터득할 수 있다. 본격적으로 미니시리즈를 다루는 작법서는 아직까지도 많지 않다. 이 작법서가 특별한 이유는 미니시리즈 작법 비책을 자세하게 공개했기 때문이다. 또한 현재 화제의 중심에 있는 OTT 플랫폼 작품들의 트렌드 분석은 물론, 캐릭터 창작 실습에 대한 이야기까지 작품을 쓰는 예비 작가들에게 꼭 필요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

화제의 넷플릭스 드라마 오징어게임까지 new 트렌드를 담은 최신 작법서!
국내 콘텐츠들이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다양한 플랫폼에서 수많은 문화콘텐츠들이 쏟아지는 세상, 〈킹덤〉부터 〈오징어게임〉까지 K-콘텐츠가 각광을 받는 시대이다. 이 책은 전 세계에서 주목받은 〈오징어게임〉은 물론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드라마까지 폭넓게 다루고 있어, 최신의 작법 노하우까지 파악할 수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영화 〈약속〉, 〈신기전〉 등을 저술한 이만희 작가의 추천 작법서!
TV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서 ‘이런 바보! 난 왜 저런 생각을 못한 거야!’ 하며 탄식할 때가 많습니다.
이 책은 읽는 이로 하여금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합니다.
생각지 못한 질문과 조언으로 멈춰진 생각에 좋은 자극을 줍니다.
이 책이 작가를 꿈꾸는 열정가들에게 기발한 영감을 주면 좋겠습니다.
- 이만희 작가 추천사 中

지금 작가를 꿈꾸고 있다면 꼭 읽어야 할 작법서!
누구나 한 번쯤은 작가가 되고자 하는 꿈을 꾼 적이 있을 것입니다. 현실 앞에 잠시 미뤄 놓았지만 지금이라도 작가라는 꿈을 향해 도전하고 싶은 사람, 열심히 작가라는 꿈을 향해 가고 있지만 홀로 길을 잃고 헤매는 심정인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이 책은 그런 예비 작가들을 위한 것입니다. 지금의 세상은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스토리를 원하고 있습니다. 감히 말합니다. 누구나 작가가 될 수 있습니다.
- 작가의 글 중

현업 작가들의 생생한 경험담을 날 것 그대로 전하는 인터뷰!
지금 보면 어설프기 짝이 없는 작품들이지만, 마침표를 찍었을 때 결과물에 상관없이 어떤 만족감을 느꼈어요. 바닥까지 박박 긁어낸, 나의 최선을 100퍼센트 다 사용했다는 만족감. 사실 전 타고난 재능이 있는 작가가 아니라 이 정도 노력이 아니었다면 작가가 되진 못했을 거예요.
- 〈발칙하게 고고!〉 윤수정 작가 인터뷰

작가마다 다른 낚시터에 앉아 있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자신의 낚시터가 어딘가를 알아내는 게 꽤 중요한 일인 것 같아요. 나에게 편한 것들, 가까운 것들의 가치를 더욱 소중히 생각해야 진짜 내 것을 찾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 〈열두밤〉 황숙미 작가 인터뷰

무조건 그날 생각난 데까지 쓴 후, 다음 날 다시 읽어보고 수정 보완합니다. ‘다 지워도 괜찮으니 일단 써 보자.’ 이렇게 마음먹고 시작하면 부담감을 조금은 내려놓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단 씁니다. 그렇게 쓰고 지우고를 반복하다 보면 이거다 싶은 한 장면이 나옵니다.
- 〈화평공주 체중감량사〉 김은령 작가 인터뷰

가능한 작업시간을 정해 글을 쓰는 편입니다. 아침 10시부터 저녁 7시까지 작업실로 출퇴근하는 원칙을 정하고, 다음 날 더 좋은 아이디어 발상을 위해, 뇌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한 시간으로 남은 하루를 보내려 노력합니다. 원칙을 정해 작업을 하는 것은 프리랜서 작가에게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해요.
- 〈우리, 사랑했을까〉 이승진 작가 인터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PREFACE 어느 날, 작가가 되고자 마음먹은 당신에게
RECOMMENDATION 이만희 작가 추천사
CONTENTS 목차
PROLOGUE 들어가기 전, 초심에 대하여

Secret01. 스토리텔링의 세계

Section01. 이야기와 이야기꾼에 대하여
01. 이야기와 이야기꾼
02. 드라마의 근원
03. 이야기꾼과 재미
04. 내 안에 꿈틀대는 이야기꾼의 DNA

Section02. 이야기 법칙의 근원 〈시학〉 - 각종 작법서에 대하여
01. 글쓰기의 길잡이, 작법서 어디까지 읽어봤니?
02. 내가 읽고 내가 추천하는 작법서
03. 이야기 법칙의 근원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詩學)』
04. 작법서 과연 글쓰기에 도움이 되나?

Section03. 창작의 근원 창조성 - 자기검열과 완벽주의에 대하여
01. 즐기지 못하는 글쓰기
02. 보는 것과 쓰는 것의 차이
03. 창조성을 방해하는 자기검열
04. 또 하나의 방해꾼, 완벽주의
05. 글쓰기 근력 키우기
06. 모닝페이지와 아티스트데이트
07. 나만의 북극성 띄우기

Section04. 글쓰기를 돕는 도구들 - 고전 읽기와 필사에 대하여
01. 작가가 되기 위한 지름길, 도구 모음
02. 삼다(三多)에 관하여 :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하고, 많이 써라.
03. 내가 읽고 내가 추천하는 고전
04. 필사를 통한 작법의 테크닉 익히기

Secret02. 라이팅의 세계

Section01. 소재 찾기
01. 창작의 첫걸음, 소재 잡기
02. 행복한 고민, 소재 고르기

Section02. 로그라인과 컨셉 잡기
01. 들어가기 전 체크사항
02. 로그라인과 스토리라인
03. 소재는 연구하는 것

Section03. 캐릭터 창조/등장인물 만들기
01. 캐릭터 창조 전 잔소리
02. 캐릭터와 플롯의 상관관계
03. 진짜 캐릭터 창조하기, 매력적인 캐릭터란?
04. 등장인물을 창조하는 도구
05. 내면적 자질이 잘 설정된 캐릭터들
06. 주인공만큼 중요한 적대자
07. 캐릭터의 유형별 대비를 살펴보자

Section04. 줄거리와 구성, 플롯 짜기
01. 사건을 찾아라
02. 줄거리와 구성의 차이
03. 구조와 패러다임
04. 3장 구성과 구성점

Section05. 3장 구성 적용하기
01. 3장 구성 분석의 틀
02. 실제 적용할 3장 구성표
03. 3장 구성 작품 분석 사례
04. 내 작품에 적용해보기

Section06. 구성의 실제, 갈등과 장애물
01. 에피소드와 시퀀스
02. 갈등과 장애물 설정

Section07. 시놉시스 쓰기(단막극 공모용)
01. 왜 시놉시스가 중요한가?
02. 읽고 싶게 시놉시스를 만들어라
03. 시놉시스의 구성요소

Section08. 씬구성, 트리트먼트와 씬리스트 작성하기
01. 시놉시스와 대본의 중간 단계, 트리트먼트
02. 씬리스트의 효율성

Section09. 대본 쓰기와 대사 쓰기
01. 초고는 엉덩이와 발로 쓰자
02. 대본 쓰기의 즐거움
03. 상황에서 나오는 대사가 명대사
04. 캐릭터와 대사는 연결되어 있다

Interview01 〈발칙하게 고고〉 윤수정 작가

Secret03. 미니시리즈의 세계
Section01. 미니시리즈의 시작
01. 긴 호흡의 미니시리즈
02. 연속성이 중요한 미니시리즈

Section02. 기획안, 설득의 기술
01. 소통할 수 있는 기획안
02. 제목 ‘포장지’의 기술
03. 기획의도 ‘물음표’의 기술
04. 관전 포인트 ‘차별화’의 기술
05. 배경·무대 ‘장르’의 기술
06. 등장인물 ‘과거, 현재, 미래’의 기술
07. 회별 줄거리 ‘엔딩포인트’의 기술

Section03. 960분 스토리텔링의 법칙
01. 캐릭터와 플롯의 법칙
02. 캐릭터 ‘선택’의 법칙
03. ‘4, 8, 12’ 플롯의 법칙

Section04. 미니시리즈 장르별 공식
01. 장르의 결정
02. 로맨스 공식 - ‘사랑에는 장애물이 필요하다’
03. 직업물 공식 - ‘리얼한 세계를 알려줘라’
04. 범죄스릴러 공식 - ‘떡밥 회수를 잘하자’
05. 사극/시대극 공식 - ‘과거를 통해 현재를 보다’
06. 미니시리즈의 끝

Interview02 〈열두밤〉 황숙미 작가

Secret04. 트렌드의 세계
Section01. 늘어나는 플랫폼, 확장되는 이야기
01. 원작 IP의 중요성과 매체별 각색
02. 장르와 문화의 다양성 확대

Section02. 새로운 플랫폼, OTT
01. OTT 시대
02. OTT 콘텐츠의 경향과 특성
03. OTT 콘텐츠의 형식
04. OTT 작법?

Section03. 흥미로운 OTT 콘텐츠
01. 콘텐츠의 흥미유발과 감정이입
02. 수위 ‘센’ 청소년들이 온다
03. 다양한 ‘요즘’ 사랑의 모습이 온다
04. 확장되고 ‘촘촘해진’ 세계관이 온다
05. 현실보다 더한 ‘현실’이 온다
06. 여성 ‘원탑’ 주인공들이 온다
07. 생각보다 ‘마이너’한 것들이 온다
08. 색다르고 ‘실험적인’ 시도들이 온다

Section04. 지금, 앞으로도 할 수 있는 이야기
01. OTT 플랫폼에 대한 기대
02. 일단 도전해보자!

Interview03 〈화평공주 체중감량사〉 김은령 작가

Secret05. 캐릭터의 세계
Section01. 매력적인 스토리텔링의 Key, Character
01. 프로그램의 성패를 좌우하는 ‘캐릭터’
02. 기질과는 다른 ‘캐릭터’
03. 캐릭터의 완성은 ‘성격’

Section02. 캐릭터 성격 창조의 키, Who = 4W1H
01. Key 1. 캐릭터 기초 설계 When + Where
02. Key 2. 캐릭터 정밀 설계 What + Why
03. Key 3. 캐릭터 본격 시공 How

Section03. 조화로운 캐릭터 구성의 Key, Supporting Role
01. Key 1. 조연의 기능
02. Key 2. 조연의 창조

Interview04 〈우리, 사랑했을까〉 이승진 작가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