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유수현 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유수현 외)
저자 : 유수현^김창곤^김용진^천덕희^최은정
출판사 : 양서원(박철용)
출판년 : 2015
ISBN : 9788999403026

책소개

이 책은 ‘환경 속의 인간’이란 주제어에 따라 인간의 이해, 발달과정의 이해 그리고 사회 환경의 이해를 목표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저술했다. 제1부는 인간의 특성을 찾아내기 위해 여러 성격이론 가운데 여섯 가지의 이론을 중심으로 인간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과 지식을 다루었는데, 필자가 인간행동과 사회복지 실천의 관계, 이현주 교수가 정신분석적 입장, 천덕희 교수가 심리사회적 입장, 최은정 교수가 행동주의적 입장, 허만세 교수가 인지이론적 입장, 김용진 교수가 인본주의적 입장, 김창곤 교수가 도덕발달적 입장에 대해 집필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사회복지학 기초과목으로, 장차 사회복지 실천 영역에서 헌신할 사회복지전문직을 위해 저술되었다. 사회복지사들은 인간사랑과 존중의 가치를 지키는 한편, 사회부적응자들을 도와 독립된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가도록 원조하는 전문직이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인간과 그들이 살아가고 있는 사회환경에 대한 깊은 이해와 그들의 문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전문지식 그리고 기술일 것이다.

사회복지사들이 사회복지현장에서 만나는 클라이언트들은 대부분 사회적 약자들이거나 사회부적응자들이다. 그들의 미충족된 욕구나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을 찾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사회복지사의 주요 업무이므로, 그 대상자의 문제 행동이나 태도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클라이언트를 만나는 사회복지사들이 갖게 되는 질문은 “저들이 왜 그렇게 행동을 하는 것일까”, “무엇이 이러한 행동을 이끌었을까”, “이러한 문제 행동이나 부적응적인 행동은 바뀔 수 있는 것일까”, “어떻게 해야 이러한 문제행동이나 부적응적인 행동들이 변할 수 있을까” 등일 것이다. 이러한 물음에 대한 확실한 답은 자신이 직접 경험해 보면서 찾아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제한된 인생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각양각색의 상황이나 문제들을 모두 경험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먼저 경험했던 사람들의 경험이나 그들이 깨달았던 지식을 통해 이러한 질문에 해답을 찾을 수 있다.

미지의 세계를 탐험한 사람이 찾아낸 길은 후세 사람들에게 지도(map)가 되어 좀 더 편하게 여행하게 하는 길잡이 역할을 해준다. 이 지도를 대하는 여행객은 아직 가보지 않은 길이지만 그가 어떤 길을 택해야 주어진 조건하에 여행 목적지에 잘 도착할지를 예측할 수도 있다.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은 초행길도 두려움 없이 찾아갈 수 있게 해주는 내비게이션 같은 교과목이다.

“인간은 왜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고 감정을 표현하는가”라는 질문의 해답을 찾으려면 인간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과 함께 인간의 특성을 연구한 성격이론가들의 연구결과를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인간이 잉태하여 이 땅에 태어난 이후 노년이 되어 죽을 때까지 그 성장과 발달과정을 살펴보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그들이 생활하고 있는 사회 환경과 그 환경과의 상호작용 관계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제와 질문에 해답을 줄 수 있는 과목이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이다.

이 책은 ‘환경 속의 인간’이란 주제어에 따라 인간의 이해, 발달과정의 이해 그리고 사회 환경의 이해를 목표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저술하였다. 제1부는 인간의 특성을 찾아내기 위해 여러 성격이론 가운데 여섯 가지의 이론을 중심으로 인간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과 지식을 다루었는데, 필자가 인간행동과 사회복지 실천의 관계, 이현주 교수가 정신분석적 입장, 천덕희 교수가 심리사회적 입장, 최은정 교수가 행동주의적 입장, 허만세 교수가 인지이론적 입장, 김용진 교수가 인본주의적 입장, 김창곤 교수가 도덕발달적 입장에 대해 집필하였다.

제2부에서는 인간의 발달과정을 여섯 단계로 구분하여 생애주기별 발달의 특성과 과제들을 다루었는데, 김남형 교수가 태내기부터 아동기, 채정아 교수가 청소년기와 성인기, 이화영 교수가 중장년기와 노년기의 발달을 집필하였다. 마지막으로 제3부에서는 사회 환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최희철 교수가 사회체계이론을, 성준모 교수가 사회체계의 이해에 대해 집필하였다.

이 책은 여러 공저자들이 각자의 임상현장과 학문적 연구주제에 가장 적합하도록 배분하여 저술하였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공저자들의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축적된 실천적 혜안이 이 책의 곳곳에서 사례들로, 또는 복잡하고 난해한 이론을 설명하는 과정에 배어 있다. 따라서 실천경험과 이론이 직접 연결되어 사회복지 실천에 응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의 장점이다. 공저자들은 공동저술의 문제 중 하나인 표현의 일관성이나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여전히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독자들의 양해를 구한다. 우리는 앞으로 독자들의 비판과 조언을 통해 이 책을 계속 보완해 나갈 것이다.

대학특성화를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며 학생들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데 주력하고 있는 공저자들의 헌신적인 노력에 감사하며, 출판을 맡아주신 양서원 박철용 회장님과 임직원 여러분께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계획되어 출판되기까지 인도해 주신 하나님께 모든 영광을 돌려드립니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부 인간행동의 이해

제1장 인간행동과 사회복지 실천
1. 사회복지학의 개념/10
2. 사회복지 실천의 특성/11
3.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15
4. 사회 환경에 대한 이해/20
5. 인간행동의 이론과 사회복지 실천/21

제2장 정신분석적 입장
1.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23
2. 융의 분석심리이론/42

제3장 심리사회적 입장
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이론/46
2.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57

제4장 행동주의적 입장
1. 고전적 조건형성의 주요학자/70
2.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76
3.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87

제5장 인지이론적 입장
1. 주요개념 및 내용/102
2. 사회복지 실천과의 연관성/111

제6장 인본주의적 입장
1. 로저스의 현상학이론/115
2. 매슬로우의 욕구이론/131

제7장 도덕발달적 입장
1. 도덕성 발달이론/146
2. 도덕성의 개념/147
3. 피아제의 도덕성 발달/149
4.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152
5. 레스트의 도덕성 판단력 검사/160
6.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과 여성/161
7. 도덕성 발달의 최근 연구동향/165

제2부 인간발달의 이해

제8장 태내기?영유아기의 발달
1. 태내기의 발달/168
2. 영아기의 발달/172
3. 유아기/179

제9장 아동기의 발달
1. 신체적 발달/188
2. 심리적 발달/190
3. 사회적 발달/196
4.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관심 쟁점/200

제10장 청소년기의 발달
1. 신체적 발달/206
2. 심리적 발달/210
3. 사회적 발달/213
4.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관심 쟁점/217

제11장 성인기의 발달
1. 신체적 발달/228
2. 심리적 발달/230
3. 사회적 발달/235
4.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관심 쟁점/242

제12장 중장년기의 발달
1. 신체적 발달/252
2. 심리적 발달/255
3. 사회적 발달/259
4.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관심 쟁점/266

제13장 노년기의 발달
1. 신체적 발달/272
2. 심리적 발달/275
3. 사회적 발달/280
4.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관심 쟁점/288

제3부 사회환경의 이해

제14장 체계이론
1. 배경/296
2. 일반체계이론/297
3. 생태체계이론/308

제15장 사회체계의 이해
1. 사회환경의 수준/316
2. 가족/320
3. 문화/329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