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아동상담
아동상담
저자 : 박순길
출판사 : 양서원
출판년 : 2017
ISBN : 9788999406034

책소개

아동상담은 아동의 발달적 특징이 성인과 다르다는 점 때문에 아동의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선천적 능력, 발달단계상의 특성, 부모의 양육태도뿐만 아니라 부모와 자녀 간 상호작용의 질, 생태학적 조망능력을 갖추고 상담 사례를 다루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서는 아동의 부적응 문제를 이해하고 상담으로 완화시키기 위해서 알아야 할 기본적인 이론과 접근방식에 대하여 소개하였고, 실제 접목시킬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제시하였다. 아동 상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고려하여 저자들은 집필회의를 거듭하며 전체적인 내용을 함께 의논하면서 세부적인 부분까지 다듬으면서 집필하였다.

본서의 구성은 제1부 아동상담의 기초에서 아동상담의 의의, 아동발달과 환경에 대해 살펴보았고, 제2부 아동상담의 이론적 모델에서 정신분석 상담, 행동주의 상담, 인간중심 상담, 현실주의 상담, 정서중심 상담을 제시하였다.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PART 01 아동 상담의 기초



CHAPTER 1? 아동상담의 이해 ?15

1. 상담의 개념 16

2. 아동상담의 특징 및 목표 18

1) 아동상담의 특징_18

2) 아동상담의 목표_20

3. 아동상담의 원리와 관계형성의 중요성 21

1) 아동상담의 원리_21

2) 아동상담에서 관계형성의 중요성_23

4. 아동상담의 범위 및 전략 24

1) 아동상담의 범위_24

2) 아동상담의 전략_26

5. 아동상담자의 자질 31

1) 인간적 자질_32

2) 전문적 자질_34

3) 상담자의 윤리_35

4) 아동상담에서 지켜야 할 윤리_38



CHAPTER 2? 아동발달과 환경 ?41

1. 발달의 이해 42

1) 생물학적 발달 영역_44

2) 인지·언어발달 영역_44

3) 사회·정서발달 영역_44

2. 발달의 단계 45

1) 신생아기_45

2) 영아기_45

3) 유아기_46

4) 아동기_46

3. 아동의 가족 환경에 대한 이해 47

1) 맞벌이 가족_47

2) 한부모 가족_48

3) 재혼 가족_49

4) 다문화 가족_50

5) 조손 가족_51

4. 아동의 사회적 환경에 대한 이해 52

1) 또래관계의 요인_53

2) 대중매체의 요인_54

5. 아동의 학대에 대한 이해 56

1) 아동의 학대 유형_58

2) 아동학대의 요인_60

6. 아동상담에서 다루는 영역의 차이 63

1) Keat의 HELPING 아동상담_64

2) 이수연의 아동상담_65



PART 02 아동상담의 이론적 모델



CHAPTER 3? 정신분석 상담 ?71

1. 정신분석 상담의 발달 배경 72

2. 정신분석 상담의 인간관 73

3. 정신분석 상담의 주요 이론 75

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_75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_85

4. 정신분석 상담의 주요 기법 89

1) 자유연상_89

2) 전이의 분석_90

3) 저항의 분석_90

4) 꿈의 분석_91

5) 안아주기_91 6) 해석_92

5. 아동상담에의 적용 93



CHAPTER 4? 행동주의 상담 ?97

1. 행동주의 상담의 발달 배경 98

2. 행동주의 상담의 인간관 99

3. 행동주의 상담 이론 101

1) 파블로프와 왓슨의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_101

2)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_103

3) 반두라의 사회학습 이론_104

4. 행동주의 상담의 주요 개념 110

1) 강화_110

2) 처벌_111

3) 소거_112

5. 행동주의 상담의 기법 113

1) 체계적 둔감법_113

2) 혐오치료_114

3) 토큰경제_114

4) 행동조성_115

5) 모델링_115

6. 행동주의 아동상담의 목표 및 과정 116

1) 아동상담의 목표_116

2) 아동상담의 과정_117

7. 아동상담에의 적용 119



CHAPTER 5? 인간중심 상담 ?123

1. 인간중심 상담의 발달 배경 124

2. 인간중심 상담의 인간관 126

3. 인간중심 상담의 주요 개념 129

1) 유기체_129

2) 현상학적 장_129

3) 자아_130

4) 자기실현 경향성_131

5) 가치의 조건화_132

6)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_132

4. 인간중심 상담의 기법 134

1) 반영_134

2) 명료화_134

3) 개방적 질문_135

4) 직면_135

5) 자기노출_136 6) 침묵_136

5. 인간중심 아동상담의 목표 및 과정 136

1) 아동상담의 목표_136

2) 아동상담의 과정_138

6. 아동상담에의 적용 142



CHAPTER 6? 현실주의 상담 ?145

1. 현실주의 상담의 발달 배경 146

2. 현실주의 상담의 인간관 147

3. 현실주의 상담의 특징 및 기본적 욕구 149

1) 현실주의 상담의 특징_149

2) 현실주의 상담의 기본 욕구_151

4. 현실주의 상담 진행 절차(WDEP) 155

1) 욕구 바람 지각 탐색하기_156

2) 전 행동 방향 탐색하기_158

3) 바람, 행동 계획에 대한 자기 평가하기_159

4) 계획하기와 다짐받기_160

5) 계획에 대한 약속하기_161

5. 현실주의 상담의 권장 사항 163

1) 주의를 기울이는 행동하기(Use Attending Behaviors)_163

2) 판단을 보류하기_164

3) 예상하지 않은 행동하기_164

4) 건전한 유머 사용하기_164

5) 자연스럽게 상담하기_165

6) 자기 자신 개방하기_165

7) 은유적 표현에 귀 기울이기_165

8) 주제에 귀 기울이기_166

9) 요약하기와 초점 맞추기_166

10) 결과를 허용하거나 떠맡기기_166

11) 침묵을 허용하기_167

12) 윤리적이기_167

13) AB-CDEF 원칙 실시하기_167

6. 현실주의 아동상담의 주요 개념 169

1) 전 행동_169

2) 지각체계_170

3) 행동체계_170

4) 정체감_171

7. 아동상담에의 적용 172



CHAPTER 7? 정서중심 상담 ?175

1. 정서중심 상담의 발달 배경 176

2. 정서중심 상담의 인간관 178

3. 아동의 정서발달에 대한 이해 180

1) 정서의 생물학적 견해_181

2) 정서의 뇌신경학적 견해_182

3) 정서의 인지 사회적 견해_183

4. 정서중심 상담의 목표 및 주요 개념 186

1) 정서중심 상담의 목표_186

2) 정서중심 상담의 주요 개념_187

5. 정서중심 상담의 핵심기법 189

1) 상담적 관계의 원리_189

2) 상담적 개입의 원리_191

6. 정서중심 상담의 원리 195

1) 알아차림_196

2) 정서 표현_197

3) 정서 조율_197

4) 공감적 반영_198

5) 변화_199

6) 교정적 정서 경험_201

7. 아동상담에의 적용 202



PART 03 아동상담의 과정



CHAPTER 8? 아동상담의 심리검사 ?209

1. 심리검사의 의의 210

2. 심리평가의 의의 및 필요성 211

3. 심리검사의 종류 214

1) 객관적 검사_214

2) 주관적 검사_224

4. 심리검사 평가 시 고려사항 232

1) 아동의 문제와 관련성_232

2) 표준화_233

3) 신뢰도_233

4) 타당도_235

5) 실용성_236



CHAPTER 9? 상담 사례개념화 및 상담과정 ?239

1. 상담 사례개념화 의의 240

2. 상담 사례개념화 요소 241

1) 현재의 문제 및 기능수준_241

2) 문제의 원인_245

3. 상담목표 설정과 계획 245

1) 상담실 내 계획_246

2) 상담 개입에 대한 계획_249

4. 아동과 부모면담 후 상담 방법 251

1) 상담 예약의 목적_251

2) 인적 사항_252

3) 주 호소문제_253

4) 검사 시 행동관찰_253

5) 발달의 특이 사항_253

6) 가계도_254

5. 아동상담의 실행 과정 255

1) 초기 단계의 아동상담_255

2) 중기 단계의 아동상담_259

3) 종결 단계의 아동상담 과정_261

4) 아동상담 평가_263



PART 04 아동상담의 응용기법



CHAPTER 10? 미술을 통한 아동상담(미술치료) ?267

1. 미술치료의 의의 268

2. 미술치료의 발달 배경 270

1) 고대의 미술_270

2) 중세 계몽주의의 미술_271

3) 19세기의 미술_272

4) 20세기 현대의 미술_274

5) 한국의 미술_275

3. 미술 치료의 특성 276

1) 일반적 특성_276

2) 상징적인 특성_277

3) 치료적 특성_278

4. 미술치료를 위한 치료실과 도구 279

1) 미술치료실의 특징_279

2) 미술치료 매체의 특성_281

5. 미술치료 방법 및 과정 282

1) 미술치료 방법_282

2) 미술치료 과정_284

6. 미술치료에 활용되는 기법 287

1) 진단 도구로서의 미술치료_287

2) 색채를 활용한 미술치료_292



CHAPTER 11? 놀이를 통한 아동상담(놀이치료) ?299

1. 놀이치료의 의의 300

2. 놀이치료의 발달 배경 303

1) 정신분석학적 놀이치료_303

2) 구조화된 놀이치료_304

3) 관계 놀이치료_305 4) 아동중심 놀이치료_306

3. 놀이치료실과 도구 309

1) 놀이치료실_309

2) 놀이치료 도구_311

4. 놀이치료자의 역할_314

5. 놀이치료과정 317

1) 초기 놀이치료_317

2) 중기 놀이치료_318

3) 종결 놀이치료_319

6. 놀이치료 원리 및 기법 320

1) 추적 반응하기_320

2) 사고, 감정, 욕구 반영하기_321

3) 책임감 돌려주기_321

4) 부모와 아동 놀이치료_323



CHAPTER 12? 모래를 통한 아동상담(모래놀이치료) ?327

1. 모래놀이치료의 의의 328

2. 모래놀이치료의 발달 배경 330

3. 모래놀이치료의 특성 332

4. 모래놀이치료실과 도구 335

1) 모래놀이치료실의 특징_335

2) 모래놀이치료 도구_336

5. 모래놀이치료 과정 342

1) 모래놀이 소개 단계_342

2) 모래놀이 작품 완성 후 단계_343

3) 모래놀이 작품의 해석 단계_344



CHAPTER 13? 문학을 통한 아동상담(독서치료) ?353

1. 독서치료의 의의 354

2. 독서치료의 발달 배경 355

3. 독서치료의 유형 357

1)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유형_357

2) 상호작용 방법에 따른 유형_358

3) 문제 상황에 따른 유형_359

4. 독서치료 과정 360

1) 김춘경의 독서치료 과정_360

2) 하인즈-베리의 독서치료 과정_362

3) 돌과 돌의 독서치료 과정_363

5. 독서치료의 특징 및 가치 365

1) 독서치료의 특징_365 2) 독서치료의 가치_366

6. 아동을 위한 독서치료 발문단계 368

1) 인식의 단계_368

2) 이해 및 고찰의 단계_368

3) 병렬 혹은 병치의 단계_369

4) 자기 적용의 단계_369

7. 독서치료의 주요 활동 372

1) 언어활동_372

2) 미술활동_373

3) 연극활동_374

4) 게임활동_374



부록: 독서치료와 관련된 도서 380



참고문헌 383



찾아보기 401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