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충격적 경험이 남긴 영향)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충격적 경험이 남긴 영향)
저자 : 김환
출판사 : 학지사
출판년 : 2016
ISBN : 9788999710094

책소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충격적 경험을 한 사람들이 보이는 다양한 정신적·신체적 증상의 총체다. 전쟁, 강간, 사고 등과 같은 재난을 경험한 사람들은 자꾸만 과거의 경험이 생생하게 떠오르고 공포와 슬픔에 빠져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없게 된다. 개인적으로 심한 정서적 충격을 받은 경우에도 이러한 장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심리적 증상과 원인, 극복 방법을 소개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이상심리학 시리즈'를 내며
2판 머리말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란 무엇인가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자취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역사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의 변천
3)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보상 문제
4)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확장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기준
1) 외상과 외상 사건
2) 외상 사건의 핵심 특징

3.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주요 증상
1) 외상 사건과 관련된 침투 증상
2) 외상 사건과 관련된 자극 회피
3) 인지와 감정의 부정적 변화
4) 각성과 반응성의 변화

4.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부수적 특징과 감별진단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부수적 특징
2) 감별진단

5.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률, 경과, 하위 유형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유병률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경과
3)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하위 유형

6. 아동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1) 아동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진단기준
2) 아동학대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2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는 왜 생기는가
1. 충격적이고 끔찍한 사건에 대한 스트레스 반응
1) 스트레스 반응 이론
2) 스트레스 대처 이론
3) 스트레스 이론의 한계

2. 학습 이론: 연합과 강화
1) 연합의 원리
2) 강화의 원리

3. 인지 이론: 정보 과부하와 완성 경향성
1) 완결되지 못한 채 떠도는 정보들
2) 붕괴된 기본 신념
3) 외상 정보처리 단계
4) 정보처리 이론과 공포 네트워크의 활성화

4. 정신생물학적 설명
5. 정신역동적 입장: 자아기능의 손상
1) 자아가 있던 곳에 원초아가 있게 된다
2) 자기정체감의 파편화

6. 개인차를 고려하기
1) 스트레스 요인에서 개인차 요인으로
2) 취약성-스트레스 모델
3) 사건 전 요인
4) 보호 요인

7. 통합적 설명
1) 심리사회적 모델의 요소
2) 심리사회적 모델의 적용: 강간 피해
3) 심리사회적 모델의 적용: 재난 피해

3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1. 치료의 일반적 지침
1) 치료는 곧바로 시작할수록 좋으나 결코 너무 늦은 때란 없다
2) 증상들이 자연스러운 반응임을 이해한다
3) 지지적인 관계를 맺는다
4) 회피를 줄여나간다. 즉, 기억을 되살린다
5) 외상 경험을 중립적으로 평가한다
6) 의사의 지시에 따라 약물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7) 끈기를 가지고 치료에 임해야 한다
8) 주저앉았던 자리에서 일어나 앞으로 나아간다

2. 초기 위기상황 개입
1) 재난과 심리적 응급지원
2) 초기 심리교육
3) 초기 위기 개입에서 주의할 점

3. 노출치료
1) 실제 노출과 상상 노출
2) 호흡법과 근육이완
3) 노출치료의 타이밍과 주의할 점
4) 인지행동치료

4. EMDR
1) 효과 기제
2) 주의할 점

5. 의미 부여하기
6. 애도
1) 비탄의 유형
2) 주의할 점

7. 약물치료
8. 가족치료
1) 환자 가족의 특징
2) 치료 과정
3) 주의할 점

9. 아동의 치료
1) 초점 수립 및 관계 형성하기
2) 외상에 대해 이야기하기
3) 종결하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