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저자 : 김대현
출판사 : 학지사
출판년 : 2020
ISBN : 9788999720840

책소개

▶ 이 책은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를 다룬 이론서입니다.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5판 머리말
1판 머리말

제1장 교육과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위치
1) 교육의 의미
2) 교육과 교육기관
3) 교육기관과 교육과정

2. 교육과정의 개념
1) 실제적 입장
2) 이론적 입장

3. 교육과정의 유형
1) 공식적 교육과정
2) 영 교육과정
3) 실제적 교육과정
4) 잠재적 교육과정

4. 교육과정 활동
1) 교육과정 개발
2) 교육과정 운영
3) 교육과정 평가
4) 교육과정 활동과 수업계획

제2장 교육과정 개발과 활동의 기반

1.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2.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1) 국가수준 교육과정
2) 지역수준 교육과정
3) 학교수준 교육과정

3. 교육과정 개발 모형
1) 기술ㆍ절차 모형
2) 숙의 모형

4. 개발활동의 참여 집단

5. 교육과정 개발 집단의 주요 관점
1) 학문적 합리주의자의 관점
2) 인본주의자의 관점
3) 사회적응ㆍ재건주의자의 관점

제3장 교육목적, 핵심역량, 성취기준

1. 교육목적의 개념
1) 교육의 목적
2) 교육의 일반적 목표
3) 교육의 구체적 목표

2. 교육목적의 주요 영역

3. 핵심역량의 개념과 구성

4. 성취기준의 의미와 진술

제4장 교과서의 성격, 구성 체제, 외형 체제, 제도

1. 교과서의 성격
1) 교육과정과 교과서
2) 교과서의 개념
3) 교과서의 역할
4) 교과서의 유형과 기능

2. 교과서의 체제
1) 교과서의 내용 구성 체제
2) 교과서의 외형 체제

3. 교과서 제도
1) 교과서 편찬 제도(검정기준 포함)
2) 교과서 공급 제도
3) 교과서 채택 방법

4. 교과서의 발전 방향
1) 좋은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요건
2) 디지털 교과서의 전망과 한계

제5장 학교수준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1. 학교수준 교육과정의 개념과 필요성

2. 학교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본 원리
1) 타당성의 원리
2) 적법성의 원리
3) 전체성의 원리
4) 민주성의 원리
5) 전문성의 원리
6) 현실성의 원리

3. 교과의 통합 운영
1) 교과 통합의 과정
2) 교과 통합의 유형
3) 교과 통합의 절차

4. 교육과정의 수준별 편성과 운영

5.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과 방법
1) 학교 교육과정의 개념
2)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
3)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주체
4)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대상과 영역/준거와 기준
5) 학교 교육과정 평가의 절차

제6장 교실수준 교육과정과 창의적 체험활동

1. 교사와 교육과정

2. 학습경험의 의미

3.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
1) 수업내용의 선정과 조직
2) 학습활동의 선정과 조직

4. 백워드 단원 설계
1) 백워드 수업설계 모형
2) 백워드 설계 모형의 최근 동향
3) 백워드 설계 방식으로 단원 설계하기

5. 창의적 체험활동
1) 창의적 체험활동의 개념과 성격
2) 2009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3) 2015 개정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4) 창의적 체험활동의 과제와 전망

제7장 한국의 국가 교육과정

1. 2009 개정 교육과정(2009∼2015)
1) 이념 및 기본 방향
2) 편제 및 운영

2. 2015 개정 교육과정(2015∼ )
1) 이념 및 기본 방향
2) 편제 및 운영

3.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1) 자유학기제의 개념 및 기본 방향
2) 자유학기제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
3) 자유학기제의 성과 및 개선점

제8장 교육평가의 기초 및 유형

1. 교육평가의 개념
1) 측정
2) 평가
3) 총평

2. 교육평가의 명제

3. 교육평가의 기능

4. 교육평가의 유형
1) 준거지향평가
2) 규준지향평가
3) 진단평가
4) 형성평가
5) 총합평가
6) 능력참조평가
7) 성장참조평가

5. 교육평가의 절차
1) 교육목적의 확인
2) 평가 장면의 선정
3) 평가도구의 제작 또는 선정
4) 평가의 실시 및 결과 처리
5) 평가 결과의 해석 및 활용

제9장 인지적 평가

1. 인지적 특성의 개념과 중요성
1) 인지적 특성의 평가
2) 인지적 특성 교육목표의 분류

2. 인지적 교수목표와 평가문항
1) 지식
2) 이해
3) 적용
4) 분석
5) 종합
6) 평가

3. 인지적 평가문항의 개발
1) 인지적 문항 제작 시 고려사항
2) 인지적 문항 제작의 절차

제10장 정의적 평가

1. 정의적 특성의 개념과 중요성
1) 정의적 특성의 개념과 평가의 중요성
2) 정의적 영역의 교수목표 분류
3) 정의적 특성의 유형

2. 정의적 특성의 측정 절차

3. 정의적 특성의 측정방법
1) 질문지법
2) 평정법
3) 관찰법
4) 의미분석법
5) 투사적 방법

제11장 과정중심평가

1. 과정중심평가 개념

2. 과정중심평가로서의 수행평가 활용
1) 수행평가의 개념
2) 수행평가의 필요성
3) 수행평가의 방법
4) 수행평가의 개발 절차

3. 과정중심평가로서의 형성평가 활용

제12장 문항 제작, 유형 및 분석

1. 좋은 문항의 조건

2. 문항 유형
1) 선택형 문항
2) 서답형 문항

3. 문항분석
1) 문항 난이도
2) 문항 변별도
3) 문항 반응 분포
4) 문항반응이론

제13장 검사도구의 조건 및 유형

1. 타당도
1) 내용 타당도
2) 준거 관련 타당도
3) 구인 타당도

2. 신뢰도
1) 재검사 신뢰도
2) 동형검사 신뢰도
3) 반분검사 신뢰도
4) 문항 내적 합치도
5) Cronbach α계수
6)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3. 객관도

4. 실용도

5. 표준화검사
1) 표준화검사의 의미
2) 표준화검사의 제작 과정
3) 표준화검사의 종류
4) 표준화검사의 활용

제14장 평가 결과의 분석

1. 측정 단위의 종류
1) 명명척도
2) 서열척도
3) 동간척도
4) 비율척도

2. 점수 표시방법
1) 원점수
2) 백점만점점수
3) 등위점수
4) 백분위점수
5) 표준점수

3. 빈도분포
1) 단순빈도분포
2) 묶음빈도분포 및 누가빈도분포
3) 빈도분포의 특징

4. 상관분석
1) 종류
2) 해석

5. 단순회귀분석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