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고사전
고사전
저자 : 황보밀
출판사 : 지식을만드는지식
출판년 : 2022
ISBN : 9791128866111

책소개

‘고사(高士)’는 ‘품행이 고상한 선비’ 또는 ‘재야의 은군자’를 뜻하는 말이다. 이 책은 중국 고대 필기류 인물전기집 가운데 하나로 총 91조의 짤막한 고사로 이루어져 있다. 그 내용은 요(堯) 시대의 피의(被衣)로부터 위 말(魏末)의 초선(焦先)까지 청고(淸高)한 고사들의 언행과 일화를 수록하고 있다. 현존하는 최초의 ‘은일전집’으로 후대 중국의 은일문학(隱逸文學)을 형성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 작품이다. 오랫동안 중국 필기문헌을 전문적으로 연구 번역해 온 연세대 김장환 교수가 22년 만에 기존의 번역을 모두 새로이 교감, 수정해 오류를 바로잡고 독자들의 작품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발문과 역대 저록을 번역해 부록으로 삽입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재야의 은군자 96명의 이야기
진(晉)나라의 황보밀(皇甫謐, 215∼282)이 지은 ≪고사전≫은 중국 고대 필기류 인물 전기집 가운데 하나로, 총 91조의 짤막한 고사에 요(堯) 시대의 피의(被衣)부터 위나라 말의 초선(焦先)까지 청고(淸高)한 고사 96명의 언행과 일화를 수록하고 있다.
‘고사(高士)’는 ‘품행이 고상한 선비’ 또는 ‘재야의 은군자’를 뜻하는 말로 ‘은사(隱士)’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 조정이나 지방의 관리로 일하는 문인 사대부와 달리, 청렴결백한 절조를 지니고 성명(性命)을 보전하면서 부귀영달을 하찮게 여기는 부류를 ‘은사’라 하며, 처사(處士)·일사(逸士)·유인(幽人)·고인(高人)·처인(處人)·일민(逸民)·유민(遺民)·은자(隱者)·은군자(隱君子) 등으로도 부른다. 이러한 고사층(高士層)이 형성된 것은 사회적으로는 춘추 전국, 전한 말, 후한 말, 위진(魏晉) 교체 시기 등 혼란한 시대 환경에 대처하기 위한 일종의 처세 방법 모색 덕분이었으며, 사상적으로는 난세에 풍미했던 도가(道家)의 피세 은일(避世隱逸) 사상 덕분이라 할 수 있다.

난세에 선비의 표상을 보이다
황보밀은 <고사전서>에서 ≪고사전≫을 편찬하게 된 배경을 ≪사기≫와 ≪한서≫에 ‘고사’에 대한 기록이 빠져 있거나 소략한 점을 보충하기 위한 것과 이전에 양홍과 소순 등이 지었던 일민과 고사에 대한 전(傳)의 선록 표준(選錄標準)이 순수하지 못하고 선록 인물의 범위가 협소한 점을 보충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황보밀이 살았던 시기는 후한 말에서 서진 초까지인데, 이 시기는 후한 말의 농민 봉기로부터 시작해 위·촉·오 삼국의 쟁패가 일어났고 다시 조씨(曹氏) 집단과 사마씨(司馬氏) 집단의 투쟁이 이어졌던 그야말로 어지러운 시대였다. 무상한 권력의 부침에 따라 그와 관련한 사인(士人)들의 안위도 무상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가적인 피세 은일 사상이 지식인들 사이에 만연하게 되었으며, ≪노(老)≫·≪장(莊)≫·≪역(易)≫을 위주로 한 현학(玄學)이 일체의 사상 조류를 압도하게 되었다. 황보밀도 이러한 사상 경향에 입각해서 ≪고사전≫의 선록 인물을 취사선택했는데, ≪고사전≫에 선록된 인물은 바로 평생 벼슬하지 않고 은일의 절조를 지켰던 황보밀 자신의 형상이 투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은일전집(隱逸專集)
이러한 피세 은일적인 경향의 ≪고사전≫은 도가적인 색채를 강하게 풍기며 위진 남북조 소설의 주류 가운데 하나인 지인 소설(志人小說)의 면모를 동시에 지니고 있어, 중국 고대 도가 문학과 필기 소설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작품 가운데 하나다. 또한 도연명, 사영운, 왕유, 이백, 두보 등 후대의 여러 문인들이 ≪고사전≫에 실려 있는 고사를 전고(典故)로 즐겨 사용해 그 영향력이 자못 크다. 그리고 ≪고사전≫은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은일전집(隱逸專集)’으로 ≪후한서(後漢書)≫ <일민열전(逸民列傳)>의 성립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대부분의 후대 정사(正史)에서 <은일전(隱逸傳)>을 따로 두는 기풍을 조성했다.

이 책은 ≪총서집성(叢書集成)≫본[타이베이 : 신원펑출판공사(新文豊出版公司) 영인, 1981]을 저본으로 하고, ≪고금일사(古今逸史)≫본, 왕각(王刻) ≪한위총서구십육종(漢魏叢書九十六種)≫본, ≪흠정사고전서(欽定四庫全書)≫본, ≪비서이십일종(秘書二十一種)≫본, 숭문서국(崇文書局) 개조본(開雕本), ≪사부비요(四部備要)≫본, ≪고사전도상(高士傳圖像)≫본 등을 참고했으며, 교감이 필요한 원문에는 교감문을 붙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고사전 서(高士傳序)

권상
1. 피의(被衣)
2. 왕예(王倪)
3. 설결(齧缺)
4. 소부(巢父)
5. 허유(許由)
6. 선권(善卷)
7. 자주지부(子州支父)
8. 양부(壤父)
9. 석호지농(石戶之農)
10. 포의자(蒲衣子)
11. 피구공(披?公)
12. 강상장인(江上丈人)
13. 소신직(小臣稷)
14. 현고(弦高)
15. 상용(商容)
16. 노자 이이(老子李耳)
17. 경상초(庚桑楚)
18. 노래자(老萊子)
19. 임유(林類)
20. 영계기(榮啓期)
21. 하궤(荷?)
22. 장저 걸익(長沮桀溺)
23. 석문수(石門守)
24. 하조장인(荷篠丈人)
25. 육통(陸通)
26. 증삼(曾參)
27. 안회(顔回)
28. 원헌(原憲)

권중
29. 한음장인(漢陰丈人)
30. 호구자림(壺丘子林)
31. 노상씨(老商氏)
32. 열어구(列禦寇)
33. 장주(莊周)
34. 단간목(段干木)
35. 동곽순자(東郭順子)
36. 공의잠(公儀潛)
37. 왕두(王斗)
38. 안촉(顔?)
39. 검루 선생(黔婁先生)
40. 진중자(陳仲子)
41. 어부(漁父)
42. 안기생(安期生)
43. 하상장인(河上丈人)
44. 악신공(樂臣公)
45. 개공(蓋公)
46. 사호(四皓)
47. 황석공(黃石公)
48. 노이징사(魯二徵士)
49. 전하(田何)
50. 왕생(王生)
51. 지준(摯峻)
52. 한복(韓福)
53. 성공(成公)
54. 안구망지(安丘望之)
55. 송승지(宋勝之)
56. 장중위(張仲蔚)
57. 엄준(嚴遵)
58. 팽성 노부(彭城老父)
59. 한순(韓順)
60. 정박(鄭樸)
61. 이홍(李弘)
62. 상장(向長)
63. 민공(閔貢)

권하
64. 왕패(王?)
65. 엄광(嚴光)
66. 우뇌(牛牢)
67. 동해 은자(東海隱者)
68. 양홍(梁鴻)
69. 고회(高恢)
70. 대동(臺?)
71. 한강(韓康)
72. 구흔(丘?)
73. 교신(矯愼)
74. 임당(任棠)
75. 지순(摯恂)
76. 법진(法眞)
77. 한빈 노부(漢濱老父)
78. 서치(徐穉)
79. 하복(夏馥)
80. 곽태(郭太)
81. 신도반(申屠蟠)
82. 원굉(袁?)
83. 강굉(姜肱)
84. 관영(管寧)
85. 정현(鄭玄)
86. 임안(任安)
87. 방공(龐公)
88. 강기(姜岐)
89. 순정(荀靖)
90. 호소(胡昭)
91. 초선(焦先)

부록
1. 발문(跋文) 2종
2. 역대 저록(著錄)
≪고사전≫ 수록 고사의 주요 채록 출처와 후대 인용처 간표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