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1990년대생, 교사가 되다
1990년대생, 교사가 되다
저자 : 박상완^박소영
출판사 : 학이시습
출판년 : 2022
ISBN : 9791128891564

책소개

승진보단 워라밸, 소명 의식보단 노동을 말하는 ‘요즘 교사’가 온다. 1990년대생 교사들이 직접 그들의 학교생활, 교육관, 인간관계를 이야기한다. 동시에 기성세대 교사의 눈에 비친 요즘 교사의 모습도 담았다. 1990년대생 요즘 교사가 교직 사회와 문화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이들의 요구에 맞춘 교원 정책은 어떤 방향이어야 하는지 살펴본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1990년대생 교사, 그들은 누구인가
MZ세대로 불리는 1990년대생 젊은 교사가 학교에 등장했다. 이들은 왜 교사가 되었고 어떻게 생활하고 있을까? 이 책은 1990년대생 교사 당사자들의 이야기를 토대로 그들의 생활과 생각을 들여다본다. 무난한 모범생이었던 이들은 교사가 천직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사회적 평판, 근무 조건 등을 고려했을 때 괜찮은 직업이라는 생각과 부모님 등 주변의 권유가 이들을 교직에 들어서게 했다. 이들은 학교를 만병통치약이라고 여기기보다 적절한 사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한다. 학생과 평등하고 친근한 관계를 형성하고 수업을 잘 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학생 상담이나 생활 지도엔 다소 소극적이다. 그들은 동료 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근무 시간 내로 한정하며 대면보단 비대면 소통을 적극 활용한다. 드러나는 현상뿐만 아니라 1990년대생 교사가 그렇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이유가 궁금하다면? 이 책에서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기성세대 교사가 바라본 ‘요즘 교사’
1990년대생 교사와 함께 일하고 생활하는 비1990년대생, 기성세대 교사들은 ‘요즘 교사’를 어떻게 생각할까? 교사 세대 연구와 교직 문화 연구에 의하면 1990년대생이 스스로 생각하는 그들의 특징뿐만 아니라 그들을 바라보는 기성세대의 인식도 중요하다. 요즘 교사의 ‘당연한 정시 퇴근’은 기성세대의 눈에는 학교생활과 개인생활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고 유지하려는 ‘단절’ 행위로 보인다. 1990년대생 교사가 학생의 선택권을 존중하기 위해 선을 지키는 행동이 기성세대 교사 눈에는 체념으로 비친다. 권리와 단절, 존중과 체념. 그 사이엔 절대 극복할 수 없는 세대 차이가 존재하는 걸까? 세대 연구는 단일 세대 가정에 기초해서 세대 간 공통점보단 차이점과 그로 인한 갈등을 주로 부각한다. 하지만 이 책은 단일 세대 가정의 한계를 인식하고 세대 내 개인차에 주목한다. 세대 내 다양성뿐만 아니라 세대 내 차이의 맥락까지 고루 살핀다.

함께 성장하는 교직 문화 만들기
이 책의 결론은 요즘 교사와 기성세대 교사는 다르며 그렇기에 서로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 섣불리 1990년대생 교사와 기성세대 교사의 특징을 세대론에 기초하여 단정하지 않는다. 무분별한 세대론적 구분 틀에 갇혀 간과한 개개인의 특성과 관점 차이에 주목하고 그 다름을 긍정적인 변화와 성장을 위한 계기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추천사
서문

들어가며: 1990년대생, 교사가 되다

01 1990년대생 교사는 누구인가
세대 개념
세대 구분
1990년대생의 특징
교직 문화와 1990년대생 교사
교사1990년대생 교사 연구하기

02 1990년대생이 교사가 된 이유
우리가 만난 1990년대생 교사
교직 적성 인식 및 교직 선택 동기
공교육과 학교 역할 인식: 공교육과 사교육의 공존
교사 역할 및 교직 인식: 보람 있는 직업

03 1990년대생 교사의 현재와 미래
학교생활: 근무 시간과 개인 생활의 명확한 구분
교수·학습(수업): 후배 교사에게 배우는 선배 교사
학급 경영·생활 지도: 개별 학급의 특성 중시
행정 업무: 명확한 업무 경계 설정
경력 개발: 워라밸과 자기 개발 추구

04 1990년대생 교사의 인간관계: 학생 및 동료 교사
학생과의 관계: 친근하지만 경계가 있는 관계
동료 교사와의 관계: 동등하고 독립적인 관계

05 1990년대생 교사의 인간관계: 학부모
학부모와의 관계: 불편하지만 피할 수 없는 관계
학부모와 소통하는 방식: 대면보다 비대면
학부모에 대한 기대: 서로 존중하는 최소한의 관계

06 1990년대생 교사 특징: 세대 차이와 개인 차이
세대 차이: 아날로그 대 디지털
개인 차이: 승진 대 워라밸
1990년대생 교사의 특성

07 1990년대생 교사와 교직 문화의 변화
긍정적 측면: 기성세대 변화 자극
부정적 측면: 소통과 협력적 문제 해결 약화

08 사회 변화와 교직 문화의 변화
학교 특성과 교직 문화의 차이
교직 문화의 변화와 도전

부록
미주
참고 문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