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범죄심리학
범죄심리학
저자 : 이윤호
출판사 : 박영사
출판년 : 2015
ISBN : 9791130302096

책소개

▶ 이 책은 범죄심리학을 다룬 이론서입니다. 범죄심리학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초판 머리말



현대는 급속한 세계화와 양적 팽창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다양한 갈등이 나타나며 범죄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점점 심각한 사회문제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냉전시대와 달리 현대사회에서는 자본주의의 발달과 민주주의의 성숙으로 삶의 질이 강조되면서 그 저해 요소 중 하나인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사람들이 주목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국가는 형사사법기관을 중심으로 가능한 자원과 노력을 총동원하여 범죄문제를 해결하고 시민들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범죄는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연일 범죄가 언론을 통해 보도되며 시민들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 또한 커져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많은 장애가 되고 있다.

그간 범죄학계에서는 법학, 사회학, 생물학과 연대하고 이들의 관점을 범죄학에서 수용하여 여기에서 파생된 이론들을 중심으로 범죄문제를 해결하려 시도하였다. 그 중에서도 사회학적 관점에 의거하여 환경 요인들에 초점을 맞추어 범죄를 이해하려 노력하였다. 그러나 범죄가 어떻게 발생하고 이에 따른 범죄 대책 및 예방책을 세우기 위해서는 범죄에 대한 좀 더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 바로 범죄심리학이다. 최근 언론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이코패스, 묻지마 범죄 등 관련 범죄도 범죄심리학에 근거를 두고 이를 해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형사사법기관 역시 이런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범죄분석요원 채용 및 심리학계와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국내 범죄학계 또한 범죄심리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범죄심리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과 정리가 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범행 동기나 원인 등 범죄현상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범죄 발생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에 대한 다각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 중 하나인 범죄심리학에 대한 이론과 지식 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물론 학계에서 범죄심리학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범죄심리학 관련 저술이 출간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은 심리학 전공자들에 의한 저술이거나 해외 이론들을 국내에 소개하기 위한 목적에서 쓰인 저술들이다. 범죄심리학에 의거한 범죄행위, 법, 법정 심리, 범죄자의 이해, 피해자와 피해자화의 심리 등 범죄학에서 이론적, 학문적으로 중요한 부분들에 대한 일관적, 체계적인 논의가 부족하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기존의 범죄심리학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기존 범죄심리학 저술에서 아쉬운 부분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범죄심리학의 이론적, 학문적 논의를 통한 사회과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종합하자면, 이 책은 범죄학에서 보는 범죄심리학, 범죄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범죄자와 피해자의 이해, 형사사법 관련 요소들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형사정책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저자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였음에도 아쉬운 부분이 많겠다는 걱정이 앞선다. 그럼에도 범죄심리학에 대한 오해들을 풀고 범죄에 대한 이해를 높여 시민들의 질높은 삶의 보장에 기여하고 싶다는 저자의 바람이 있기에 용기를 내어 출판을 하게 되었다.

끝으로 이 책은 주변 사람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출판이 어려웠기에 지면을 빌어서 감사의 말을 전한다. 부족한 부분이 많은 책임에도 출판을 맡아준 박영사, 원고 정리와 교정을 맡아준 연구실 조교 조상현, 임하늘, 엄유진 원생, 그리고 언제나 그 존재만으로 나에게 힘과 행복을 주는 아내와 두 아들 창욱, 승욱 모두에게 진심으로 감사한다.



2015년 7월 여름

목멱산 기슭 연구실에서

이 윤 호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제1편 범죄, 범죄학, 그리고 범죄심리학

제1장 개 관

제1절 범죄의 연구-범죄행위의 설명 3
제2절 심리학과 범죄학 6

제2장 범죄심리학

제2편 범죄행위의 심리학적 이해

제1장 심리분석과 범죄

제1절 사회화 이론(Socialization theory) 18
제2절 범죄행위에의 적용 20
제3절 심리역동적 이론에 있어서 심리적 상황과 범죄자유형 24
제4절 범인성에 대한 심리역동적 가설의 타당성 27
제5절 심리역동적 사고와 심리학의 진전 28

제2장 통제이론

제1절 Eysenck의 인성이론 31
제2절 도덕발달과 범죄 36

제3장 학습이론

제1절 인지-발달이론(Cognitive-Developmental Theory) 44
제2절 범죄적 인성(Criminal personality) 45
제3절 통합이론 48

제4장 정신장애와 범죄

제1절 정신장애 범죄자 53
제2절 정신장애의 유형과 범죄 55
1. 정신질환(mental illness)과 범죄 55
(1) 정신분열과 범죄 55 (2) 우울증 57 (3) 망상장애 58
2. 정신장애(mental handicap)와 범죄 61
(1) 범죄자집단의 지능 62 (2) 범행과 정신장애 62
3. 반사회적 인성(Antisocial personality) 63
(1) 인성에 대한 초 특질(Super Trait) 64 (2) 인성에 대한 기질과 상황의 상호작용 65
(3) 인성과 범죄학 65
4. 반사회적 인성장애(psychopathy) 66
(1) 정신의학과 반사회적 인성 장애 68 (2) 반사회적 인성 장애의 파악 69
(3) 반사회적 인성장애의 특성과 원인 74 (4) 생리학과 반사회적 인성장애 79
(5) 반사회적 인성장애자의 인지-행동 수행 79
5. 반사회적 인성장애와 형사사법 81
(1) 반사회적 인성장애(psychopathy)와 범죄의 관계 81 (2) 반사회적 인성장애 범죄자의 책임성 82
제3절 논의: 정신장애 범죄자의 책임성 83

제3편 심리학과 법

제1장 법의 심리학적 연구

제1절 심리학과 법률의 다리 놓기 87
제2절 법률과 심리학자의 관계 89
1. 기초과학자로서의 심리학자 90
2. 응용과학자로서 심리학자 90
3. 정책평가자로서의 심리학자 91
4. 대변자로서의 심리학자 91
제3절 현안과 전망 92

제4편 심리학과 형사사법

제1장 경찰심리학

제1절 경찰심리학의 발전과 추세 98
제2절 경찰관과 심리 101
1. 경찰인성(Police personality) 101
(1) 경찰인성의 특성 102 (2) 경찰의 구체적 유형 105
2. 경찰관의 선발(Selection) 108
제3절 경찰업무와 심리 112
1. 경찰의 좌절과 갈등 112
(1) 좌절과 갈등의 기제 112 (2) 좌절과 갈등의 방어기제 113
2. 스트레스(Stress) 115
(1) 경찰과 스트레스 115 (2) 경찰의 임계사건(Critical incident)과 스트레스 120
(3) 스트레스요인 120
3. 소진(Burnout) 123
4. 피의자 신문과 허위자백 126
(1) 심문 126 (2) 허위자백(false confession) 128 (3) 허위긍정의 허위자백 131

제2장 법정 심리

제1절 증언의 심리학(Psychology of testimony) 133
1. 인지과정과 증언(Cognitive process and testimony) 134
(1) 능동적이고 선별적 인지 135 (2) 재구성(개조) 기억(Reconstructive memory) 135
(3) 망각 136 (4) 사회인지(Social cognition) 137
2. 증인증언에 있어서 귀속이론과 편견 137
(1) 근본적 귀인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bias) 138
(2) 행위자-관찰자 효과(Actor-Observer Effect) 139
(3) 이기적 귀인편견(Self-serving attribution bias) 139
(4) 귀인편견과 목격자 증언 140
3. 증인의 기억 140
(1) 습득 141 (2) 보존 142 (3) 복구 143
4. 목격자 증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144
(1) 상황적 요소 144 (2) 상황의 구체성(Detail Significance) 146
(3) 목격자 요인 : 인식과 습득의 영향 148
5. 목격자의 특성요인 151
(1) 신경증 151 (2) 외향성(Extraversion) 152
(3) 심사숙고-충동(Reflection-Impulsivity) 152 (4) 아침형과 저녁형(Morning-Evening Type) 152
(5) 자기감시(Self-monitoring) 153 (6) 인지형태(Cognitive Style) 153
(7) 감정상태(Mood) 154 (8) 음주 155
(9) 연령 155 (10) 성별 156
(11) 선험적 도식/전형(Schemas/Stereotypes) 157 (12) 신체적 매력(physical attractiveness) 158
(13) 증인의 피해자 여부 159 (14) 자신감 159
6. 심문변수 160
(1) 보존간격(Retention interval) 160 (2) 기억의 형태 161
(3) 기억 시도 횟수 161 (4) 유도질문(Leading questions) 162
제2절 전문가 증인(Expert witness)으로서 심리학자 163
1. 심리학자의 역할 164
(1) 실험역할 164 (2) 임상역할 164
(3) 통계역할 165 (4) 자문 역할 165
2. 심리학자들의 법정업무와 기존관행 165
3. 평가 167
제3절 아동 증언(Child witness) 169
1. 아동기 기억 170
2. 아동 증언의 문제점 171
3. 증인으로서의 아동에 대한 법률적 관점 172
4. 아동의 증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174
(1) 과거 피학대 경험 174 (2) 가해자의 존재 174
(3) 스트레스성 사건 175 (4) 유도질문 175
5. 아동증언의 평가 176
(1) 암시성의 문제 177 (2) 성인과의 비교 178
제4절 기만의 탐지와 파악 179
1. 인식조사(Paper-and-pencil test) 179
2. 사회심리학적 접근 181
(1) 거짓행동에 대한 신념 181 (2) 기만에 대한 비언어적 단서 182
(3) 기만에 대한 언어적 단서 183 (4) 거짓말 탐지기로서의 인간 : 얼마나 정확할 수 있는가? 183

제3장 교정 심리학

제1절 교정심리의 역할 187
1. 재소자의 심리평가(Psychological assessment) 188
2. 보호관찰부 가석방 결정 189
3. 위기개입(Crisis intervention) 189
제2절 재소자의 심리(Psychology of inmates) 190
1. 수용의 일반적 영향 190
(1) 통제력의 상실 190 (2) 가족의 상실 190
(3) 자극의 결여 191 (4) 역할모형의 상실 191
(5) 구금의 고통(Pains of Imprisonment) 192
2. 수용의 심리적 영향 193
(1) Stanford 모의교도소 실험 193 (2) 교도소에의 적응 194
(3) 과밀수용(overcrowding)의 심리적 영향 196
3. 수용의 심리적 장애 198
(1) 불안(Anxiety) 198 (2) 우울증 199
(3) 소통의 결여 200 (4) 자해 200
제3절 교도관의 심리(Psychology of correctional officers) 201
1. 교도관의 스트레스 201
2. 스트레스의 원인 203
(1) 업무의 특성 203 (2) 교도관의 조직 내 역할 203
제4절 교정처우의 심리학(The Psychology of Correctional treatment) 204
1. 교정처우와 교정심리 204
2. 심리적 교정처우 205
(1) 교환경제(Token economies)-행동수정(Behavior modification) 206
(2) 사회기술훈련(social skills training) 207
(3) 분노관리(anger management) 208
제5절 교정심리의 현재와 미래 209
1. 현재 209
2. 미래 211

제5편 법정 심리

제1장 Profiling

제1절 Profiling의 기본원리 216
제2절 범죄현장(Crime Scene) Profiling의 심리학 225
1. 범죄현장 프로파일링의 기초 225
2. Profiling의 이론적 기초 226
제3절 범죄자(Criminal) Profiling의 심리학 227
1. 범죄자 profiling이란? 228
2. 범죄자 profiling의 과정 229
3. profiling과 심리학 230
4. 범죄현장분석 profiling의 한계 231

제2장 기타 심리학적 profiling 기법

제1절 수사심리학(Investigative Psychology) 232
제2절 진단평가(Diagnostic Evaluation) 234
제3절 행동증거분석(Behavioral Evidence Analysis) 235

제3장 Profiling의 타당성

제6편 범죄자의 심리학적 이해

제1장 범죄자의 분류

제1절 개 관 240
제2절 범죄학에 있어서의 분류 241
제3절 이론적으로 도출된 분류(Theoretically derived classifications) 243
1. 대인 간 성숙도(Interpersonal Maturity Level) 243
2. 개념단계모형(Conceptual levels model) 245
제4절 경험적 분류(Empirical Classifications) 246
1. Quay의 행위분류차원(behavior classification dimension) 247
2. Megargee의 MMPI에 기초한 분류 248
제5절 정신의학적 분류와 반사회적 행위 250
1. Axis I 250
2. Axis II: 발달장애(developmental disorder) 253
3. Axis II: 인성장애(personality disorder) 256
4. 인성장애의 차원적 분류(dimensional classification) 256
제6절 반사회적 인성장애 인성과 인성장애 259
1. 개념과 측정 259
2. 반사회적 인성장애 인성(psychopathic personality)과 인성장애의 분류 262

제2장 폭력범법자의 심리적 특징과 인적 속성

제1절 심리적 특징 264
1. 자기중심성 265
2. 충동성 265
3. 좌절 266
4. 이기주의 266
5. 강박적 충동성 267
6. 편집증 267
7. 가학성 변태 성욕 267
8. 공격성 268
9. 양극성 268
제2절 인성기질 269
1. 성취(attainment)와 인지 작용(cognitive functioning) 269
(1) 지적 작용(intellectual functioning) 269 (2) 학습장애와 학업성취 271
2. 자기통제와 충동성(impulsivity) 271
(1) 욕구충족의 지연(Delay of gratification) 272 (2) 시간지향성(Time orientation) 273
3. 태도, 가치관 그리고 신념 273
(1) 자아관념(self-concept) 273 (2) 가치관과 신념 275
(3) 중화(neutralization)와 귀속과정(attributional process) 276
(4) Yochelson과 Samenow의 ‘범죄적 인성(Criminal Personality)’ 277
제3절 인성장애와 정신병성(Psychotic) 질병 279
1. 반사회적 인성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280
2. 정신병질적 인성장애(Psychopathic personality disorder) 280
3. 간헐적 폭발성 장애(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 281
4. 의존적 인성 장애(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281
5. 경계성 인성 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281
6. 강박-충동적 인성(Obsessive-impulsive personality) 282
7. 정신병질(Psychotic Illnesses) 282
(1)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282 (2)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 283
(3) 환각장애(Delusional disorder) 283

제3장 범죄의 심리학적 이해

제1절 강력범죄의 심리학적 이론 284
1. 본능이론(Instinct theory) 284
2. 충동이론(Drive theory) 285
3. 사회학습이론 286
제2절 강력범죄의 심리학 287
1. 폭력범죄자의 분석 287
(1) 분류 287 (2) 인성 288
2. 강간 289
(1) 범죄자분류 289 (2) 강간범의 심리 293
3. 색욕살인(Lust Murder) 295
4. 성도착(paraphilia)과 색욕살인(lust murder) 297
(1) 성적 행위의 요소 : 정상, 비정상, 그리고 병리적 성적 행위 299 (2) 성도착 300
5. 소아성애증(Pedophilia) 305
6. 살인의 심리 307
(1) 집단살인(Mass Murder) 308 (2) 연쇄살인(Serial Murder) 309
7. 방화의 심리 310

제7편 범죄피해자와 피해자화의 심리

제1장 범죄피해자화의 심리학

제1절 범죄피해자화의 심리 315
제2절 심리적 취약성(Psychological vulnerability) 317
제3절 이차 피해자화(secondary victimization) 318

제2장 범죄피해자의 심리적 폐해

제1절 심리적 폐해 320
1. 심리적 손상(psychological damage) 322
2. 감정적 결과(emotional consequences) 322
3.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323
제2절 주요 범죄의 피해자 심리 325
1. 살인 피해자화(Homicide victimization) 325
2. 증오/편견범죄(Hate/Bias Crime)의 피해자화 326
3. 성폭력피해자화 327
4. 아동 성학대(child sexual abuse)의 심리적 영향 329
5. 배우자 폭력 331
6. 재산범죄 피해자화 ? 침입절도의 심리적 영향 333

제3장 범죄두려움의 심리학

제1절 범죄두려움의 사회심리학적 모형 335
제2절 범죄두려움의 필요조건(necessary conditions) 337
찾아보기 340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