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문화콘텐츠 산업론(2016) (2016년 전면 개정판)
문화콘텐츠 산업론(2016) (2016년 전면 개정판)
저자 : 김평수
출판사 : 커뮤니케이션북스
출판년 : 2016
ISBN : 9791130445205

책소개

『문화콘텐츠 산업론』. 이 책은 문화산업의 내ㆍ외부 환경과 소비자 행동을 분석해 문화 상품의 성공 요인을 살펴본다. 방송, 영화, 음악, 게임, 애니메이션, 공연 등 주요 문화산업의 동향과 전망, 과제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이 책을 통해 문화산업을 공부하는 학생은 경영학적 개념을 세울 수 있고, 연구자와 실무자는 문화산업의 지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200자 핵심 요약
K-POP과 신한류, 대한민국이 문화강대국으로 커 나가고 있다. 하지만 과연 우리의 콘텐츠는 오래도록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까? 이 책은 문화산업의 내ㆍ외부 환경과 소비자 행동을 분석해 문화 상품의 성공 요인을 살펴본다. 방송, 영화, 음악, 게임, 애니메이션, 공연 등 주요 문화산업의 동향과 전망, 과제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이 책을 통해 문화산업을 공부하는 학생은 경영학적 개념을 세울 수 있고, 연구자와 실무자는 문화산업의 지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책의 내용
2016년 전면 개정판은 다음과 같이 2012년 개정판을 대폭 수정, 보완했다. 특히 목차의 구성에 변화를 주어 연예매니지먼트산업을 제외하고, 추가로 만화ㆍ애니메이션산업을 추가했다.
1∼3장은 문화산업 전반에 대한 개념과 트렌드 변화를 반영한 총론적 입장에서 서술했다. 문화콘텐츠산업의 특성 및 문화산업 교육 현황, 문화산업의 트렌드 변화와 전망, 그리고 문화기업의 변화 및 경영 전략(5 force 모델, 블루오션 등)에 대해 최신 자료로 보완했다. 4장은 영화의 제작 과정과 유통 현황에 대해 고찰하고 세계 영화산업과 국내 영화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꼬집었다. 5장의 방송산업은 지상파와 케이블TV 변화, 안정기에 접어든 종편채널의 특징, IPTV 및 스마트 TV, N스크린 등 뉴미디어 동향 변화에 대한 최신 자료를 추가했다. 6장은 세계 음악산업의 동향과 더불어 ‘K-POP’ 열풍을 보완했고, 7장은 문화상품으로서의 공연의 특징과 미국, 일본, 한국 등의 공연산업이 노정하는 문제와 과제 등에 대해 살펴보고 제언했다. 8장은 만화ㆍ애니메이션산업의 시작과 산업 현황, 그리고 시각과 이미지의 역할에 대해 설명했다. 9장은 e-스포츠 동향과 국내 게임업체 현황 일부를 수정했으며, 소셜 게임(SMG), 웹 게임 등 멀티플랫폼 게임의 부상에 대한 내용을 새롭게 추가했다. 마지막 10장에서는 한류의 현상과 더불어 문화산업의 트렌드 변화와 문화 정책 일부를 보완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개정2판 머리말
개정1판 머리말
머리말

1 문화산업의 개념과 중요성
2 문화콘텐츠산업의 환경 분석
3 문화상품과 소비자 행동
4 영화산업
5 방송산업
6 음악산업
7 공연산업
8 만화 애니메이션 산업
9 게임산업
10 한류와 문화콘텐츠산업의 미래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