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운명의 과학 (운명과 자유의지에 관한 뇌 과학)
운명의 과학 (운명과 자유의지에 관한 뇌 과학)
저자 : 한나 크리츨로우
출판사 : 브론스테인
출판년 : 2020
ISBN : 9791135462252

책소개

우리는 운명론적 존재인가, 자유로운 존재인가?

만약 우리가 인간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면 이미 정해진 것 같은 운명 대신 더 나은 미래를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한나 크리츨로우 박사의 『운명의 과학』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우리의 인지 능력의 저변을 넓히며 ‘인간’이란 존재에 대해 좀 더 인간적으로 알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귀한 대중 과학 교양서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영국 아마존 베스트셀러
선데이 타임스 탑 텐 베스트셀러

운명과 자유의지에 대한 인간이 가진 생각을
최신 신경과학을 근거로 하여 풀어내는
인간적이고 수준 높은 과학 교양서이다. _데이비드 런시먼 교수

최신 신경과학에서 밝혀진 연구 자료를 통해
인간의 몸과 뇌 그리고 마음을 알고 이해를 높여
인지의 저변을 넓히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자

오랜 세월동안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다르다고 여겨졌다. 자유의지를 가지고 태어나 온전한 의식을 갖추고 살아가는 생물이 바로 인간이라 믿었다. 어떤 결정을 내릴 때 자유로운 주체로서 누굴 만날지, 어떤 음식을 먹을지 결정하며 살아가는 누구보다 자유로운 생물이이라 여겼다. 그러나 자유의지가 없다면? 만약 우리의 삶이 대부분 미리 정해져 있고 이는 우리의 뇌와 연결되어 있으며 우리가 점심 메뉴를 고르는 것이나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 심지어 우리가 무언가를 믿고 선택한 것이 사실은 진짜 선택이 아니라고 한다면 어떻게 될 것인가.

영국 왕립 헌장을 받은 왕립기관 과학위원회가 선정한 영국의 선도적인 실천 과학자 100인이자 대표적인 과학 커뮤니케이터 10인 중 한 명인 한나 크리츨로우 박사는 최신 신경과학을 근거로 인간의 운명과 자유의지에 관해 설명한다. 눈부시게 발전해온 과학기술은 인간이 자유의지를 가진 주체적인 존재가 아니라 무의식과 생물학적 요소에 큰 영향을 받는 생물임을 밝혀왔다. 만약 자유의지가 없다면, 우리가 자신의 삶을 통제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어떻겠는가. 극단적인 비관주의와 이기주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질 것이다. 하지만 한나 크리츨로우 박사는 우리가 운명과 인생을 통제할 수 없지만 그것이 비관주의와 이기주의라는 나쁜 방향으로 빠져들 필요가 없음을 말한다. 바로 생각할 수 있는 우리의 뇌가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타고난 생물학적 요소에 휘둘리는 존재이지만 가장 중요하고 비밀스러운 부위, 뇌는 여전히 우리가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만든다. 그 덕분에 우리는 운명에서 벗어나 생각하는 대로 행동하고 살아갈 수 있기에 비관적으로 살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1. 자유의지냐 운명이냐
내가 말하는 운명과 자유의지의 정확한 의미
뇌 과학의 황금기
뻥튀기 신경과학을 피하라
나는 어쩌다 뇌 과학에 빠져들었나
생물학적 운명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이기

2. 발달 중인 뇌
날 때부터 운명이 정해진다?
10대는 선천적인 산물인가, 후천적인 산물인가?
여기서부터는 온통 내리막?

3. 배고픈 뇌
케일이냐 도넛이냐? 우리는 어떻게 선택하는가
인류는 선천적으로 과식을 하도록 태어났나?
건강한 식습관은 엄마의 배 속에서 시작된다
진화, 후성유전학, 식습관
살찔 수밖에 없는 운명에서 벗어나기

4. 보살피는 뇌
섹스는 어떻게 우리를 사랑에 빠뜨리는가
육아 본능에 대한 놀라운 진실
기쁨, 성격, 사회적 뇌

5. 지각하는 뇌
맞춤형 현실
우리의 서류철에 존재하는 결함
감각 과부하와 못 믿을 현실
대안의 지각 방식
결함 해결하기 - 집단의식
지각, 편견, 운동 쇼비니즘

6. 믿는 뇌
신념은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
신념은 지각의 부산물이다
똑똑하지만 우리만 그런 것은 아니다
어떻게 그리고 왜 우리는 신념에 그렇게 매달리는가?
정말 생각을 바꿀 수 있을까?
치료로서의 신념 변화
신념, 운명 그리고 자유의지
열린 마음 연습하기

7. 예측 가능한 뇌
미래를 바꾸기 위해 미래를 예측하기
미래를 아는 데 따르는 위험은 무엇일까?
고통스러운 운명을 바꾸기
아는 것의 한계
어째서 어떤 사람은 자신의 운명을 피할 수 있고, 어떤 사람은 안 그럴까?
건강이 아닌 행동 예측하기

8. 협동하는 뇌
인간의 타고난 본성이라는 미신
신경과학을 현실에 적용하기
새로 등장하는 연민의 신경과학
연민에 바탕을 둔 마음가짐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한 이유

에필로그
감사의 말
참고문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