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아카데믹 사회학의 계보학 (아카데믹 사회학의 계보학)
아카데믹 사회학의 계보학 (아카데믹 사회학의 계보학)
저자 : 정수복
출판사 : 푸른역사
출판년 : 2022
ISBN : 9791156122104

책소개

더 좋은 사회를 위한 지식을 창조하는 주체적 학문의 길 모색

우리 학문의 ‘족보’ 만들기와 ‘이정표’ 세우기
한국 사회학의 거장 11인의 삶과 학문을 파고들어 찾아낸 한국 사회학의 계보학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를 성찰하다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는 한국 사회학의 역사를 지성사적으로 성찰하면서 한국 사회학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작품이다. 지은이 정수복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서구 사회학과 인도, 남미 등 비서구 사회학의 역사를 정리하고 그런 정지 작업을 배경으로 하여 한국 사회학의 역사라는 탑을 쌓아 올린다. 접근 방법은 평전 형식의 전기적 접근이며 한국 사회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대표급 학자들의 저서와 논문, 인터뷰를 비롯한 전기적 자료들이 기초 ‘사료’로 동원된다.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 시리즈는 세계 사회학과 한국 사회학의 전체적 흐름을 짚은 1권, 가치중립성과 실증주의를 중시하는 아카데믹 사회학을 다룬 2권, 한국 사회의 현실 문제 해결에 개입하는 비판사회학을 담은 3권, 한국 사회의 역사적 경험과 특성을 재구성하는 역사사회학을 정리한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저자는 ‘대중과 소통하며 응답하는 사회학’(3권 부록)에서 한국 사회학의 대중화 방안을 논의하며, 책의 맨 끝에 나오는 ‘한국 사회학의 사회학’(4권 4부)에서는 책에서 다룬 11명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학술장의 구조와 변동을 분석하고 한국사회학계가 나아갈 이정표를 세운다.

《아카데믹 사회학의 계보학》,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한국 사회학의 역사를 세계 사회학의 역사와 관련지어 논의한 1권에 이어 2~4권에서는 한국 사회학의 역사에서 형성된 세 가지 학문적 흐름을 다룬다. 2권은 아카데믹 사회학을, 3권은 비판사회학, 4권은 역사사회학의 흐름을 다룬다.
2권은 가치중립성과 실증주의를 중시하는 아카데믹 사회학을 이상백, 배용광, 이만갑, 이해영, 김경동 등 다섯 학자를 통해 살핀다. 1부 〈이상백과 한국 사회학의 제도화〉에서는 한국 사회학을 제도화한 이상백, 2부 〈배용광과 대구ㆍ경북의 사회학〉에서는 대구ㆍ경북 지역 아카데믹 사회학의 제도화에 기여한 배용광, 3부 〈이만갑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형성〉에서는 미국 사회학의 조사방법을 도입하고 농촌사회를 연구한 이만갑, 4부 〈이해영과 아카데믹 사회학계의 형성〉에서는 인류학에서 시작하여 인구학의 기초를 마련한 이해영, 5부 〈김경동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주류화〉에서는 이론과 조사방법 양면에서 아카데믹 사회학을 체계화한 김경동의 삶과 학문적 업적을 다룬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더 좋은 사회를 위한 지식을 창조하는 주체적 학문의 길 모색



우리 학문의 ‘족보’ 만들기와 ‘이정표’ 세우기

한국 사회학의 거장 11인의 삶과 학문을 파고들어 찾아낸 한국 사회학의 계보학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를 성찰하다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는 한국 사회학의 역사를 지성사적으로 성찰하면서 한국 사회학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작품이다. 지은이 정수복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서구 사회학과 인도, 남미 등 비서구 사회학의 역사를 정리하고 그런 정지 작업을 배경으로 하여 한국 사회학의 역사라는 탑을 쌓아 올린다. 접근 방법은 평전 형식의 전기적 접근이며 한국 사회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대표급 학자들의 저서와 논문, 인터뷰를 비롯한 전기적 자료들이 기초 ‘사료’로 동원된다.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 시리즈는 세계 사회학과 한국 사회학의 전체적 흐름을 짚은 1권, 가치중립성과 실증주의를 중시하는 아카데믹 사회학을 다룬 2권, 한국 사회의 현실 문제 해결에 개입하는 비판사회학을 담은 3권, 한국 사회의 역사적 경험과 특성을 재구성하는 역사사회학을 정리한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저자는 ‘대중과 소통하며 응답하는 사회학’(3권 부록)에서 한국 사회학의 대중화 방안을 논의하며, 책의 맨 끝에 나오는 ‘한국 사회학의 사회학’(4권 4부)에서는 책에서 다룬 11명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학술장의 구조와 변동을 분석하고 한국사회학계가 나아갈 이정표를 세운다.



《아카데믹 사회학의 계보학》,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한국 사회학의 역사를 세계 사회학의 역사와 관련지어 논의한 1권에 이어 2~4권에서는 한국 사회학의 역사에서 형성된 세 가지 학문적 흐름을 다룬다. 2권은 아카데믹 사회학을, 3권은 비판사회학, 4권은 역사사회학의 흐름을 다룬다.

2권은 가치중립성과 실증주의를 중시하는 아카데믹 사회학을 이상백, 배용광, 이만갑, 이해영, 김경동 등 다섯 학자를 통해 살핀다. 1부 〈이상백과 한국 사회학의 제도화〉에서는 한국 사회학을 제도화한 이상백, 2부 〈배용광과 대구·경북의 사회학〉에서는 대구·경북 지역 아카데믹 사회학의 제도화에 기여한 배용광, 3부 〈이만갑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형성〉에서는 미국 사회학의 조사방법을 도입하고 농촌사회를 연구한 이만갑, 4부 〈이해영과 아카데믹 사회학계의 형성〉에서는 인류학에서 시작하여 인구학의 기초를 마련한 이해영, 5부 〈김경동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주류화〉에서는 이론과 조사방법 양면에서 아카데믹 사회학을 체계화한 김경동의 삶과 학문적 업적을 다룬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을 펴내며

1부 이상백과 한국 사회학의 제도화
1. 이상백에 대한 선행 연구
2. 이상백과 한국 사회학의 제도화
3. 이상백이 구상한 사회학
4. 이상백과 동시대의 사회학자들
5. 이상백이 한국 사회학을 제도화 할 수 있었던 이유
6. 이상백의 일본 체육계 활동이 갖는 의미
7. 이상백의 학문적 유산
8. 이상백과 그의 후예들

2부 배용광과 대구ㆍ경북의 사회학
1. 대구ㆍ경북 사회학의 창건자 배용광
2. 배용광과 한국 사회학의 제도화
3. 배용광의 학문적 자세
4. 배용광의 학문적 성과
5. 배용광의 사회적 활동
6. 배용광 사회학의 비판적 계승

3부 이만갑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형성
1. 이만갑과 한국 사회학
2. 이만갑의 지적 형성 과정
3. 일본 사회학에서 미국 사회학으로
4. 이만갑 사회학의 전개
5. 이만갑의 사회 활동
6. 이만갑 사회학의 비판과 계승

4부 이해영과 아카데믹 사회학계의 형성
1. 이해영의 사회학사적 위치
2. 이해영의 지적 성장 과정
3. 이해영 사회학의 전개
4. 이해영의 사회적 활동
5. 이해영 사회학의 비판적 계승

5부 김경동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주류화
1. 아카데믹 사회학의 대표, 김경동
2. 김경동 사회학의 내부 구성
3. 김경동의 삶과 글쓰기
4. 김경동 사회학의 기여와 한계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