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역사사회학의 계보학 (역사사회학의 계보학)
역사사회학의 계보학 (역사사회학의 계보학)
저자 : 정수복
출판사 : 푸른역사
출판년 : 2022
ISBN : 9791156122128

책소개

더 좋은 사회를 위한 지식을 창조하는 주체적 학문의 길 모색

우리 학문의 ‘족보’ 만들기와 ‘이정표’ 세우기
한국 사회학의 거장 11인의 삶과 학문을 파고들어 찾아낸 한국 사회학의 계보학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를 성찰하다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는 한국 사회학의 역사를 지성사적으로 성찰하면서 한국 사회학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작품이다. 지은이 정수복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서구 사회학과 인도, 남미 등 비서구 사회학의 역사를 정리하고 그런 정지 작업을 배경으로 하여 한국 사회학의 역사라는 탑을 쌓아 올린다. 접근 방법은 평전 형식의 전기적 접근이며 한국 사회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대표급 학자들의 저서와 논문, 인터뷰를 비롯한 전기적 자료들이 기초 ‘사료’로 동원된다.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 시리즈는 세계 사회학과 한국 사회학의 전체적 흐름을 짚은 1권, 가치중립성과 실증주의를 중시하는 아카데믹 사회학을 다룬 2권, 한국 사회의 현실 문제 해결에 개입하는 비판사회학을 담은 3권, 한국 사회의 역사적 경험과 특성을 재구성하는 역사사회학을 정리한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사회학의 계보학》,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4권은 최재석, 신용하, 박영신 등을 통해 한국 사회의 역사적 경험과 특성을 재구성하는 비주류 역사사회학의 계보를 살핀다. 1부 〈최재석의 가족ㆍ농촌사회학과 사회사 연구〉에서는 가족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 사회사와 농촌사회학 연구에 기여한 최재석, 2부 〈신용하의 사회사와 민족주의 사회학〉에서는 한국 근대사회사 연구에서 방대한 연구업적을 쌓은 신용하, 3부 〈박영신의 성찰적 역사사회학〉에서는 사회학 이론을 강조하면서 이론적 관점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비판적으로 성찰한 박영신의 삶과 학문적 업적을 다룬다. 끝으로 4부 〈한국 사회학의 사회학-학술장의 역사와 구조변동〉에서는 한국 사회학 학술장의 주요 행위자들과 학술장 내부의 작동 기제 등을 고찰하면서 한국 사회학의 미래를 진단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더 좋은 사회를 위한 지식을 창조하는 주체적 학문의 길 모색



우리 학문의 ‘족보’ 만들기와 ‘이정표’ 세우기

한국 사회학의 거장 11인의 삶과 학문을 파고들어 찾아낸 한국 사회학의 계보학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를 성찰하다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는 한국 사회학의 역사를 지성사적으로 성찰하면서 한국 사회학이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의미 있는 작품이다. 지은이 정수복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서구 사회학과 인도, 남미 등 비서구 사회학의 역사를 정리하고 그런 정지 작업을 배경으로 하여 한국 사회학의 역사라는 탑을 쌓아 올린다. 접근 방법은 평전 형식의 전기적 접근이며 한국 사회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대표급 학자들의 저서와 논문, 인터뷰를 비롯한 전기적 자료들이 기초 ‘사료’로 동원된다.

《한국 사회학의 지성사》 시리즈는 세계 사회학과 한국 사회학의 전체적 흐름을 짚은 1권, 가치중립성과 실증주의를 중시하는 아카데믹 사회학을 다룬 2권, 한국 사회의 현실 문제 해결에 개입하는 비판사회학을 담은 3권, 한국 사회의 역사적 경험과 특성을 재구성하는 역사사회학을 정리한 4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사회학의 계보학》,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4권은 최재석, 신용하, 박영신 등을 통해 한국 사회의 역사적 경험과 특성을 재구성하는 비주류 역사사회학의 계보를 살핀다. 1부 〈최재석의 가족.농촌사회학과 사회사 연구〉에서는 가족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 사회사와 농촌사회학 연구에 기여한 최재석, 2부 〈신용하의 사회사와 민족주의 사회학〉에서는 한국 근대사회사 연구에서 방대한 연구업적을 쌓은 신용하, 3부 〈박영신의 성찰적 역사사회학〉에서는 사회학 이론을 강조하면서 이론적 관점으로 한국 근현대사를 비판적으로 성찰한 박영신의 삶과 학문적 업적을 다룬다. 끝으로 4부 〈한국 사회학의 사회학―학술장의 역사와 구조변동〉에서는 한국 사회학 학술장의 주요 행위자들과 학술장 내부의 작동 기제 등을 고찰하면서 한국 사회학의 미래를 진단한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책을 펴내며

1부 최재석의 가족ㆍ농촌사회학과 사회사 연구
1. 최재석, 한국 사회학계의 아웃사이더
2. 최재석의 학문하는 태도
3. 최재석의 사회학 이론과 연구방법
4. 최재석의 학문적 업적
5. 한국 학계를 위한 최재석의 제안
6. 최재석 사회학의 비판과 계승

2부 신용하의 사회사와 민족주의 사회학
1. 신용하 사회학의 기본틀
2. 신용하의 학문 세계
3. 신용하의 현실참여
4. 신용하의 ‘독창적 한국 사회학’
5. 신용하 학맥과 한국 사회사 연구의 발전 방향

3부 박영신의 성찰적 역사사회학
1. 한국 사회학의 역사와 박영신의 사회학
2. 사회학자 박영신의 형성 과정
3. 박영신의 학문 세계
4. 박영신 사회학의 일곱 가지 특성
5. 박영신 사회학의 비판적 계승

4부 한국 사회학의 사회학-학술장의 역사와 구조변동
1. 한국 사회학의 사회학
2. 한국 사회학 학술장의 주요 행위자들
3. 한국 사회학의 지식사회학
4. 한국 사회학 학술장 내부의 작동 기제
5. 한국 사회학의 미래를 위하여

《한국사회학의 지성사》 1~4권을 마치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