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마음 읽기 (삶의 의미를 재정립해 주는 심리 처방전)
마음 읽기 (삶의 의미를 재정립해 주는 심리 처방전)
저자 : 황상민
출판사 : 넥서스BOOKS
출판년 : 2016
ISBN : 9791157528318

책소개

황상민 박사의 《마음 읽기》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서 시작한다. 황 박사는 이에 대해 ‘나의 진정한 마음을 아는 것’으로써 살면서 수시로 부딪히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자신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기란 그리 쉽지가 않다. 그리고 자기 스스로 자신의 마음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문제의 해결은 더욱더 어려운 것이다. 《마음 읽기》는 이러한 모든 삶의 문제의 근원인 마음의 민낯을 보게 하여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책을 찾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아픈 마음은 고장난 기계가 아니다
심리학계의 셜록 홈즈 황상민이 신랄하게 보여 주는 내 마음의 민낯

자존감을 높여 주는 진정한 내 마음 찾기
실질적 생존의 통찰을 위한 “나” 탐구서!

심리학계의 셜록 홈즈, 황상민 박사. 그는 어느 심리학자보다도 사람의 마음을 잘 꿰뚫어보는 매의 눈의 소유자이자 속사포 문답법으로 막힌 가슴을 뚫어 주는 황크라테스로 불린다. 2016년의 포문을 열면서 대한민국에서 가장 핫한 인물 중 하나로 떠오른 황상민 박사는 지난 10년 동안의 연구와 상담 결과, 자신의 삶에서 경험을 통해 얻은 날카로운 통찰이 돋보이는 《마음 읽기》를 세상에 내놓았다. 그동안 한국인 특성에 맞는 성격 유형 분석과 마음의 민낯 보기에 집중해 온 황상민 박사의 《마음 읽기》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서 시작한다. 황 박사는 이에 대해 ‘나의 진정한 마음을 아는 것’으로써 살면서 수시로 부딪히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자신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기란 그리 쉽지가 않다. 그리고 자기 스스로 자신의 마음을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문제의 해결은 더욱더 어려운 것이다. 《마음 읽기》는 이러한 모든 삶의 문제의 근원인 마음의 민낯을 보게 하여 근본적인 문제의 해결책을 찾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과 기질을 토대로 완성된 개인 성격 유형별 분석!
알고 보면 모든 문제 원인과 해답은 내 마음속에 있다

하루도 바람 잘 날 없는 대한민국에서 살기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마음 아파한다. 그렇다면 “왜 마음이 아픈가?” 저마다 이유도 가지가지이다. 그러나 이 모든 아픔의 공통적 원인은 나의 문제라는 점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문제가 다른 사람이나 환경 때문에 일어났다고 말하고 그렇게 믿는다. 그리고 문제와 연결된 타인과의 관계 때문에 나의 마음이 아프고 살기 힘들다고 하소연한다. 이것이 바로 ‘관계’의 문제로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대다수 한국인들의 마음이다.
한국인 중 대다수는 막연하게 남들에게 ‘착한 사람’으로 보이고 싶어 하고, 안정적인 삶을 갈구한다. 그러다 보니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또 어떻게 공감하는지 눈치를 많이 보게 된다. 또 누군가 그런 자신의 참모습을 알게 될까 봐 두려워한다. 타인에게 번듯하게 내보일 것이 없다면 가능한 한 자신에 대해 감추고 싶어 한다. 자신을 드러내는 것을 두려워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주위의 인정을 받고 싶어 한다.
《마음 읽기》에서 황상민 박사는 이러한 한국인만의 특수한 상황과 특성을 토대로 성격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에 맞는 삶의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을 읽기에 앞서 독자들은 자신의 마음의 적나라한 민낯을 마주할 용기를 내야 한다. 왜냐하면 내가 원하는 내 모습과 실제의 내 모습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민낯을 마주한다는 것은 자신의 욕망이 현재 자신의 마음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아는 것이다. 막연히 이상적이고 멋진 무엇을 찾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이 자신의 마음이 어떻게 작용했느냐에 의해 일어난 결과라는 것을 정확히 아는 것이다. 이렇게 자신의 문제를 직면하고 파악할 수 있으면, 당연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도 찾을 수 있다. 《마음 읽기》는 ‘우리 각자가 만들고 싶은 삶의 변화를 가져다줄 ‘자신의 민낯을 마주할 용기’를 낼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유재석, 이서진, 전현무, 김제동, 이금희를 통해 본 구체적 성격 유형 분석으로
좀 더 재미있고 쉽게 나란 인간을 탐색하다
삶의 문제 앞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또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해결 방법은 각각의 성격 유형에 따라 다르다. 《마음 읽기》에서는 각각의 유형을 황상민 박사가 개발한 WPI(Whang’s Personality Inventory)를 토대로 분류하고 있다. 황상민 박사의 지난 10년의 연구 성과인 WPI는 ‘5가지 대표 유형(자기 평가)’과 ‘5가지 주요 삶의 가치(타인 평가)’로 나뉘는데 자기 평가는 한 개인이 자신을 어떤 특성으로 인식하는지 파악하여 개인이 자신의 심리와 행동방식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를 말한다. 그리고 타인 평가는 타인의 시선에 부각되는 자기의 모습을 의미하며 그 사람이 지향하는 삶의 방식이 자기 평가와 어떻게 일치하는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한다.
다소 낯설 수 있는 있는 이 개념들은 구체적 인물과 사례를 통해 보다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리얼리스트 유재석, 로맨티스트 이서진, 휴머니스트 전현무, 아이디얼리스트 김제동, 에이전트 이금희와 같이 우리가 그동안 각종 매체를 통해 친근하게 접해 왔던 인물들의 특성을 분석해 놓은 것이다. 각각의 인물과 사례에 자신을 대입해 보는 것도 읽는 재미를 더할 수 있을 것이다.

황상민 박사의 WPI란 무엇인가
《마음 읽기》는 직관적으로 읽어 나가도 상관없지만 WPI의 기본 개념들을 인지하고 읽으면 좀 더 편하게 이해할 수 있다. WPI는 각각의 특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자기 평가
리얼리스트(realist, 현실형): 타인의 인정을 통해 존재감을 획득하는 사람으로 주어진 상황과 주위 사람들에게 자신을 맞추려고 노력한다. 다른 사람을 잘 배려하고 권위와 분위기에 순응한다. 일을 할 때 업무 자체보다 관계를 더 중요시 여기기도 한다.
로맨티스트(romantist, 감성형): 감성적이고 예민한 한편, 꼼꼼하여 일에서 완벽을 추구한다. 타인에게 자신의 감정이 공유되고 공감받을 때 존재감을 느낀다. 모르는 사람 앞에서 수줍음을 타고 걱정이 많다.
휴머니스트(humanist, 사교형): 다른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는 외향적인 사람으로 긍정적인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규범과 위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리더 역할을 맡는다면 구성원들이 결속을 다지도록 잘 이끌 수 있다.
아이디얼리스트(idealist, 이상형): 자신만의 세계와 취향을 소중하게 여기고 상상력이 풍부하다. 개방적 분위기에서 자신의 생각을 현실화시켜 나갈 때 성장할 수 있고, 문제를 창의적인 방식으로 풀어 나간다. 그러나 공동체 생활에 취약하다.
에이전트(agent, 과제형): 일을 통해 자신을 실현하는 데서 성취감을 느낀다. 주어진 일을 확실하게 수행하고자 열심히 노력하고, 수준 높은 결과를 낸다. 하지만 미묘한 감정이나 상황 파악에는 약하다.

타인 평가
릴레이션(relation, 관계): 친밀감, 호감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는 것을 중요시 여기는 성향이다.
트러스트(trust, 믿음): 책임감이 있고 믿음직스러운 모습을 보이고자 하고 끈기가 있다. 새로운 일을 도전하려 하기보다는 결과가 보장된 라이프스타일을 선택한다.
매뉴얼(manual): 주변 환경을 관리하고 통제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고, 규범과 틀을 중요시 여긴다. 그러나 새로운 상황이 나타났을 때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할 수 있다.
셀프(self): 스스로의 인정과 스타일이 중요하다. 다른 사람들의 이목을 신경 쓰지 않아서 타인에 대한 관심과 몰입이 떨어질 수 있다.
컬처(culture, 향유): 무언가에 몰입하기를 좋아한다. 어떤 일을 할 때 그것의 성과보다는 자신의 즐거움이 더 중요하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자원이 있는 경우가 많고, 스스로 우아하게 표현할 수도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작가의 말_당당한 삶을 위한 마음 안내서

프롤로그_행복한 나를 위한 첫걸음, 내 마음 탐색
로맨틱할 수 없는 로맨티스트 K의 현실|자기 마음 파악하기|내 마음을 이해해야 한다고?

《마음 읽기》를 펼치기에 앞서

1장 나는 누구인가
내 마음을 나도 모르는 이유|자신을 안다는 것의 의미|먼저 자신의 문제를 파악하라

2장 마음 탐색하기
성격 검사 후 멘붕에 빠진 P의 의문| 리얼리스트로 살아가기|이제는 진짜 내 마음을 찾을 차례|자신의 민낯을 마주할 용기 내기

3장 내 마음의 주인이 과연 나일까
자소서 혹은 자소설?|‘인재’를 찾는 인사 담당자의 마음 읽기|전략적 꿀팁이라는 늪|어떻게 살아야 하나요?|환경의 힘인가, 개인의 마음인가?|WPI로 어떻게 나의 마음을 알 수 있나?|자기 삶의 주인이 되는 법

4장 리얼리스트_그때그때 달라요
부동의 일인자, ‘유느님’ 유재석|리얼리스트 유재석은 어떻게 성공했을까|리얼리스트 유재석의 진짜 마음|리얼리스트의 정체_착하게 살자!|상담 사연_완벽해지고 싶어요|R의 마음 프로파일링|R의 마음 파악과 문제 이해하기|R을 위한 코칭

5장 로맨티스트_내 마음을 알아주세요
차도남 이서진|로맨티스트 이서진의 매력|로맨티 스트의 정체_먼저 다가와 주세요|상담 사연_어디까지 포기해야 하나요?|M의 마음 프로파일링|M의 마음 파악과 문제 이해하기|M을 위한 코칭

6장 휴머니스트_혼자 있기 싫어요
엄친아 전현무가 휴머니스트라고?|밉상 전현무|휴머니스트의 정체_조직과 형식이 곧 마음|상담 사연_예전의 저로 돌아가고 싶어요|H의 마음 프로파일링|H의 마음 파악과 문제 이해하기|H를 위한 코칭

7장 아이디얼리스트_난 남들과 달라요
이야기꾼 김제동|안티를 두려워하지 않는 뚝심|아이디얼리스트의 정체_혼자서도 잘살아요|상담 사연_꼭 결혼을 해야 하나요?|I의 마음 프로파일|I의 마음 파악과 문제 이해하기|I를 위한 코칭

8장 에이전트_일을 위해 태어났어요
일하는 모습이 아름다운 그대, 이금희|에이전트의 정체_내가 하는 일이 바로 ‘저예요’|상담 사연 1_미래가 불투명하고 몰두할 일이 없어요|A의 마음 프로파일링|A의 마음 파악과 문제 이해하기|A를 위한 코칭|상담 사연 2_저는 가면을 쓰고 사는 걸까요?|에이전트의 재탄생

9장 타인의 눈에 비치는 나란 인간
하나의 정답을 찾고 있는가|개인의 성격에 왜 타인 평가가 필요할까?|1. 릴레이션 _관심받고 싶어요|2. 트러스트_내 말이 맞잖아요?|매뉴얼_사는 데도 공식이 있어요|4. 셀프_내 스타일 어때요?| 5. 컬처_삶에 몰입하고 즐겨요

10장 아픈 마음은 고장난 기계가 아니다
자기 평가와 타인 평가의 일치 혹은 불일치가 가지는 의미|마음의 엔지(NG)|마음이 인간관계에 작동하는 방식|마음의 고장? 아니, 마음이 자기 자리를 못 찾은 거예요|리얼리스트의 엔지_나르시시스트와 관심 갈구|로맨티스트의 엔지_도도 변덕과 성과주의|휴머니스트의 엔지_고시촌 좀비와 멀티 동조|아이디얼리스트의 엔지_시지프스와 독불장군|에이전트 엔지_꺾인 날개와 유유자적

에필로그_사람마다 다른 마음의 제자리 찾기

부록_마음 읽기의 역사, 마음의 MRI 탄생
너 자신을 알라|알다가도 모를 성격, 마음을 탐구하다|마음을 탐지하는 다양한 성격 검사들|마음을 탐구하는 심리학자의 고민|마음의 MRI: WPI (Whang’s Personality Inventory)의 탄생|마음의 발견: 5가지 WPI 성격 유형|마음의 이해: 자기 평가와 타인 평가 프로파일의 해석|기질과 성격의 차이

참고문헌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