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예술과 문화콘텐츠
예술과 문화콘텐츠
저자 : 김소영
출판사 :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출판년 : 2018
ISBN : 9791159013799

책소개

ART & CULTURAL CONTENTS

이 책은 기술중심시대에 매체를 기반으로 변화하는 예술과 문화콘텐츠의 특성을 상호 비교하고, 양자간 융합의 가능성을 모색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라캉의 정신분석학과 키틀러의 매체이론을 활용하여, 미디어아트에 나타난 특성을 살펴보았다.
철학, 과학, 예술이 동일한 인식체계 하에서 통용되던 고대그리스로마시대로 돌아간 듯, 현대인은 통합된 매커니즘 아래 다양한 문화적 산물을 즐기는 적극적 수용자로 변모하고 있다. 디지털기술로 인해 여러 영역이 교류하고 있는 지금, 융합은 더 이상 현대사회의 키워드가 아니다.
오히려 융합된 학문 내에서 각 분과학문의 정체성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문화콘텐츠(학)는 예술의 장점을 지속적으로 받아들여, 융합학문의 특성을 포괄하는 분과학문으로서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ART & CULTURAL CONTENTS

이 책은 기술중심시대에 매체를 기반으로 변화하는 예술과 문화콘텐츠의 특성을 상호 비교하고, 양자간 융합의 가능성을 모색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라캉의 정신분석학과 키틀러의 매체이론을 활용하여, 미디어아트에 나타난 특성을 살펴보았다. 철학, 과학, 예술이 동일한 인식체계 하에서 통용되던 고대그리스로마시대로 돌아간 듯, 현대인은 통합된 매커니즘 아래 다양한 문화적 산물을 즐기는 적극적 수용자로 변모하고 있다. 디지털기술로 인해 여러 영역이 교류하고 있는 지금, 융합은 더 이상 현대사회의 키워드가 아니다. 오히려 융합된 학문 내에서 각 분과학문의 정체성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문화콘텐츠(학)는 예술의 장점을 지속적으로 받아들여, 융합학문의 특성을 포괄하는 분과학문으로서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고유한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야 할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 5

제1장 라캉의 ‘범주’와 키틀러의 ‘기록체계’ ● 15
1. 라캉의 ‘범주’를 통한 주체의 형성 과정 ● 16
2. 키틀러의 ‘기록체계’에 따른 인간 감각의 분화 ● 25
3. ‘범주와 기록체계’의 세 층위 ● 33

제2장 ‘범주와 기록체계’의 층위별 구성요소 ● 51
1. ‘상상계-영화’의 이미지 오인 과정 ● 53
2. ‘상징계-타자기’의 규범 수용 과정 ● 62
3. ‘실재계-축음기’의 욕망 표출 과정 ● 71

제3장 백남준 미디어아트, 정신과 기술의 융합 ● 91
1. ‘상상계-영화’적 작품 ● 93
2. ‘상징계-타자기’적 작품 ● 107
3. ‘실재계-축음기’적 작품 ● 119

제4장 미디어아트와 문화콘텐츠의 합류(合流) ● 137
1. 미디어아트에 나타난 정신과 기술의 융합 ● 137
2. 미디어아트에서 문화콘텐츠로의 능동적 전이 ● 148
3. 예술을 통한 문화콘텐츠의 확장 ● 158

제5장 합류를 넘어 ● 177

참고문헌 ● 187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