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공중보건학
공중보건학
저자 : 이형수 외
출판사 : 범문에듀케이션
출판년 : 2022
ISBN : 9791159433436

책소개

2013년 공중보건학 초판이 출판된 이후, 부분개정과 전면개정 등을 거쳐 세 번째 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새로운 유형의 문항개발, 직종별 국가고시 교수요목 표준화 등의 변화에 맞춰 국가면허시험 및 자격증 취득, 공무원 등 채용시험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가능하면 최신의 자료를 포함하였다.

이번 교재는 공중보건학에서 언급하고 있는 관련 제도 및 법률 변화에 맞춰 개정되었고, 도표, 그림, 통계 등에서 인용하는 자료들은 최근 2년 이내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가급적 문장을 장황하게 설명하지 않도록 쉽게 정리, 요약하였다. 또한 본문의 색도를 높였으며 많은 그림을 삽입하려고 노력하였다. 따라서 이번 교재는 각 대학 공중보건학강의에 적합하며 국가시험 대비용으로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2013년 공중보건학 초판이 출판된 이후, 부분개정과 전면개정 등을 거쳐 세 번째 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새로운 유형의 문항개발, 직종별 국가고시 교수요목 표준화 등의 변화에 맞춰 국가면허시험 및 자격증 취득, 공무원 등 채용시험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가능하면 최신의 자료를 포함하였다.



이번 교재는 공중보건학에서 언급하고 있는 관련 제도 및 법률 변화에 맞춰 개정되었고, 도표, 그림, 통계 등에서 인용하는 자료들은 최근 2년 이내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가급적 문장을 장황하게 설명하지 않도록 쉽게 정리, 요약하였다. 또한 본문의 색도를 높였으며 많은 그림을 삽입하려고 노력하였다. 따라서 이번 교재는 각 대학 공중보건학강의에 적합하며 국가시험 대비용으로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정보

머리말 iii

Chapter 보건학 총론 1
1. 공중보건학의 개념 2
2. 건강과 질병 11
3. 건강증진 18
4. 공중보건학의 발달과 역사 21
5. 보건의료의 현황과 전망 26

Chapter 역학 31
1. 역학의 정의 32
2. 역학의 범위 및 역할 33
3. 질병발생 원인의 3대 학설 35
4. 역학적 연구방법 36
5. 역학조사 방법 48
6. 역학조사의 사례 49

Chapter 감염병 관리 51
1. 감염병의 개념 52
2. 새로운 감염병의 유행 52
3. 감염병 관리의 발전사 52
4. 감염병 생성과정 54
5. 감염병 유행의 유형 및 조사 70
6. 감염병 관리대책 72
7. 법정감염병 75

Chapter 급ㆍ만성감염병 및 기생충 81
1. 급성감염병 82
2. 만성감염병 99
3. 기생충 예방 108

Chapter 환경위생 117
1. 환경위생학의 개념 119
2. 기후와 온열인자 120
3. 온열요소의 종합작용 124
4. 일광과 건강 128
5. 공기와 건강 130
6. 물과 건강 133
7. 하수처리 152
8. 분뇨 및 폐기물 처리 159
9. 발암물질과 내분비계 장애물질 164
10. 주택보건 167
11. 의복과 건강 174
12. 위생해충과 쥐 176
13. 소독과 멸균 180

Chapter 환경보건 189
1. 환경보전 190
2. 환경오염 193
3. 용어의 정의 194
4. 대기오염 195
5. 수질오염 205
6. 소음 및 진동 210
7. 환경 보전 대책 213

Chapter 산업보건 215
1. 산업보건의 개념 216
2. 노동과 건강 217
3. 여성 및 연소 근로자의 보호 219
4. 근로자의 영양관리 220
5. 산업피로 221
6. 산업재해 222
7. 직업병 관리 226
8. 공업중독 233

Chapter 식품위생 239
1. 식품위생의 정의와 개념 240
2. 식중독 240
3. 식중독의 분류 241
4. 세균성 식중독 241
5. 자연독 식중독 248
6. 곰팡이독에 의한 식중독 251
7. 화학물질(식품첨가물)에 의한 식중독 252
8. 항생물질 254
9. 방사능 오염 254
10. 식품의 변질과 부패 255
11. 식품의 보존 256
12. 식품의 위생관리 258

Chapter 보건행정 261
1. 보건행정의 개념 262
2. 한국의 보건행정 변천사 263
3. 한국의 보건행정과 조직 264
4. 보건행정의 원리 267
5. 국제 공중보건 관련기구 273

Chapter 사회보험 277
1. 사회보장 278
2. 건강보험 282

Chapter 학교보건 및 보건교육 287
1. 학교보건의 개념 288
2. 학교보건의 영역과 내용 288
3. 학교보건봉사 291
4. 학교환경위생과 식품위생 및 대기환경 291
5. 학교보건서비스 296
6. 학교급식 297
7. 보건교육 298

Chapter 보건영양 303
1. 보건영양의 개념 304
2. 영양소 304
3. 에너지대사 315
4. 영양상태 판정 317
5. 영양개선 318

Chapter 인구와 보건 323
1. 인구론 324
2. 인구의 구성 325
3. 인구의 변화 328
4. 인구조사 329
5. 인구문제와 대책 331
6. 가족 계획 334

Chapter 생애주기별 보건 339
1. 모자보건 340
2. 성인보건 351
3. 노인보건 360

Chapter 재활보건 363
1. 재활보건의 개념 364
2. 장애의 개념 및 분류 365
3. 재활보건의 분야 367
4. 지역사회재활 368

Chapter 정신보건 375
1. 정신보건의 개념 376
2. 정신장애 원인 376
3. 주요 정신질환 377
4. 정신보건시설 및 서비스 378
5. 우리나라 정신보건사업 및 대책 380

Chapter 보건통계 383
1. 보건통계의 개념 384
2. 보건통계의 처리 385
3. 보건지표 400
참고문헌 409
찾아보기 413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